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bridge의 검사, 진단부터 장착, 술후 관리까지 기술하시오
2. 국소의치의 검사, 진단부터 장착, 술후관리까지 기술하시오.
3. 총의치의 검사, 진단부터 장착, 술후 관리까지 기술하시오.
1. 치수절단술의 과정 사용되는 기구를 적용하면서 설명하시오.
2. 치수절제술의 과정과 사용되는 기구를 적용하면서 설명하시오.
3. bur의 종류에 따른 사용용도를 설명하시오.
4. 치아우식증의 진행정도에 따라 치아우식을 분류하고 설명하시오.
5. 구강악안면외과기구를 설명하시오.
6. 난발치술식의 5가지 예를 설명하시오.
7. 임시치관의 목적을 쓰시오.
8. 임시치관의 종류를 쓰시오.
2. 국소의치의 검사, 진단부터 장착, 술후관리까지 기술하시오.
3. 총의치의 검사, 진단부터 장착, 술후 관리까지 기술하시오.
1. 치수절단술의 과정 사용되는 기구를 적용하면서 설명하시오.
2. 치수절제술의 과정과 사용되는 기구를 적용하면서 설명하시오.
3. bur의 종류에 따른 사용용도를 설명하시오.
4. 치아우식증의 진행정도에 따라 치아우식을 분류하고 설명하시오.
5. 구강악안면외과기구를 설명하시오.
6. 난발치술식의 5가지 예를 설명하시오.
7. 임시치관의 목적을 쓰시오.
8. 임시치관의 종류를 쓰시오.
본문내용
조직은 이단하고 자름-메젠바움(Metzenbaum)
붕대절단-bandge scissor
② 봉합사가위(suture scissor)
직선또는 곡선의 날로 되어 있음.
봉합사를 자를 때 사용
Dean scissor-가장 많이 이용
7) 골겸자(Bone rongeur)
치조골을 제거.
치아를 여러 개 발거하고 난 후 예리하게 생긴 돌기부위를 제거.
무치악의 변연을 형성하는데 사용
8) 외과용 끌과 망치(surgical chisel & mallet)
치아나 골을 절단하거나 제거할 때 사용
9) 골줄(bnone file)
밀고 당기는 동작.
골겸자 사용 후의 골표면을 매끈하게 다듬거나 치조골의 변열을 매끈하게 할때 이용.
날 당길 때 : 골이 삭제.
10) 외과용 큐렛(surgical curette)
치아 발거 후 발치와에서 병적인 육아조직 제거 및 치근단 병소를 제거한다.
11) 견인기(Retractor)
수술시 좋은 시야와 접근성을 위해 연조직을 견인할 때 사용.
12) 발치기자(elevator)
치조와로부터 치아를 탈구시키고 치아를 들어올림
13) 치근단 제거용 발치기자(root picker)
치조와로부터 작은 치근 끝을 제거하는데 사용.
발치기자의 접근이 어려운 위치에 있는 부러진 치근을 제거하기 위한 섬세한 기구.
14) 발치겸자(extraction forceps)
치조와에서 치아를 발거함.
상·하악용으로 뉘고 상악에서는 다시 좌우측으로 구분
치관형태, 치근형태, 구강 내 위치등을 고려
15) 기구 이동용 겸자(Instrument forcep)
소독된 기구를 들어올려 이동할 때 사용.
6. 난발치술식의 5가지 예를 설명하시오.
① 치근이 만곤된 치아
② 치근이개가 심한 치아
③ 백악질 증식으로 치근첨 비대가 있는 치아
④ 심한 치아우식증으로 치관이 파절될 가능성이 있는 치아
⑤ 치조골이 유착된 치아(신경치료치아)
7. 임시치관의 목적을 쓰시오.
① 치수보호
② 삭제된 치아의 변연보호
③ 치아의 기능회복
④ 심미성 유지
⑤ 지대치 및 대합치의 이동이나 정출 방지
⑥ 인접 치아와 접촉점 유지
8. 임시치관의 종류를 쓰시오.
① Acrylic resin crown
치아의 색과 일치.
심미적 요인을 중요시하는 전치부에 주로 사용
② Polycarbonate crown
치아색을 가짐. 교합면의 형태가 미리 부여.
심미성이 탁월해 전치부에 주로 사용
③ Aluminum crown
강한 강도는 지님. 주로 구치부에 사용.
붕대절단-bandge scissor
② 봉합사가위(suture scissor)
직선또는 곡선의 날로 되어 있음.
봉합사를 자를 때 사용
Dean scissor-가장 많이 이용
7) 골겸자(Bone rongeur)
치조골을 제거.
치아를 여러 개 발거하고 난 후 예리하게 생긴 돌기부위를 제거.
무치악의 변연을 형성하는데 사용
8) 외과용 끌과 망치(surgical chisel & mallet)
치아나 골을 절단하거나 제거할 때 사용
9) 골줄(bnone file)
밀고 당기는 동작.
골겸자 사용 후의 골표면을 매끈하게 다듬거나 치조골의 변열을 매끈하게 할때 이용.
날 당길 때 : 골이 삭제.
10) 외과용 큐렛(surgical curette)
치아 발거 후 발치와에서 병적인 육아조직 제거 및 치근단 병소를 제거한다.
11) 견인기(Retractor)
수술시 좋은 시야와 접근성을 위해 연조직을 견인할 때 사용.
12) 발치기자(elevator)
치조와로부터 치아를 탈구시키고 치아를 들어올림
13) 치근단 제거용 발치기자(root picker)
치조와로부터 작은 치근 끝을 제거하는데 사용.
발치기자의 접근이 어려운 위치에 있는 부러진 치근을 제거하기 위한 섬세한 기구.
14) 발치겸자(extraction forceps)
치조와에서 치아를 발거함.
상·하악용으로 뉘고 상악에서는 다시 좌우측으로 구분
치관형태, 치근형태, 구강 내 위치등을 고려
15) 기구 이동용 겸자(Instrument forcep)
소독된 기구를 들어올려 이동할 때 사용.
6. 난발치술식의 5가지 예를 설명하시오.
① 치근이 만곤된 치아
② 치근이개가 심한 치아
③ 백악질 증식으로 치근첨 비대가 있는 치아
④ 심한 치아우식증으로 치관이 파절될 가능성이 있는 치아
⑤ 치조골이 유착된 치아(신경치료치아)
7. 임시치관의 목적을 쓰시오.
① 치수보호
② 삭제된 치아의 변연보호
③ 치아의 기능회복
④ 심미성 유지
⑤ 지대치 및 대합치의 이동이나 정출 방지
⑥ 인접 치아와 접촉점 유지
8. 임시치관의 종류를 쓰시오.
① Acrylic resin crown
치아의 색과 일치.
심미적 요인을 중요시하는 전치부에 주로 사용
② Polycarbonate crown
치아색을 가짐. 교합면의 형태가 미리 부여.
심미성이 탁월해 전치부에 주로 사용
③ Aluminum crown
강한 강도는 지님. 주로 구치부에 사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