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을 밝히려고 하였다. 이 운동에 참여했던 주요 멤버로는 모스크바 언어학 서클의 R.O.D 야콥슨, 오포야즈(시적 언어연구회)의 V.B.시클로프스키, B.M.에리헨바움, Y.N.티냐노프, B.V.토마셰프스키 등을 들 수 있다. 야콥슨은 ‘문학에 관한 학문의 대상은 문학이 아닌 문학성, 즉 어떤 작품을 문학작품답게 만드는 것이다’라고 주장하며, 지금까지의 문학 연구가 문학사나 사회사 또는 심리학 및 철학에 근거를 둔 사실에 격렬히 반발하였다.
이 같은 문학작품의 자율성 강조는 당시 미래주의자들의 ‘자움’, 즉 초의미적 언어(超意味的言語)에 의한 시(詩) 및 큐비즘(입체파) 회화(繪畵) 등과 퀘도를 같이하는 것이었으며, 내용보다 형식이 우선 문제시되었다. 또한 시클로프스키는, 예술의 목적은 사물을 이화(異化) 시키고 비(非)일상화시키는 데 있으며, 예술의 수법은 지각(知覺)활동을 곤란하게 하고 지연시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고도 주장하였다. 이같이 내용이 아닌 예술의 수법에 중점을 둠으로써 언어과학의 밀접한 관계를 초래하여 일상언어와 구별된 시적 언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러시아 형식주의의 구체적인 성과로는 시 분야에 관련된 것이 많으나, 산문 분야에도 플롯 구성의 수법과 이야기패러디 등의 면에 주목할 만한 성과가 적지 않다. 시클로프스키와 티냐노프의 문학사론, 나아가서는 V.Y.프로프의 《민화(民話)의 형태학》 (1928)도 빼놓을 수 없는 업적이다.
초기의 특징적이었던 선언(宣言)투의 과격한 주장은 얼마 가지 않아서 티냐노프 야곱슨등이 저작을 통하여 다른 문화계열 생활계열 사회계열과의 관계도 포함시킨 것으로 변해 갔다. 이 같은 변화에도 불구하고 1920년대 중반부터 이 운동이 반(反)마르크스주의적이라는 비판과 비난이 거세지면서 러시아 형식주의는 결국 좌절되고 말았다. 이 형식주의의 축출정 책은 후에 영화연극음악에도 미쳤다. 그러나 러시아 형식주의의 업적은 1930년대 후반 프라하 구조주의에 의해 비판적으로 계승되었고, 1960년대 이후 구조주의와 기호학이 발달 되면서 다시 주목을 받게 되었다.
3.소쉬르의 언어이론
통상 소쉬르는 현대 언어학의 아버지, 구조주의의 원류, 기호학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생존 당시 소쉬르가 천부적 능력을 발휘하여TEjs 분야는 19세기 언어 연구의 패러다임이었던 비교역사문법이었다.
소쉬르는 당대의 비교역사언어학자들이 언어연구 대상의 본질에 대한 물음을 놓
이 같은 문학작품의 자율성 강조는 당시 미래주의자들의 ‘자움’, 즉 초의미적 언어(超意味的言語)에 의한 시(詩) 및 큐비즘(입체파) 회화(繪畵) 등과 퀘도를 같이하는 것이었으며, 내용보다 형식이 우선 문제시되었다. 또한 시클로프스키는, 예술의 목적은 사물을 이화(異化) 시키고 비(非)일상화시키는 데 있으며, 예술의 수법은 지각(知覺)활동을 곤란하게 하고 지연시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고도 주장하였다. 이같이 내용이 아닌 예술의 수법에 중점을 둠으로써 언어과학의 밀접한 관계를 초래하여 일상언어와 구별된 시적 언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러시아 형식주의의 구체적인 성과로는 시 분야에 관련된 것이 많으나, 산문 분야에도 플롯 구성의 수법과 이야기패러디 등의 면에 주목할 만한 성과가 적지 않다. 시클로프스키와 티냐노프의 문학사론, 나아가서는 V.Y.프로프의 《민화(民話)의 형태학》 (1928)도 빼놓을 수 없는 업적이다.
초기의 특징적이었던 선언(宣言)투의 과격한 주장은 얼마 가지 않아서 티냐노프 야곱슨등이 저작을 통하여 다른 문화계열 생활계열 사회계열과의 관계도 포함시킨 것으로 변해 갔다. 이 같은 변화에도 불구하고 1920년대 중반부터 이 운동이 반(反)마르크스주의적이라는 비판과 비난이 거세지면서 러시아 형식주의는 결국 좌절되고 말았다. 이 형식주의의 축출정 책은 후에 영화연극음악에도 미쳤다. 그러나 러시아 형식주의의 업적은 1930년대 후반 프라하 구조주의에 의해 비판적으로 계승되었고, 1960년대 이후 구조주의와 기호학이 발달 되면서 다시 주목을 받게 되었다.
3.소쉬르의 언어이론
통상 소쉬르는 현대 언어학의 아버지, 구조주의의 원류, 기호학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생존 당시 소쉬르가 천부적 능력을 발휘하여TEjs 분야는 19세기 언어 연구의 패러다임이었던 비교역사문법이었다.
소쉬르는 당대의 비교역사언어학자들이 언어연구 대상의 본질에 대한 물음을 놓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