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서 약을 가미하니, 가령 장하면 비위를 보하니 사음화승양탕이 이것이다.
大抵此法此藥은, 欲令陽氣로 升浮耳오, 大禁泄滋陰之味라,
대저 이 방법과 이 약은 양기를 승부케 함일 뿐이고 크게 삼설하고 자음하는 약미를 금기한다.
亦有從權하여 而用黃柏 知母나, 爲督 任 衝 三脈이 盛也니라.
또한 임시방편을 따라서 황백, 지모를 사용하나 독맥, 임맥, 충맥 3맥이 치성하게 함이다.
所生受病者은 由土弱하여 不能生金하야 反受火木之邪하여 而淸肅之氣傷이라.
소생으로 병을 받음은 토가 약함으로 연유하여 금을 낳지 못하여 반대로 화목의 사기를 받아서 청숙하는 폐기가 손상한다.
或胸滿 少氣 短氣 氣上하며 精神少而倦惰하고 慘慘常不樂하니 皆陽氣不足而陰有餘也오.
혹은 흉만, 소기, 단기, 기상하여 정신력이 감소하고 권태하고 참담하여 항상 즐겁지 않으니 다 양기가 부족하고 음기가 유여해서이다.
或咳嗽寒熱者는 濕熱이 乘其內也니라.
혹 해수하고 오한발열하는 것은 습열이 그 안의 허약한 틈을 탄 것이다.
脾不剋化하여 鬱而爲痰하고 變生嗽喘 眩暈等證하니라
비가 극화를 못하여 울체되어 담이 되고 변해서 해수천식과 현훈등의 증상을 발생시킨다.
治宜人蔘으로 爲君하고 白朮 芍藥으로 爲佐하며 橘皮 靑皮로 以破滯氣하고 桑白皮 甘草 木香 檳 五味子로 爲佐하며, 桂枝 桔梗으로 爲引하여 用이니라.
치료는 인삼으로 군약을 삼고 백출, 작약으로 좌약을 삼으며, 귤피 청피로 체기를 부수고 상백피 감초 목향 빈랑 오미자로 좌약을 삼으며 계지 길경으로 인경하여 사용함이니라.
所不勝이 乘之者는 水乘木之妄行하여 而反來侮土라
이기지 못한 것이 타는 것은 수가 목의 망행함을 타서 반대로 토를 없신여기게 된다.
故로 腎이 入心하야 爲汗하고 入肝하야 爲泣하고 入脾하면 爲涎하고 入肺하면 爲痰 爲嗽 爲涕 爲 爲水하여 出鼻하니라.
그러므로 신이 심으로 들어가 땀이 되고 간으로 들어가 눈물이 되고, 비로 들어가 침이 되고 폐로 들어가면 담 기침 콧물 재체기가 되고 물이 되어 코로 나온다.
自入하면 則爲溺多, 爲惡寒也니라.
신이 스스로 들어가면 소변이 많아지고 오한이 된다.
治宜乾薑으로 爲君하고 白朮 附子 肉桂로 爲臣하고 茯 猪 澤瀉로 爲佐使니라.
치료는 건강으로 군약을 삼고 백출 부자 육계로 신약을 삼고 복령 저령 택사로 좌사약을 삼는다.
一說에 下元의 土盛剋水하여 致督任衝三脈이 盛하야 火旺煎熬하여 令水沸騰而乘脾肺라
일설에 하초근원의 토가 왕성하여 수를 극하여 독맥, 임맥, 충맥 3맥이 왕성하여 화가 왕성하여 지지고 볶으며 물이 끓어넘쳐 비폐를 탄다고 했다.
故로 痰唾는 出於口也오, 下行하야 爲陰汗 爲外腎冷 爲足不任地 爲腰脊背胛 脚下隱痛하고 或水附木勢 而上하야 爲眼澁 爲 爲冷淚하니라
그러므로 담음 침은 입에서 나오고 하행하여 음부땀과 생식기참이 되고 발을 땅에 못 딛고, 요척 등, 견갑 다리 아래가 은근히 아프고, 혹은 물이 목이 세력에 붙어서 올라가서 눈이 꺼끌하고 눈꼽이 되고 찬 눈물이 된다.
此皆肺金之虛 而寡於畏也.
이것은 다 폐금이 허하여 두려움이 적음이다.
夫脾胃不足하야 皆爲血病이라
비위가 부족하면 다 혈병이 된다.
故로 九竅不通은. 諸陽氣根於陰血하니 陰受火邪하면 則陰盛하고 陰盛하야 則上乘陽分하여 而陽道不行하니 無生發升騰之氣也라.
그러므로 9규가 소통되지 않은 것은 모든 양기가 음혈에 근본하니 음이 화사를 받으면 음이 왕성하고 음이 왕성하면 위로 양분을 타서 양도가 행하지 못하니 생발하고 상승해 오르는 기가 없게 된다.
夫陽氣는 走空竅者也오 陰氣는 附形質者也니라
양기는 공규를 달리고 음기는 형질에 붙어 있다.
如陰氣附於土하고 陽氣升於天 則各安其分也니라.
만약 음기가 땅에 붙고 양기가 하늘로 올라가면 각각 그 직분을 편안히 여김이다.
今所立方中에 有辛甘溫藥者는 非獨用也하며, 復有甘苦大寒之劑하니 亦非獨用也라.
지금 입방한 중에 신감미 온기약은 홀로 쓰지 못하며 다시 감미 고미 크게 찬 약제가 있어도 또한 홀로 쓰지 못한다.
以火酒로 二製하여 爲之使하여 引苦甘寒藥하고 至頂而復入於腎肝之下하니라
화주로써 2를 지어서 사역하게 하여 고미, 감미한 찬 약을 인경하여 정수리까지 이르고 다시 신간의 아래까지 들어가게 한다.
此所謂升降浮沈之道니, 自偶而奇하고, 奇而至偶者也라.
이는 이른바 승강부침의 도이니, 우방이면서 기방이 되고 기방이면서 우방이 된다.
○陽分은 奇오 陰分은 偶니라
양분은 홀수요 음분은 짝수니라.
瀉陰火엔 以諸風藥으로 升發陽氣하여 以滋肝膽之用이니 是는 令陽氣로 生하여 上出於陰分이오
음화를 끔에 모든 풍약으로 양기를 승발하여 간담의 사용을 자양함이니 이는 양기로 하여금 낳게 하여 위로 음분으로 나오게 함이다.
未用辛甘溫藥은, 按其升藥하여, 使不發散於陽分, 而令走於九竅也라.
심미 감미 온성의 약을 사용하지 않음은 그 상승하는 약을 살펴서 양분에 발산하지 않고 9규에 달리게 하고자 함이다.
○升降浮沈說, 天은 以陽生陰長하고, 地는 以陽殺陰藏이라.
승강부침에서 말하길, 하늘은 양으로써 생하고 음으로써 기르고 땅은 양으로써 죽이고 음으로써 저장한다.
天氣는 旺於寅하니, 寅者는, 引也라.
천기는 인시에 왕성하니 인은 끌어당김이다.
立春少陽之氣, 始於泉下하여, 引陰升而在天하여, 草木이 甲折 柝:原本의 “折”字를 “柝”字로 訂正함.
하고 立夏에 少陰火熾하야, 草木이 盛茂하니, 此는 謂天以陽生陰長이라,
입춘에 소양의 기가 비로소 땅속에서 비롯되어 음을 끌어 상승하여 하늘이 되고 초목이 떡잎이 쪼개지고 입하에는 소음화가 치성하여 초목이 무성하니 이것은 하늘로써 양은 생하고 음은 기른다는 것을 말함이다.
經에 言歲半以前은, 天氣主之라 하니, 在乎升浮也오.
경전에 말하길 반해 이전은 천기가 주관한다고 하니 승부에 있다.
地氣는 旺於申하니, 立秋에 太陰之氣 始得大伸하여, 自天而下降하여 徹地하야, 則品物이 咸殞하니라,
지기는 신시에 왕성하니 입추에 태음의 기가 비로소 크게 펴서 하늘로부터 아래로 내려와 땅을 뚫고 품물이 다 죽게 된다.
立冬에 少陰之氣伏於泉下하여, 水氷地折하니 此는 所謂地以陽殺陰藏이라,
입동에 소음의 기가 땅 속에 잠복하여 물이 얼고 땅이 갈라지니 이것은 이른바 땅은 양으로써 죽이고 음으로써 감춘다는
大抵此法此藥은, 欲令陽氣로 升浮耳오, 大禁泄滋陰之味라,
대저 이 방법과 이 약은 양기를 승부케 함일 뿐이고 크게 삼설하고 자음하는 약미를 금기한다.
亦有從權하여 而用黃柏 知母나, 爲督 任 衝 三脈이 盛也니라.
또한 임시방편을 따라서 황백, 지모를 사용하나 독맥, 임맥, 충맥 3맥이 치성하게 함이다.
所生受病者은 由土弱하여 不能生金하야 反受火木之邪하여 而淸肅之氣傷이라.
소생으로 병을 받음은 토가 약함으로 연유하여 금을 낳지 못하여 반대로 화목의 사기를 받아서 청숙하는 폐기가 손상한다.
或胸滿 少氣 短氣 氣上하며 精神少而倦惰하고 慘慘常不樂하니 皆陽氣不足而陰有餘也오.
혹은 흉만, 소기, 단기, 기상하여 정신력이 감소하고 권태하고 참담하여 항상 즐겁지 않으니 다 양기가 부족하고 음기가 유여해서이다.
或咳嗽寒熱者는 濕熱이 乘其內也니라.
혹 해수하고 오한발열하는 것은 습열이 그 안의 허약한 틈을 탄 것이다.
脾不剋化하여 鬱而爲痰하고 變生嗽喘 眩暈等證하니라
비가 극화를 못하여 울체되어 담이 되고 변해서 해수천식과 현훈등의 증상을 발생시킨다.
治宜人蔘으로 爲君하고 白朮 芍藥으로 爲佐하며 橘皮 靑皮로 以破滯氣하고 桑白皮 甘草 木香 檳 五味子로 爲佐하며, 桂枝 桔梗으로 爲引하여 用이니라.
치료는 인삼으로 군약을 삼고 백출, 작약으로 좌약을 삼으며, 귤피 청피로 체기를 부수고 상백피 감초 목향 빈랑 오미자로 좌약을 삼으며 계지 길경으로 인경하여 사용함이니라.
所不勝이 乘之者는 水乘木之妄行하여 而反來侮土라
이기지 못한 것이 타는 것은 수가 목의 망행함을 타서 반대로 토를 없신여기게 된다.
故로 腎이 入心하야 爲汗하고 入肝하야 爲泣하고 入脾하면 爲涎하고 入肺하면 爲痰 爲嗽 爲涕 爲 爲水하여 出鼻하니라.
그러므로 신이 심으로 들어가 땀이 되고 간으로 들어가 눈물이 되고, 비로 들어가 침이 되고 폐로 들어가면 담 기침 콧물 재체기가 되고 물이 되어 코로 나온다.
自入하면 則爲溺多, 爲惡寒也니라.
신이 스스로 들어가면 소변이 많아지고 오한이 된다.
治宜乾薑으로 爲君하고 白朮 附子 肉桂로 爲臣하고 茯 猪 澤瀉로 爲佐使니라.
치료는 건강으로 군약을 삼고 백출 부자 육계로 신약을 삼고 복령 저령 택사로 좌사약을 삼는다.
一說에 下元의 土盛剋水하여 致督任衝三脈이 盛하야 火旺煎熬하여 令水沸騰而乘脾肺라
일설에 하초근원의 토가 왕성하여 수를 극하여 독맥, 임맥, 충맥 3맥이 왕성하여 화가 왕성하여 지지고 볶으며 물이 끓어넘쳐 비폐를 탄다고 했다.
故로 痰唾는 出於口也오, 下行하야 爲陰汗 爲外腎冷 爲足不任地 爲腰脊背胛 脚下隱痛하고 或水附木勢 而上하야 爲眼澁 爲 爲冷淚하니라
그러므로 담음 침은 입에서 나오고 하행하여 음부땀과 생식기참이 되고 발을 땅에 못 딛고, 요척 등, 견갑 다리 아래가 은근히 아프고, 혹은 물이 목이 세력에 붙어서 올라가서 눈이 꺼끌하고 눈꼽이 되고 찬 눈물이 된다.
此皆肺金之虛 而寡於畏也.
이것은 다 폐금이 허하여 두려움이 적음이다.
夫脾胃不足하야 皆爲血病이라
비위가 부족하면 다 혈병이 된다.
故로 九竅不通은. 諸陽氣根於陰血하니 陰受火邪하면 則陰盛하고 陰盛하야 則上乘陽分하여 而陽道不行하니 無生發升騰之氣也라.
그러므로 9규가 소통되지 않은 것은 모든 양기가 음혈에 근본하니 음이 화사를 받으면 음이 왕성하고 음이 왕성하면 위로 양분을 타서 양도가 행하지 못하니 생발하고 상승해 오르는 기가 없게 된다.
夫陽氣는 走空竅者也오 陰氣는 附形質者也니라
양기는 공규를 달리고 음기는 형질에 붙어 있다.
如陰氣附於土하고 陽氣升於天 則各安其分也니라.
만약 음기가 땅에 붙고 양기가 하늘로 올라가면 각각 그 직분을 편안히 여김이다.
今所立方中에 有辛甘溫藥者는 非獨用也하며, 復有甘苦大寒之劑하니 亦非獨用也라.
지금 입방한 중에 신감미 온기약은 홀로 쓰지 못하며 다시 감미 고미 크게 찬 약제가 있어도 또한 홀로 쓰지 못한다.
以火酒로 二製하여 爲之使하여 引苦甘寒藥하고 至頂而復入於腎肝之下하니라
화주로써 2를 지어서 사역하게 하여 고미, 감미한 찬 약을 인경하여 정수리까지 이르고 다시 신간의 아래까지 들어가게 한다.
此所謂升降浮沈之道니, 自偶而奇하고, 奇而至偶者也라.
이는 이른바 승강부침의 도이니, 우방이면서 기방이 되고 기방이면서 우방이 된다.
○陽分은 奇오 陰分은 偶니라
양분은 홀수요 음분은 짝수니라.
瀉陰火엔 以諸風藥으로 升發陽氣하여 以滋肝膽之用이니 是는 令陽氣로 生하여 上出於陰分이오
음화를 끔에 모든 풍약으로 양기를 승발하여 간담의 사용을 자양함이니 이는 양기로 하여금 낳게 하여 위로 음분으로 나오게 함이다.
未用辛甘溫藥은, 按其升藥하여, 使不發散於陽分, 而令走於九竅也라.
심미 감미 온성의 약을 사용하지 않음은 그 상승하는 약을 살펴서 양분에 발산하지 않고 9규에 달리게 하고자 함이다.
○升降浮沈說, 天은 以陽生陰長하고, 地는 以陽殺陰藏이라.
승강부침에서 말하길, 하늘은 양으로써 생하고 음으로써 기르고 땅은 양으로써 죽이고 음으로써 저장한다.
天氣는 旺於寅하니, 寅者는, 引也라.
천기는 인시에 왕성하니 인은 끌어당김이다.
立春少陽之氣, 始於泉下하여, 引陰升而在天하여, 草木이 甲折 柝:原本의 “折”字를 “柝”字로 訂正함.
하고 立夏에 少陰火熾하야, 草木이 盛茂하니, 此는 謂天以陽生陰長이라,
입춘에 소양의 기가 비로소 땅속에서 비롯되어 음을 끌어 상승하여 하늘이 되고 초목이 떡잎이 쪼개지고 입하에는 소음화가 치성하여 초목이 무성하니 이것은 하늘로써 양은 생하고 음은 기른다는 것을 말함이다.
經에 言歲半以前은, 天氣主之라 하니, 在乎升浮也오.
경전에 말하길 반해 이전은 천기가 주관한다고 하니 승부에 있다.
地氣는 旺於申하니, 立秋에 太陰之氣 始得大伸하여, 自天而下降하여 徹地하야, 則品物이 咸殞하니라,
지기는 신시에 왕성하니 입추에 태음의 기가 비로소 크게 펴서 하늘로부터 아래로 내려와 땅을 뚫고 품물이 다 죽게 된다.
立冬에 少陰之氣伏於泉下하여, 水氷地折하니 此는 所謂地以陽殺陰藏이라,
입동에 소음의 기가 땅 속에 잠복하여 물이 얼고 땅이 갈라지니 이것은 이른바 땅은 양으로써 죽이고 음으로써 감춘다는
추천자료
의학입문상한변증 다면 불면 음증 음궐 양궐 훈궐 장궐 음독 양독 양성거음 음성거양 취증불취
의학입문 상한편의 오장사망징후 순의모상 요두직시 구장목함 유뇨 실음 부인상한 산전산후
의학입문 翕翕發熱흡흡발열 번조 자한식은땀 원문 및 해석 영어해석
의학입문 인삼삼백탕 부자탕 시호계지탕 계지부자탕 마황연교적소두탕 계지이마황일탕 계마각...
의학입문 내상잡병 동원이선생내상찬요글자크기줄임
의학입문 내상잡병 잡병제강 외감 火 화사
의학입문 잡병제강 沈寒痼冷침한고랭 개괄 원문 및 해석
의학입문 잡병제강 내상 眼 눈 원문 및 해석
의학입문에 나타난 출산전의 여러 질병과 한약 치료관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