의학입문 잡병제강 내상 積熱적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학입문 잡병제강 내상 積熱적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통 후폐 격열 흉비 전광 경계 정충 건망지류는 개담화체중지소위야니 소조중탕 대조중탕이다.
○濕熱者는, 因濕生熱이나, 或因熱生濕이라.
습열자는 인습생열이나 혹인열생습이라.
습열은 습으로 원인하여 열을 생성하거나 혹은 열로 원인하여 습을 생성한다.
凡泄瀉 下痢, 水腫 鼓脹, 黃疸, 遺精 白濁, 疝痛 腰痛, 脚氣之類는, 皆濕熱下流之所爲也니, 治見 各條하니라.
범설사 하리 수종 고창 황달 유정 백탁 산통 요통 각기지류는 개습열하류지소위야니 치현 각조하니라.
설사 하부이질, 부종 고창, 황달 유정, 소변백탁, 산통, 요통 각기의 종류는 모두 습열이 하부로 흘러서 된 것이니 치료는 각 조문에 나타난다.
丹溪가 治濕熱에, 上焦엔 黃芩이니, 虛者면 天麥門冬으로 代之하고, 中焦엔 黃連이니, 虛者면 白朮 茯 葛根으로 代之하고, 下焦엔 草龍膽 防己 黃柏이니라,
단계가 치습열에 상초엔 황금이니 허자면 천맥문동으로 대지하고 중초엔 황련이니 허자면 백출 복령 갈근으로 대지하고 하초엔 초용담 방기 황백이니라.
주단계가 습열을 치료함에 상초에는 황금이니 허약자면 천문동 맥문동으로 대신하고 중초습열에는 황련이니, 허약자면 백출 복령 갈근으로 대신하고 하초습열에는 초용담 방기 황백을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02.15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69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