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목차
-차 례-
Ⅰ. 지역사회와 지역사회 이론에 대한 이해
Ⅱ. 지역사회복지와 지역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이해
Ⅲ. 지역사회복지의 역사적 전개
Ⅳ.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에 대한 이해
Ⅴ.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원칙과 개입과정
Ⅵ.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실천기술
Ⅶ. 지역사회복지실천의 현장
Ⅷ.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쟁점과 향후 과제
Ⅸ. 참고문헌
Ⅰ. 지역사회와 지역사회 이론에 대한 이해
Ⅱ. 지역사회복지와 지역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이해
Ⅲ. 지역사회복지의 역사적 전개
Ⅳ.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에 대한 이해
Ⅴ.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원칙과 개입과정
Ⅵ.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실천기술
Ⅶ. 지역사회복지실천의 현장
Ⅷ.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쟁점과 향후 과제
Ⅸ. 참고문헌
본문내용
역사회조직
근린지역사회조직 모델은 지역사회 개발을 통한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목표를 둔다. 이 모델에서는 조직가, 교사, 촉진자(facilitator)로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강조되며, 지역사회 구성원은 지리적 의미의 지역사회 주민들이 된다. 변화를 이끌어 내야할 표적체계
로는 지방자치단체 정부, 지역사회 개발을 실행하려는 외부 개발자, 또는 지역사회 주민 자체가 된다. 또 지역사회의 개발과 변화 유도를 위한 지역사회 조직을 가능케 하는 구성원들의 능력개발이 주요 전략이 된다.
② 기능적 지역사회조직
이 모델은 공통의 관심사에 근거한 기능적 지역사회 조직에 중점을 두어 사회적 이슈나 특정집단(예를 들어, 장애인, 수급권자, 매맞는 여성 등)의 권익 보호 및 옹호를 목표로 삼고 있는 모델이다. 따라서 실천가들의 조직가, 옹호자, 촉진자로서의 역할이 강조된다. 주요 표적체계로는 일반대중과 정부기관 등을 들 수 있다. 지역사회 내의 기존의 태도 및 인식, 행위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 옹호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사회정의를 위한 행동들을 핵심 전략으로 볼 수 있다.
③ 지역사회개발모델
앞서 언급하였듯이, Weil과 Gamble은 지역사회의 개발영역을 경제적 및 사회적 영역으로 살펴보았다. Weil(1996)의 정의에 의하면 사회개발(social development)은 개개인의 능력과 기술향상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개개인이 지역사회의 욕구와 전통에 보다 밀착된 계획을 주창하고 관리하여 그 지역사회의 경제적 및 사회적 여건을 개선하고 환경과 자원의 지속적인 생존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개발을 의미한다. 즉 지역사회의 전반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경제적 영역과 사회적 영역의 개발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한다.
특히 지역주민의 소득, 자원, 사회적 지원의 개발을 주요 목표로 삼고 지역 금융기관, 재단, 외부개발자 및 주민자체를 변화의 표적 집단으로 간주한다. 지역주민관점에 기초한 개발계획을 변화전략으로 강조하며 저소득계층을 실천의 우선 수혜자로 본다.
④ 사회계획모델
이 모델의 변화 목표는 지역사회 욕구에 부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여러 서비스를 조정하는 네트워크의 제공에 있다. 이를 위해 요구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조사자,
프로포절 제안자, 관리자, 정보전달자의 역할이며, 주요 구성원으로는 선거로 선출된 공무원, 사회기관과 기관간의 조직 변화를 들 수 있다. 표적체계는 지역사회 지도자의 와 사회서비스 제공기관의 관리자 등의 관점이나 견해를 들 수 있고, 변화의 주요 전략으로는 사회문제를 충분히 지적하고 그 해결방안을 담고 있는 계획안의 개발이 된다.
⑤ 프로그램 개발과 지역사회 연계
Rothman의 사회계획 모델에서 추가적으로 세분화된 이 모델은 특정집단에 대한 서비스 개발을 주요 변화 목표로 삼고 있으며, 주요 구성원으로는 서비스 제공기관의 이사회나 관리자 및 지역사회 주민들이 된다. 변화의 표적 체계로는 기관의 재정 지원자와 동시에 서비스 수혜자들로 구성된다. 기관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효과성 및 질을 증진하거나 새로운 전달체계를 고안하는 것들이 주요 변화전략 및 과업으로 여겨진다.
⑥ 정치사회 행동
지역주민의 정치적 권력향상이나 기존 제도의 변화를 추구하는 이 모델은 특정 정치력 행사의 단위 안에 포함되는 시민들이 주요 구성원이다. 선거권자와 선거를 통해 당선된 공무원들이 표적체계가 되며, 정치권의 향상을 통한 정치 행위나 사회정책 결정에 대한 영향력 행사는 주요 전략이 된다.
⑦ 연합
사회적 이슈와 관련된 옹호를 주요 변화 목표로 하는 이 모델은 연합에 포함된 기관 또는 집단을 주요 구성원으로 삼는다. 정부 조직이나 선출된 공무원이 표적체계이며 정책 변화에 영향력 행사를 위한 여러 기관들의 협력된 권력 구축을 주요 전략으로 강조한다. 사회복지사나 실천가들은 중재자, 협상가 또는 대변인의 역할이 요구된다.
특히 연합 모델은 지역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의 해결이 한 집단의 노력으로 해결되기 어렵다는 인식이 명백하여 지역사회 여러 집단간의 장기적인 협력관계가 필요로 할 때 선택될 가능성이 높다. 여러 기관들이 공동으로 기금 신청을 한다거나 의사결정자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활용된다. 또 서비스의 수혜집단에 각 집단에 속하는 구성원이 포함되어 다양성이 높다는 것도 이 모델이 갖는 주요 장점이 된다.
⑧ 사회운동
사회정의 실현을 위한 이 모델은 일차적 구성원으로 지역사회의 지도자나 운동단체가 된다. 대중이나 정치체계는 표적 체계가 되며 사회정의 실현을 위한 행동의 실행이 주요전략이 된다. 사회운동은 추진하려는 행동의 목표나 대의가 전체 주민들에게 수용되고 문제의 중요성이 대중에게 인식될 때 확장되어 나갈 수 있다. 전통적으로 사회운동의 참여는 전문성을 강조해온 사회복지 실천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역할과는 별도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변화된 지역사회복지실천 환경은 사회복지 조직에서 활동해 온 사회복지사들의 지역사회 복지체계 구축의 참여 기회를 확대시켜 나가고 있다. 이러한 기회에 능동적인 참여를 위해서는 사회복지사들이 사회운동에서 논의되는 쟁점들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클라이언트의 복지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다.
특성비교
모델
실천을 통한 변화 목표
사회복지사의 주요역할
지역사회 구성원
변화의 표적체계
변화 전략 및 핵심과업
(1)근린 지역사회조직
지역사회주민의 삶의 질 향상
조직가
교사
촉진자
이웃에 거주하는 지역사회주민
지방정부, 외부개발자, 지역사회 주민
조직화를 위한 구성원의 능력개발, 리더십 향상
(2)기능적 지역사회조직
특정이슈와 대상의 권익보호 및 옹호
조직가
옹호자
정보전달자
촉진자
동호인
(공동의 관심과 이해)
일반대중, 정부기관
행위, 태도의 옹호와 변화에 초점을 둔 사회 정의를 위한 행동
(3)지역사회 개발(사회적 경제적 측면)
소득, 자원, 사회적지원개발.
교육과 리더십기술 향상
협상가
증진자
교사
계획가
관리자
지역사회 저소득계층, 주변계층 및
불이익계층
금융기관, 재단, 외부개발자, 지역사회주민
지역주민관점에 기초한 개발계획
주도
(4)사회 계획
프로그램 개발, 서비스 조정을 위한 네트
근린지역사회조직 모델은 지역사회 개발을 통한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목표를 둔다. 이 모델에서는 조직가, 교사, 촉진자(facilitator)로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강조되며, 지역사회 구성원은 지리적 의미의 지역사회 주민들이 된다. 변화를 이끌어 내야할 표적체계
로는 지방자치단체 정부, 지역사회 개발을 실행하려는 외부 개발자, 또는 지역사회 주민 자체가 된다. 또 지역사회의 개발과 변화 유도를 위한 지역사회 조직을 가능케 하는 구성원들의 능력개발이 주요 전략이 된다.
② 기능적 지역사회조직
이 모델은 공통의 관심사에 근거한 기능적 지역사회 조직에 중점을 두어 사회적 이슈나 특정집단(예를 들어, 장애인, 수급권자, 매맞는 여성 등)의 권익 보호 및 옹호를 목표로 삼고 있는 모델이다. 따라서 실천가들의 조직가, 옹호자, 촉진자로서의 역할이 강조된다. 주요 표적체계로는 일반대중과 정부기관 등을 들 수 있다. 지역사회 내의 기존의 태도 및 인식, 행위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 옹호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사회정의를 위한 행동들을 핵심 전략으로 볼 수 있다.
③ 지역사회개발모델
앞서 언급하였듯이, Weil과 Gamble은 지역사회의 개발영역을 경제적 및 사회적 영역으로 살펴보았다. Weil(1996)의 정의에 의하면 사회개발(social development)은 개개인의 능력과 기술향상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개개인이 지역사회의 욕구와 전통에 보다 밀착된 계획을 주창하고 관리하여 그 지역사회의 경제적 및 사회적 여건을 개선하고 환경과 자원의 지속적인 생존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개발을 의미한다. 즉 지역사회의 전반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경제적 영역과 사회적 영역의 개발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한다.
특히 지역주민의 소득, 자원, 사회적 지원의 개발을 주요 목표로 삼고 지역 금융기관, 재단, 외부개발자 및 주민자체를 변화의 표적 집단으로 간주한다. 지역주민관점에 기초한 개발계획을 변화전략으로 강조하며 저소득계층을 실천의 우선 수혜자로 본다.
④ 사회계획모델
이 모델의 변화 목표는 지역사회 욕구에 부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여러 서비스를 조정하는 네트워크의 제공에 있다. 이를 위해 요구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조사자,
프로포절 제안자, 관리자, 정보전달자의 역할이며, 주요 구성원으로는 선거로 선출된 공무원, 사회기관과 기관간의 조직 변화를 들 수 있다. 표적체계는 지역사회 지도자의 와 사회서비스 제공기관의 관리자 등의 관점이나 견해를 들 수 있고, 변화의 주요 전략으로는 사회문제를 충분히 지적하고 그 해결방안을 담고 있는 계획안의 개발이 된다.
⑤ 프로그램 개발과 지역사회 연계
Rothman의 사회계획 모델에서 추가적으로 세분화된 이 모델은 특정집단에 대한 서비스 개발을 주요 변화 목표로 삼고 있으며, 주요 구성원으로는 서비스 제공기관의 이사회나 관리자 및 지역사회 주민들이 된다. 변화의 표적 체계로는 기관의 재정 지원자와 동시에 서비스 수혜자들로 구성된다. 기관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효과성 및 질을 증진하거나 새로운 전달체계를 고안하는 것들이 주요 변화전략 및 과업으로 여겨진다.
⑥ 정치사회 행동
지역주민의 정치적 권력향상이나 기존 제도의 변화를 추구하는 이 모델은 특정 정치력 행사의 단위 안에 포함되는 시민들이 주요 구성원이다. 선거권자와 선거를 통해 당선된 공무원들이 표적체계가 되며, 정치권의 향상을 통한 정치 행위나 사회정책 결정에 대한 영향력 행사는 주요 전략이 된다.
⑦ 연합
사회적 이슈와 관련된 옹호를 주요 변화 목표로 하는 이 모델은 연합에 포함된 기관 또는 집단을 주요 구성원으로 삼는다. 정부 조직이나 선출된 공무원이 표적체계이며 정책 변화에 영향력 행사를 위한 여러 기관들의 협력된 권력 구축을 주요 전략으로 강조한다. 사회복지사나 실천가들은 중재자, 협상가 또는 대변인의 역할이 요구된다.
특히 연합 모델은 지역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의 해결이 한 집단의 노력으로 해결되기 어렵다는 인식이 명백하여 지역사회 여러 집단간의 장기적인 협력관계가 필요로 할 때 선택될 가능성이 높다. 여러 기관들이 공동으로 기금 신청을 한다거나 의사결정자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활용된다. 또 서비스의 수혜집단에 각 집단에 속하는 구성원이 포함되어 다양성이 높다는 것도 이 모델이 갖는 주요 장점이 된다.
⑧ 사회운동
사회정의 실현을 위한 이 모델은 일차적 구성원으로 지역사회의 지도자나 운동단체가 된다. 대중이나 정치체계는 표적 체계가 되며 사회정의 실현을 위한 행동의 실행이 주요전략이 된다. 사회운동은 추진하려는 행동의 목표나 대의가 전체 주민들에게 수용되고 문제의 중요성이 대중에게 인식될 때 확장되어 나갈 수 있다. 전통적으로 사회운동의 참여는 전문성을 강조해온 사회복지 실천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역할과는 별도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변화된 지역사회복지실천 환경은 사회복지 조직에서 활동해 온 사회복지사들의 지역사회 복지체계 구축의 참여 기회를 확대시켜 나가고 있다. 이러한 기회에 능동적인 참여를 위해서는 사회복지사들이 사회운동에서 논의되는 쟁점들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클라이언트의 복지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다.
특성비교
모델
실천을 통한 변화 목표
사회복지사의 주요역할
지역사회 구성원
변화의 표적체계
변화 전략 및 핵심과업
(1)근린 지역사회조직
지역사회주민의 삶의 질 향상
조직가
교사
촉진자
이웃에 거주하는 지역사회주민
지방정부, 외부개발자, 지역사회 주민
조직화를 위한 구성원의 능력개발, 리더십 향상
(2)기능적 지역사회조직
특정이슈와 대상의 권익보호 및 옹호
조직가
옹호자
정보전달자
촉진자
동호인
(공동의 관심과 이해)
일반대중, 정부기관
행위, 태도의 옹호와 변화에 초점을 둔 사회 정의를 위한 행동
(3)지역사회 개발(사회적 경제적 측면)
소득, 자원, 사회적지원개발.
교육과 리더십기술 향상
협상가
증진자
교사
계획가
관리자
지역사회 저소득계층, 주변계층 및
불이익계층
금융기관, 재단, 외부개발자, 지역사회주민
지역주민관점에 기초한 개발계획
주도
(4)사회 계획
프로그램 개발, 서비스 조정을 위한 네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