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지도론-번역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 143
  • 144
  • 145
  • 146
  • 147
  • 148
  • 149
  • 150
  • 151
  • 152
  • 153
  • 154
  • 155
  • 156
  • 157
  • 158
  • 159
  • 160
  • 161
  • 16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독서지도론-번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Implications for Psychotherapy - by caroline shrodes

A Historical Review of Bibliotherapy - by William K. Beatty

Nicholas Rubakin and Bibliopsychology - by Sylva Simsova

Bibliotherapy - by William C. Menninger

The Place of Bibliotherapy in a Hospital
-by Sadie Peterson–Delaney

The Psychology of the Reader - by Alice I.bryan
The Role of the Librarian on the Interdisciplinary Team
- by Ruth M. Tews

Bibliotherapy and Reading Guidance: A Tentative Apporoach to Theory
- by Evalene P. Jackson

Bibliotherapy in the Circulation Library at Saint Elizabeths Hospital
- by Arleen Hynes
Bibliotherapy - by R. W. Medlicott
The Place of Literature in Healing - by Dncan Leys
Therapeutic Aspects of a Library Service to Hospital Patients
- by S. D. Coomaraswamy

Reading Therapy in the Service of the Sick
- by Barbro Schmidt

A Bibliotherapeutic Model for Library Service
-by Margaret E. Monroe

Bibliotherapy: Its Nature and Uses - by Louis A. Rongione

Bibliotherapy in an Educational Context: Rationale and Principles
- by Harold A. Moses
And Joseph S. Zaccaria

Literatherapy : Theory and Application - by Michael Shiryon

Contemporary Bibliotherapy : Systematizing the Field
- by Franklin M. Berry

Bibliotherapy and Psychotherapy - by Edwin F. Alston
Therapy in Psychoneurosis (Bibliotherapy)
- by Louis Hollenback Twyeffort

Books and Empathy Help Troubled Children
- by H. Altmann and B. Nielsen
The Therapy of Poetry - by Molly Harrower
Bibliotherapy for Chronical Illnesses - by Mildred T. Moody

본문내용

는 그/그녀가 관찰한 문학의 이용 효과에 대한 보고서를 팀과 요법학자에게 제출해야 한다. 사서는 명백한 행동에 대해서 보고하고 요법학자는 그 중요성을 해석한다. 나아가 사서는 요법학자가 되어서 독서 요법의 경험이 의뢰인의 문제에 대한 이해를 위기에 이르게 할 때 지원한다.
치료를 위한 문학의 팀 지향적 사용은 논리적이고 대부분의 제도상의 도서관 환경에서는 이용할 수 있다. 공공 도서관의 사서는 정신 건강 전문 그룹 안에서 대조 집단 팀 만들기를 시도해야 한다. 임상 카운슬러와 협조한 프로그램은 아마도 정말로 진정한 필요에 좋은 답이 될 것이다. 그러한 실험적인 일은 노인들에게 방문 서비스 같은 것에 적당할 것이다.
Bibliotherapy: Its Nature and Uses - by Louis A. Rongione
독서 치료: 본질과 이용
지금으로부터 약 1600년 전에, 정신이 혼란한 과부는 그 지역의 bishop을 찾아갔다. 그녀는 그녀의 말 안 듣는 십대 아들에 대한 걱정과 불안으로 질려 있었다. “그 아이를 당해 낼 수가 없어요.” 그녀가 bishop에게 말했다. “나는 어떻게 그 아이의 끔찍한 행동을 못하게 할 수 있는지, 또 그 아이의 짖궂은 행동을 어떻게 가르치고 옳게 만들지 정말 모르겠어요. 오직 당신만이 그 아이의 잘못됨을 증명할 수 있어요 ;오직 당신만이 그 아이를 어둠으로부터 빛으로 끌고 나올 수 있으며, 악행으로부터 정의로 만들 수 있어요.”
“아니요”bishop이 말했다. “그는 아직 가르침을 받을 만한 시기가 아니에요. 그는 그가 반대론적인 것에 대해 새로움을 느끼며, 말꼬리를 잡고 늘어지는 질문들에서 긍지를 느끼고, 이런 것들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우쭐대려는 것입니다. 그를 혼자 놔둬 보십시오. 오직 그를 위해서는 기도만 하시고요. 그러면 그는 스스로 독서를 통해서 자신의 실수가 무엇이고 그의 악행에 대한 정도를 알게 될 것입니다.”
독서는 이 소년의 지적인 부분과 도덕적 무지를 치료하는 열쇠로서 bishop에 의해서 제안되었다. 15년 후, 이 소년은 지금의 수사학 교수가 되었으며, Epistles of St. Paul 의 내용을 읽던 중 이어지는 다음의 구절에서는 정독을 하면서 보았다: “그러니 어둠의 행실을 벗어버리고 빛의 갑옷을 입읍시다. 진탕 먹고 마시고 취하거나 음행과 방종에 빠지거나 분쟁과 시기를 일삼거나 하지 말고 언제나 대낮으로 생각하고 단정하게 살아갑시다. 주 예수 그리스도로 온몸을 무장하십시오: 그리고 육체의 정욕을 만족시키려는 생각은 아예 하지 마십시오.”
이러한 단어들이 가져온 변화는 그의 자서전에 기록 되었다:“나는 더욱이 읽고자하는 바램도 없었다; 거기에는 필요성도 없었다. 그러나 내가 곧 이문장의 끝에 다달았을때 그것은 나의 마음에 확신의 빛으로 가득 찼으며, 나의 모든 의심의 그림자는 사라지게 만들고 나를 가르쳤다.”
그 후의 일은 역사이다, 그릇된 생각을 넘어선 진리, 악을 넘어선 선의 승리의 역사로, 현명한 책의 선정을 통해서 신의 은총을 얻어 완벽하게 치료가 되어진 것이다. 독서치료의 승리인 것이다! 그 어머니는 St.Monica였고, 그 아들은 St.Augustine로 문명의 기로에선 큰 인물로, 그의 책들은 국가의 문화에 영향을 주었고, 부자가 되었으며, 16세기동안 수백만의 사람들에게 위안과 지혜를 가져다 주었다.
책의 치료적인 가치는 고대 기독교 시대를 넘어 기독교 이전의 이집트 시대로 거슬러 올라 갈 수 있다.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의 정문을 지나, 우리는 이러한 비명을 찾을 수 있다.: “마음의 치료약.”그리스어로 다음과 같이 번역 될 수 있다: “마음의 요양소,” 또는 “영혼의 자양물.”
세익스피어 또한 다음의 단어들로부터 명백한 책의 치료적인 효과를 증언했다.
오라, 그리고 선택하라
모든 나의 도서관에서
그리고 그대의 슬픔을 위로하라
특수한 정신적인 상황의 환자에게 적절한 책을 매치 시켰을때, 책들은 지적이나, 감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독서치료는 정신적인 조제술로 불려 질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것이 효과적으로 되기 위해서는, 독서치료가 예술인지, 과학인지를 고려하고, 환자와 의사를 비롯하며 정신병의사, 치료학자, 사서, 그리고 이 프로그램에 포함된 다른 사람들까지도 협동하는 것이 요구된다.
독서치료의 정의
독서치료의 유익한 정의들은 지난반세기동안 정기 간행된 문학, 치료의 기술, 간호, 정신의학 분야의 사전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가장 과학적인 서술문에서 발견된, 본질적인 요소를 결합시킨 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독서치료는 정신적 또는 다른 문제들의 해결을 위해 치료자의 지도아래, 자료 를 읽고, 계획하고, 지도되고, 통제되는 활동을 포함한 과정이다. 이것은 규정 된 목적과 목표 안에서 전문적으로 교육받고 숙련된 사서를 통해 관리 되어야 한다. 여기서 중요하고 동적인 요소는 안정된 관계로서, 추적조사를 통해 환자 의 반대 되는 행동이나 반응을 치료자에게 전달하여 이를 해석하고, 평가하며, 방향을 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목표
다음은 독서치료의 몇가지 목적을 나열한 것이다.
1. 사람들이 명확하고 건설적인 생각을 하게 만들고, 부정적이고 비관적으로 생각 하는 것은 피하도록 가르치기 위해
2. 사람들이 과거의 공포, 부끄러움, 죄같이 자신이 말하기 어려운 것들은 자유롭 게, 정직하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용기를 주기 위해
3. 좌절이나 대립에 반하는 그의 정신적, 감정적인 것을 이해할 목적으로 그가 그 의 태도와 행동을 분석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해
4.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 가지 방법보다 더 많이 알고, 미리 문제를 연습해 봄 으로써 나중에 그 문제를 다루기 쉽도록 지적해주기 위해
5. 신의 아이로써, 그리고 가족, 지역사회, 교회, 국가 등의 다양한 사회단체의 일원으로서 자신 고유의 가치를 깨닫고 스스로 존중하는 것을 증진시키기 위해
6. 그가 책을 통해서, 다른 이들도 유사한 문제들을 성공적으로 극복한 것을 발견 하고, 그가 갈등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탐구의 열의를 자극하기 위해
7. 자신의 문제를 다른 사람들의 것과 비교하여 격리된 느낌을 갖는 것을
  • 가격3,000
  • 페이지수162페이지
  • 등록일2006.03.31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21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