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국민기초 생활 보장법
1. 개요
2. 입법배경
3. 제정의의
4.주요내용
♠조사
1. 조사의 개요
2. 소득조사
3. 재산조사
♠급여
1. 급여의 기본원칙
2. 급여 개요
1. 개요
2. 입법배경
3. 제정의의
4.주요내용
♠조사
1. 조사의 개요
2. 소득조사
3. 재산조사
♠급여
1. 급여의 기본원칙
2. 급여 개요
본문내용
- 주거급여 제외 대상자 : 주거급여가 불필요하거나, 타법령 등에 의하여 주거를 제공받고 있는 수급자
로서, 의료·교육·자활급여 특례 수급자 및 보장시설에 거주하는 수급자 등이 포함
○ 급여액
- 주거급여 제외 대상자를 제외한 모든 수급자에 대하여 다음의 기준에 의한 현금급여를 제공
□ 기타급여
○ 교육급여
- 고등학생 : 입학금·수업료·교과서대(100천원/인), 학용품비(40천원/인)
- 중학생 : 부교재비(28천원/인), 학용품비(40천원/1인)
○ 해산급여 : 출산시 200천원(쌍둥이는 10만원 추가지급)
○ 장제급여 : 사망자 1인당 30만원(근로능력이 있는 자가 포함된 가구)에서 50만원(근로능력이 없는자로 구성된 가구) 지급
○ 자활급여 : 자활지원 참조
○ 의료급여 : 의료급여법이 정하는 바에 따름
생활보호법과의 비교
구분
생활보호법
국민기초생활보장법
법적용어
국가에 의한 보호적 성격
- 보호대상자, 보호기관
저소득층의 권리적 성격
- 수급권자, 보장기관, 생계급여 등
대상자
구분
인구학적 기준에 의한 대상자 구분
- 거택보호자 : 18세미만 아동, 65세이상 등
- 자활보호자 : 인구학적으로 경제활동 가능한 근로능력자
대상자 구분 폐지
- 근로능력이 있는자는 구분
(대통령령으로 제정 예정)
* 연령기준 외에 신체적.정신적 능력과 부양, 간병, 양육 등 가구여건 감안 가능
대상자
선정기준
보건복지부 장관이 정하는 소득과 재산 이하인 자
* \'99년 : 월소득 23만원/인·월재산 2,900만원/가구
소득인정액이 최저생계비 이하인 자
* 소득인정액 = 개별가구의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급여수준
생계보호
- 거택보호자에게만 지급
의료보호
- 거택보호: 의료비 전액지원 - 자활보호: 의료비의 80%
교육보호: 중고생자녀 학비전액지원
해산보호
장제보호, 자활보호 등
생계급여
- 모든 대상자에게 지급하되 근로능력자는 자활관련사업에 연계하는 조건부로 지급
주거급여 신설
- 임대료, 유지수선비 등 주거안정을 위한 수급품
긴급급여 신설
- 긴급 필요시에 우선 급여를 실시
의료,교육,해산,장제보호 등은 현행과 동일
자활지원계획
신 설
근로능력자 가구별 자활지원계획 수립을 통한 체계적 자활지원
- 근로능력, 가구특성, 자활욕구등을 토대로 자활방향, 자활에 필요한 서비스, 생계급여의 조건등을 계획
- 자활에 필요한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제공하여 수급권자의 궁극적인 자활을 촉진
로서, 의료·교육·자활급여 특례 수급자 및 보장시설에 거주하는 수급자 등이 포함
○ 급여액
- 주거급여 제외 대상자를 제외한 모든 수급자에 대하여 다음의 기준에 의한 현금급여를 제공
□ 기타급여
○ 교육급여
- 고등학생 : 입학금·수업료·교과서대(100천원/인), 학용품비(40천원/인)
- 중학생 : 부교재비(28천원/인), 학용품비(40천원/1인)
○ 해산급여 : 출산시 200천원(쌍둥이는 10만원 추가지급)
○ 장제급여 : 사망자 1인당 30만원(근로능력이 있는 자가 포함된 가구)에서 50만원(근로능력이 없는자로 구성된 가구) 지급
○ 자활급여 : 자활지원 참조
○ 의료급여 : 의료급여법이 정하는 바에 따름
생활보호법과의 비교
구분
생활보호법
국민기초생활보장법
법적용어
국가에 의한 보호적 성격
- 보호대상자, 보호기관
저소득층의 권리적 성격
- 수급권자, 보장기관, 생계급여 등
대상자
구분
인구학적 기준에 의한 대상자 구분
- 거택보호자 : 18세미만 아동, 65세이상 등
- 자활보호자 : 인구학적으로 경제활동 가능한 근로능력자
대상자 구분 폐지
- 근로능력이 있는자는 구분
(대통령령으로 제정 예정)
* 연령기준 외에 신체적.정신적 능력과 부양, 간병, 양육 등 가구여건 감안 가능
대상자
선정기준
보건복지부 장관이 정하는 소득과 재산 이하인 자
* \'99년 : 월소득 23만원/인·월재산 2,900만원/가구
소득인정액이 최저생계비 이하인 자
* 소득인정액 = 개별가구의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급여수준
생계보호
- 거택보호자에게만 지급
의료보호
- 거택보호: 의료비 전액지원 - 자활보호: 의료비의 80%
교육보호: 중고생자녀 학비전액지원
해산보호
장제보호, 자활보호 등
생계급여
- 모든 대상자에게 지급하되 근로능력자는 자활관련사업에 연계하는 조건부로 지급
주거급여 신설
- 임대료, 유지수선비 등 주거안정을 위한 수급품
긴급급여 신설
- 긴급 필요시에 우선 급여를 실시
의료,교육,해산,장제보호 등은 현행과 동일
자활지원계획
신 설
근로능력자 가구별 자활지원계획 수립을 통한 체계적 자활지원
- 근로능력, 가구특성, 자활욕구등을 토대로 자활방향, 자활에 필요한 서비스, 생계급여의 조건등을 계획
- 자활에 필요한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제공하여 수급권자의 궁극적인 자활을 촉진
키워드
추천자료
국민기초생활보장법 개선 방향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대하여...
사회복지법 관련 국민기초생활보장법
국민기초생활보장법과 노인복지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도입배경과 제도의 의의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수급자의 자활을 조성하기 위한 자활급여의 문제점과 그 대안에 대하여...
보호 및 교정 관련 주요 사회복지제도)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아동복지법, 노인복지법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요약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장점과 문제점 해결방안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장점과 문제점 해결방안
우리나라 사회복지관련법 입법과정에는 어떠한 사건이나 사회적 이슈가 발단이 된 경우가 있...
사회복지법제론 - 공공부조제도(국민기초생활보장법, 의료급여법, 재해 구호법)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대하여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아동복지법,국민기초생활보장법,비밀누설의 금지,금융실명거래 및 비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