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학] 불국사 기행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문과학] 불국사 기행문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불국사를 가기전에

2. 불국사를 답사하면서
1)일주문
2)천왕문
3)청운교와 백운교
4)연화교와 칠보교
5)다보탑
6)석가탑
7)대웅전
8)무설전
9)관음전
10)비로전
11)사리탑
12)나한전
13)극락전


3. 불국사 답사 후기

본문내용

를 방문하고 있다. 과거의 뛰어난 불교문화재 뿐만 아니라 현재의 불국사는 강원과 선원에서 수많은 스님들이 수행하고 계시고 한국불교의 지혜의 맥을 이어가는 중심적인 수행처이기도 하다.
불국사는 신라 경덕왕 10년 재상 김대성이 발원하여 개창되고, 혜공왕 10년에 완성되었다. 그러나 조선선조 26년(1593) 임진왜란때, 의병의 주둔지로 이용된 탓에 일본군에 의해 목조건물이 모두 불타버렸다.
그 후 대웅전 등 일부를 다시세우고, 1969~1993년에 처음 건립당사의 건물터를 발국조사하고 대대적으로 복원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동서길이 90여미터되는 석축과 청운교·백운교 위에 자하문·대웅전·무설전이 남북으로 놓여있고, 석가탑·다보탑이 있다. 그리고 서쪽에 연화교·칠보교·안양문·극락전이 있다. 무설전 뒤편에는 금동비로자나불상을 모신 비로전과 관음전이 있다.
2. 불국사를 답사하면서
지난 00월 00일, 0요일 불국사로 향하는 경주행 버스를 탔다. 00-경주행 버스였는데 중간에 양산을 거쳐서 가는 바람에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걸렸다. 버스에서 내리자마자 외국인도 보였고, 여기저기서 관광객들을 많이 볼 수 있었다. 역시 ‘관공문화의 도시 경주’였다. 터미널 반대편에서 불국사로 가는 버스 10번을 타고, 불국사로 향했다.
처음 가보는 것은 아니었지만, 가본지 오래된 탓인지 처음 가보는 것처럼 새로웠고, 지금보면 어떻게 보일는지? 어떤 느낌을 받을 것인지? 너무 기대되었다. 불국사로 가는 버스가 상당히 자주 있는데도 불구하고,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버스에 타서 거의 꽉 찼다. 처음에는 모두 불국사로 가는 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불국사로 가는길에 여러 관공코스도 많았고, 경주랜드로도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몰려갔다. 이렇게 구경꺼리가 많은 경주에 사는 사람들이 부럽게 느껴졌고, 앞으로도 많은 사람들이 구경올 수 있는 관광명소로 더욱 발전되어 나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버스를 타고 20분쯤 간 뒤에 드디어 불국사 입구 주차장에 도착하였다. 처음에 불국사로 가는 입구를 찾지 못해서 머뭇거렸는데, 주위를 유심히 둘러본 끝에 조그맣게 불국사 입구라는 간판을 볼 수 있었다. 좀 더 잘 알아볼 수 있도록 크게 쓰여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길을 따라서 5분정도 올라가니 불국사로 들어가는 입구인 일주문이 보였다.
일주문 앞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붐볐고, 주차되어있는 수많은 차들도 볼 수 있었다. 방학이나 휴가철도 아닌데 이처럼 많은 사람들이 붐비다니 정말로 놀라웠다. 그만큼 불국사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화재이고 관광명소라는 것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다. 입장권을 구입하고 떨리는 마음으로 불국사의 입구인 일주문으로 들어갔다.
1) 일주문(一柱門)
일주문이라는 말은 기둥이 한 줄로 되어 있는 데서 유래된 말이다. 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지붕을 얹는 일반적인 가옥형태와는 달리 일직선상의 두 기둥 위에 지붕을 얹는 독특한 형식을 갖추고 있다. 사찰을 들어가는 첫 번째 문을 독특한 양식으로 세운 것은 일심(一心)을 상징하는 것이다. 신성한 가람에 들어서기 전에 세속의 번뇌를 불법의 청량수로 말끔히 씻고 일심으로 진리의 세계로 향하라는 상징적인 가르침이 담겨있다.
건축양식은 주로 다포계(多包系) 여기서 포(包)란 목조건물에서 지붕 처마 끝에 하중을 받치기 위해 기둥머리 같은데 짜맞추어 댄 나무부재이다. 지붕의 하중을 기둥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다포계양식은 포의 배치방식에 분류법으로 기둥위와 기둥사이에도 포가 놓인 공포형식을 말한다. 즉, 포가 많다는 의미이다. 기둥위에 있는 포를 주심포(柱心包)라 하고, 기둥 사이에 놓인 포를 주간포(柱間包)라 한다.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데, 이 문에 많은 현판들을 걸어 사찰의 격을 나타내기도 한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동래 범어사, 양산 통도사, 합천 해인사의 일주문 등이 있다.
일반적인 관광객의 경우 일주문을 하나의 문화재로는 전혀 인식을 하지 못하는 것 같았다.
나도 미리 알아보지 않았다면 불국사의 일주문을 단순히 불국사라는 간판이 걸려진, 들어가는 입구로 밖에 알아보지 못했을 것이다. 주위에 일주문을 설명해주는 게시판이라도 하나 있었으면,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무심코 하나의 뜻 깊고 중요한 문화재를 그냥 지나쳐버리지 않았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남았다.
2) 천왕문
아쉬움을 뒤로하고 연못을 지나 천왕문에 다다랐다. 천왕문은 불법을 수호하는 외호신(불국 정토의 외곽을 맡아 지키는 신)의 사천왕이 안치된 전각으로 사찰을 지키고 악귀를 내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3.24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06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