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심도자
2. Echocardiography
3. PAWP
4. EKG
5. Angiocardiography
6. CVP
7.Pericardiocentesis
8.Exercise stress testing
9.Venogram
10.Femoral Arteriography
11. CPR
12. Defibrillation
13.PTCA
14.Schilling test
15. Blood coagulation studies
16.Bone marrow aspiration
17.HLA
순환관계 간호사정(객과적 주관적 기준)
순환기계 간호진단및 간호 중재
순환기계 약물요법
2. Echocardiography
3. PAWP
4. EKG
5. Angiocardiography
6. CVP
7.Pericardiocentesis
8.Exercise stress testing
9.Venogram
10.Femoral Arteriography
11. CPR
12. Defibrillation
13.PTCA
14.Schilling test
15. Blood coagulation studies
16.Bone marrow aspiration
17.HLA
순환관계 간호사정(객과적 주관적 기준)
순환기계 간호진단및 간호 중재
순환기계 약물요법
본문내용
정맥이나 대퇴정맥을 통해 멸균 방사선 토관을 형광투시경을 보 면서 삽입하고 도관은 상대정맥이나 하대정맥을 거쳐 우심방, 우심실, 폐동맥까지 진입시킨다.
좌심도자법의 경우에는 대퇴동맥을 통하여 복부 대동맥, 흉부 대동맥, 대동맥궁을 거쳐 좌심실로 진입한다.
⑧ 삽입할 동맥이나 정맥 부위를 특수 바늘로 천공한 후 바늘 구멍을 통해 유도용 철사 (guide wire)를 삽입한다.
⑨ 유도용 철사는 삽입한 채로 두고 바늘만 제거한다.
⑩ 유도용 철사를 통해 방사선 도관을 혈관으로 삽입한다. 이때 형광 투시경을 보면서 삽입한다. 도관 삽입이 다 된 경우 유도용 철사를 제거한다.
⑪ 도관 끝에 연결된 압력계기를 이용하여 심장의 압력, 혈액량을 측정한다. 헤파린 처리가 된 주사기로 혈 액을 채취하여 산소 포화도를 측정한다.
⑫ 조영제를 주입한 직후 방사선 촬영한다. 심장 수축성을 평가하기 위해 검사 도중 움직임 이나 기침을 하도록 한다.
⑬ 검사 종료시 도판을 제거하고, 정맥절개가 시행된 도관 삽입 부위는 봉합을 한 후 무균 압박 드레싱을 한다.
Echocardiography (초음파 심장 촬영술)
1. 심장초음파검사의 이해
심장초음파 검사는 심장질환의 비관혈적 평가에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검사의 한가지로 서 M-mode 및 2-D는 심장초음파를 이용하여 심장 판막 구조 및 움직임 심실 및 심방의 크기와 기능 그리고 구조적 이상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doppler검사를 이용해서는 혈류 속도를 측정함으로 혈역학적 소견을 얻을 수 있다.
2. 심장초음파검사의 임상적 의의
심장초음파 검사로는 심장의 크기 및 기능을 측정할 수 있고, 선천성 심장질환의 진단과 후천성 심장 질환의 진단에 이용되고 있다.
3. 심장초음파 검사의 종류
1) M-mode Echocardiography
심장의 일차원적 영상으로 cursor line을 2-D image 위에 올려놓고 시행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cursor line에 해당하는 심장의 구조가 기록되게 되는 검사로서, 심장의 국소적인 부위나 구조물의 움직임의 depth를 측정하는데 유리하지만 구조물에 대한 입체적인 정보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제한이 많다.
2) 2-Dimensional Echocardiography
심장의 각종 구조를 real time으로 볼 수 있다. 탐촉자(transducer)의 위치에 따라 4가지의 표준영상이 있으며 각각의 view에서 chamber size, valve motion, morphology, valve 이상상태, wall motion abnormality 등을 자세히 관찰할 수 있고 심장 수축상태 및 심장 기능의 여러 정보를 얻을 수 있다.
3) Doppler Echocardiography
Doppler 효과를 이용하여 심장 내 혈류의 동태와 판막 및 대혈관의 역류와 협착 정도 유무를 혈류속도로 측정하는 검사로 doppler 검사에는 2종류가 있다.
① Pulsed wave doppler Echocardiography는 탐촉자로부터 나온 초음파 신호가 반사 되어 돌아온 후 다시 초음파를 내보내는 형식으로 탐촉자가 원하는 거리에 위치한 특정 지점의 혈류속도를 알 수 있으나 측정 가능한 최대 속도의 제한이 있고 이 제한치를 넘을 경우 뒤바뀜현상(aliasing)이 생겨 측정이 불가능해진다.
② Continuous wave doppler Echocardiography는 탐촉자(transmitting transduce와 receiver transducer)가 2개 있어 한쪽에서는 계속해서 초음파를 발사하고 한쪽에서는 계속해서 doppler shift(주파수 변화)를 받기만 한다. 혈류 속도의 측정에는 제한점이 없으나 초 음파 신호가 통과하는 선상의 모든 혈류 속도가 측정되므로 원하는 특정지점의 속도만은 구할 수 없다.
4) Color flow image
일종의 doppler 효과를 이용한 것으로 탐촉자를 향하여 오는 혈류는 빨간색으로 반대로 흐르는 혈류는 파란색으로 나타낸 것으로, 혈류의 방향을 쉽게 알 수 있고 color의 강도는 velocity가 높을수록 강하게, 낮을수록 어둡게 나타난다.
4. 시행 방식에 따른 분류
1) 경흉부초음파도(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 TTE)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것으로 탐촉자를 흉곽에 밀착하여 시행한다.
2) 경식도초음파도(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TEE)
TTE에서는 피검자에 따라서 형상의 질이 떨어져 검사의 질이 떨어질 수 있다(늑골, 흉골, 폐등의 영향) 이를 개선하고자 만들어진 경식도 초음파는 위내시경과 비슷한 방법으로 시행되며 또한 경흉부검사에서는 완전히 관찰할 수 없는 흉부대동맥을 대부분 볼 수 있어 대동맥질환의 진단에 매우 유효하다.
3) 부하심초음파검사(Stree Echocardiography)
심장벽의 운동을 관찰하여 심근 허혈의 유무를 판단하는 검사이다. 부하를 가하는 방식으로는 약물을 이용하여 심장에 부하는 가하는 것과 운동부하 방식이 있다. 보통은 약제(Dobutamine)를 이용하는 것이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다.
4) 조영심초음파검사(Contrast Echocardiography)
혈액속에서 형성된 미세 기포가 초음파에너지를 강하게 반사시키는 것을 이용한 검사법으로 초음파검사상 조영 증강하는 것이 보이며 미세 기포의 형성은 3면 콜크마개를 이용하여 수동식으로 만들거나, 초음파분쇄기를 이용하여 만들 수 있다. 수동식은 간단히 만들 수 있어 현재 널리 쓰이고 있다. 일반 심장초음파 검사로는 확인하기 힘든 상대정맥 혈류와 같이 doppler 신호가 낮은 혈류의 doppler 신호를 증강시켜 혈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거나, 난원공개존의 확인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이밖에 복잡한 심기형의 수술전후에 많이 시행한다.
5) Intraoperative Echocardiography
개심술 때 수술방에서 수술 전, 후의 심장 기능을 평가하는데 이용된다.
PAWP; pulmonary artery wedge pressure (폐동맥 쐐기압 측정)
폐동맥 쐐기압을 중환자실의 침상
좌심도자법의 경우에는 대퇴동맥을 통하여 복부 대동맥, 흉부 대동맥, 대동맥궁을 거쳐 좌심실로 진입한다.
⑧ 삽입할 동맥이나 정맥 부위를 특수 바늘로 천공한 후 바늘 구멍을 통해 유도용 철사 (guide wire)를 삽입한다.
⑨ 유도용 철사는 삽입한 채로 두고 바늘만 제거한다.
⑩ 유도용 철사를 통해 방사선 도관을 혈관으로 삽입한다. 이때 형광 투시경을 보면서 삽입한다. 도관 삽입이 다 된 경우 유도용 철사를 제거한다.
⑪ 도관 끝에 연결된 압력계기를 이용하여 심장의 압력, 혈액량을 측정한다. 헤파린 처리가 된 주사기로 혈 액을 채취하여 산소 포화도를 측정한다.
⑫ 조영제를 주입한 직후 방사선 촬영한다. 심장 수축성을 평가하기 위해 검사 도중 움직임 이나 기침을 하도록 한다.
⑬ 검사 종료시 도판을 제거하고, 정맥절개가 시행된 도관 삽입 부위는 봉합을 한 후 무균 압박 드레싱을 한다.
Echocardiography (초음파 심장 촬영술)
1. 심장초음파검사의 이해
심장초음파 검사는 심장질환의 비관혈적 평가에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검사의 한가지로 서 M-mode 및 2-D는 심장초음파를 이용하여 심장 판막 구조 및 움직임 심실 및 심방의 크기와 기능 그리고 구조적 이상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doppler검사를 이용해서는 혈류 속도를 측정함으로 혈역학적 소견을 얻을 수 있다.
2. 심장초음파검사의 임상적 의의
심장초음파 검사로는 심장의 크기 및 기능을 측정할 수 있고, 선천성 심장질환의 진단과 후천성 심장 질환의 진단에 이용되고 있다.
3. 심장초음파 검사의 종류
1) M-mode Echocardiography
심장의 일차원적 영상으로 cursor line을 2-D image 위에 올려놓고 시행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cursor line에 해당하는 심장의 구조가 기록되게 되는 검사로서, 심장의 국소적인 부위나 구조물의 움직임의 depth를 측정하는데 유리하지만 구조물에 대한 입체적인 정보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제한이 많다.
2) 2-Dimensional Echocardiography
심장의 각종 구조를 real time으로 볼 수 있다. 탐촉자(transducer)의 위치에 따라 4가지의 표준영상이 있으며 각각의 view에서 chamber size, valve motion, morphology, valve 이상상태, wall motion abnormality 등을 자세히 관찰할 수 있고 심장 수축상태 및 심장 기능의 여러 정보를 얻을 수 있다.
3) Doppler Echocardiography
Doppler 효과를 이용하여 심장 내 혈류의 동태와 판막 및 대혈관의 역류와 협착 정도 유무를 혈류속도로 측정하는 검사로 doppler 검사에는 2종류가 있다.
① Pulsed wave doppler Echocardiography는 탐촉자로부터 나온 초음파 신호가 반사 되어 돌아온 후 다시 초음파를 내보내는 형식으로 탐촉자가 원하는 거리에 위치한 특정 지점의 혈류속도를 알 수 있으나 측정 가능한 최대 속도의 제한이 있고 이 제한치를 넘을 경우 뒤바뀜현상(aliasing)이 생겨 측정이 불가능해진다.
② Continuous wave doppler Echocardiography는 탐촉자(transmitting transduce와 receiver transducer)가 2개 있어 한쪽에서는 계속해서 초음파를 발사하고 한쪽에서는 계속해서 doppler shift(주파수 변화)를 받기만 한다. 혈류 속도의 측정에는 제한점이 없으나 초 음파 신호가 통과하는 선상의 모든 혈류 속도가 측정되므로 원하는 특정지점의 속도만은 구할 수 없다.
4) Color flow image
일종의 doppler 효과를 이용한 것으로 탐촉자를 향하여 오는 혈류는 빨간색으로 반대로 흐르는 혈류는 파란색으로 나타낸 것으로, 혈류의 방향을 쉽게 알 수 있고 color의 강도는 velocity가 높을수록 강하게, 낮을수록 어둡게 나타난다.
4. 시행 방식에 따른 분류
1) 경흉부초음파도(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 TTE)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것으로 탐촉자를 흉곽에 밀착하여 시행한다.
2) 경식도초음파도(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TEE)
TTE에서는 피검자에 따라서 형상의 질이 떨어져 검사의 질이 떨어질 수 있다(늑골, 흉골, 폐등의 영향) 이를 개선하고자 만들어진 경식도 초음파는 위내시경과 비슷한 방법으로 시행되며 또한 경흉부검사에서는 완전히 관찰할 수 없는 흉부대동맥을 대부분 볼 수 있어 대동맥질환의 진단에 매우 유효하다.
3) 부하심초음파검사(Stree Echocardiography)
심장벽의 운동을 관찰하여 심근 허혈의 유무를 판단하는 검사이다. 부하를 가하는 방식으로는 약물을 이용하여 심장에 부하는 가하는 것과 운동부하 방식이 있다. 보통은 약제(Dobutamine)를 이용하는 것이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다.
4) 조영심초음파검사(Contrast Echocardiography)
혈액속에서 형성된 미세 기포가 초음파에너지를 강하게 반사시키는 것을 이용한 검사법으로 초음파검사상 조영 증강하는 것이 보이며 미세 기포의 형성은 3면 콜크마개를 이용하여 수동식으로 만들거나, 초음파분쇄기를 이용하여 만들 수 있다. 수동식은 간단히 만들 수 있어 현재 널리 쓰이고 있다. 일반 심장초음파 검사로는 확인하기 힘든 상대정맥 혈류와 같이 doppler 신호가 낮은 혈류의 doppler 신호를 증강시켜 혈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거나, 난원공개존의 확인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이밖에 복잡한 심기형의 수술전후에 많이 시행한다.
5) Intraoperative Echocardiography
개심술 때 수술방에서 수술 전, 후의 심장 기능을 평가하는데 이용된다.
PAWP; pulmonary artery wedge pressure (폐동맥 쐐기압 측정)
폐동맥 쐐기압을 중환자실의 침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