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과 관련된 용어 정리 및 원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상과 관련된 용어 정리 및 원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대기 특성

2.대기 순환

전선

3.기온

4.습도

5.바람

본문내용

한다. 이 전선대는 중위도 저기압 형성역으로 부근의 여러 저기압과 더불어 많은 강수를 동반한다. 이 불연속면에 접하여 더운 공기는 상승하여 일부는 극지방으로, 일부는 저위도로 이동하게 되는데 극지방으로 이동하던 공기는 편향되어 상공의 서풍을 형성한다. 저위도지방으로 이동하던 공기는 비록 전향력이 이 공기를 동풍이 되도록 영향을 미치지만, 이미 전향력을 극복할 만큼 충분한 동향운동량을 가지고 있어서 이 지역에서의 바람은 모든 상공에서 서풍이된다.
이와는 별도로 아열대고압대로부터 극지방에 달하는 광대한 상공 지역에 서풍이 불게 되는데 이 바람을 제트류라 한다. 제트류는 대류권의 상부나 대류권계면 하부에서 초속 50∼100m의 속도로 일정하지 않게 좁은 폭을 가지고 분다.
결과적으로 대기대순환은 열대세포 ·중위도세포 ·극세포 등 3개의 순환세포를 가지고 있다. 열대세포와 극세포는 더운 공기의 상승과 찬 공기의 하강에 의하여 생기는 열대류인데, 중위도세포는 두 개의 직접순환에 의해 생기는 순환으로 찬 공기가 상승하고 더운 공기가 하강하는 간접순환이다. 따라서 열대류에 의한 직접순환은 위치에너지가 에너지를 만들지만, 중위도의 간접순환은 에너지 소모에 의해 유지된다.
기단명
영향을 주는 계절
기단의 성질
영 향
시베리아기단(A)
겨울
한랭건조
겨울철 한파, 삼한 사온, 꽃샘추위
오호츠크해기단(E)
5월 하순 -7월 상순
한랭 다습
높새 바람, 장마 전선
양쯔강 기단(B)
봄, 가을
온난 건조
봄·가을의 맑은 날씨
북태평양 기단(D)
여름
고온다습
장마전선, 무더위
적도 기단(C)
여름
고온 다습
태풍
* 이동 기단 *
기단이란 사막 혹은 대양과 같이 지표의 성질이 비슷한 곳에 대기가 오랫동안 머물게 되면, 공기는 점차 그 아래 지표의 특유한 성질을 가지게 되는데요, 이와 같이 대략 수평방향으로 수천 km나 되는 넙은 범위에 걸쳐 균일한 성질을 가진 이 거대한 공기덩어리를 말합니다. 이러한 기단은 그 성질에 의하여, 습윤또는 건조, 온난또는 한랭으로 나뉘기도 합니다..
앞에서 말한 기단이 이동함에 따라 서로 다른 성질의 두 기단이 만나게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서로 다른 두개의 기단이 만나 그 경계면은 하나의 불연속면을 이루게 되는데요, 이면을 전선면(frontal surface)이라 합니다, 차가운 공기는 밀도가 크고, 따듯한 공기는 밀도가 작습니다. 그 이유는 같은 부피에서 온도가 올라가게 되면 분자의 운도이 활발해지기 때문에 부피가 커지기때문이죠. 때문에 따듯한기단이 찬 기단을따라 완만하게 올라가는경우 온난전선이 형성됩니다. 반대로 찬기단이 따듯한 기단밑으로 파고들어가는겨우, 따듯한공기가 수식상승하여 한랭전선을 만들게 되죠. 그리고 전선(front)이란, 전선면이 지표와 만나서이루어지는 평면상의 곡선을 말한다.
1. 계절풍 기후 - 우리 나라의 연교차와 1월과 8월의 풍향별 빈도
우리 나라의 연교차가 큰 것은 계절에 따라서 한대 기단과 아열대 기단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즉, 겨울에는 한랭 기단의 영향으로 한랭하고 여름에는 아열대기단의 영향을 받아서 기온이 높다. 겨울철에는 대륙의 영향을 반영하여 전국적으로 북서풍계의 바람이 우세한 반면, 여름철에는 남서·남동풍계의 바람이 우세하다.
가 양쯔강,오호츠크해
나 북태평양기단.적도기단
다 ( 양쯔강기단 )
라 시베리아 기단
기단명
영향을 주는 계절
기단의 성질
영 향
시베리아기단(A)
겨울
한랭건조
겨울철 한파, 삼한 사온, 꽃샘추위
오호츠크해기단(E)
5월 하순 -7월 상순
한랭 다습
높새 바람, 장마 전선
양쯔강 기단(B)
봄, 가을
온난 건조
봄·가을의 맑은 날씨
북태평양 기단(D)
여름
고온다습
장마전선, 무더위
적도 기단(C)
여름
고온 다습
태풍
전선
한랭전선
한랭기단(寒冷氣團)이 온난기단(溫暖氣團)을 향하여 이동하여, 난기단 밑으로 쐐기 모양으로 파고 들어가고 있을 때의 경계면을 한랭전선면(寒冷前線面)이라 하는데 이 한랭전선면이 지면과 접하고 있는 선.
온난전선
이것을 경계로 풍향 ·풍속 ·기온 ·습도 등 기상요소들은 불연속적으로 변화한다. 난기단은 한기단보다 밀도가 작기 때문에 두 기단이 만나서 난기단이 한기단 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빠른 속도로 한기단 위로 올라가게 된다.
이 때에 두 기단의 경계면의 경사는 완만하여 1/100∼1/150이다. 이 불연속면을 타고 난기류가 상승하게 되면 난기류는 냉각되어 구름을 발생하여 한기단 쪽에 비 또는 눈을 내리게 한다. 어느 지점에 온난전선이 접근하고 있으면 먼저 권층운 고층운등이 나타나고 다음에 난층운(비구름)이 와서 비가 오게 된다
특징
(1) 한랭 전선
(2) 온난 전선
생성
찬 기단의 세력이 강할 때
더운 기단의 세력이 강할 때
전선면 기울기
급함
완만
전선 이동 속도
빠름
느림
구름과 강수
적운형, 소나기
층운형, 보슬비
강수 구역
전선 후면, 좁다.
전선의 전면, 넓다.
전선 통과시 변화
기압 상승, 기온 하강
남서풍 → 북서풍
기압 하강, 기온 상승
남동풍 → 남서풍
전선의 생성과 소멸
발생기 : 한대의 차고 무거운 공기와 남쪽의 따뜻하고 가벼운 공기가 접하여 전선면을 형성 한다. 이때 찬 지역에서는 동풍이, 따뜻한 지역에서는 서풍이 우세하며, 두 공기의 세력이 같으면 이틀 정도 움직이지 않는다.
발생초기 : 따뜻한 공기의 세력이 강하면 찬 공기 쪽으로 부풀어 올라 전선파가 형성된다. 이때 전향력이 작용하여 반시계 방향의 소용돌이가 생기고 부풀기 시작한 저기압 의 앞면에는 온난 전선, 후면에는 한랭 전선이 형성된다.
발달기 : 전선파가 불안정해져서 한대 전선의 변형이 점점 심해져 파동이 커지게 된다. 이 때 지상의 기압이 점점 내려가고 파동의 정점에서 저기압이 발달하고 온난전선 앞 쪽의 층운형 구름에서 보슬비가,한랭 전선 뒷쪽의 적란운에서 폭우가 내린다.
절정기 : 한랭 전선의 이동 속도가 온난 전선보다 빠르기 때문에 저기압의 중심 부근에서 한랭 전선이 온난 전선을 따라붙어 폐색 전선을 만든다.
폐생기 : 저기압중심 부근부터 폐색 전선이 형성되면서 온대저기압의 세력이 점차약해진다.
소멸기 : 북상한 따뜻한 공기는 차가워지고 남하한 차가운 공기는 따뜻해지기

키워드

기상,   대기,   기단,   전선,   기온,   습도,   바람,   풍향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6.03.11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93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