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들어가며
2.한나라의 여러 체계
1.고조의 즉위와 통치정책
2.한대의 행정제도
3.문경지치(文景之治)
4.군국제(郡國制)의 모순과 오초칠국(吳楚七國)의 난
5.무제(武帝)의 중앙집권체제
6.흉노정벌
7.신재정정책
8.실크로드의 개통과 서역도호의 설치
9.왕망의 신(新)
10.호족
11.청류(淸流)와 탁류(濁流)
12.태평도 오두미교의 유행과 황건의 반란
3.맺음말
2.한나라의 여러 체계
1.고조의 즉위와 통치정책
2.한대의 행정제도
3.문경지치(文景之治)
4.군국제(郡國制)의 모순과 오초칠국(吳楚七國)의 난
5.무제(武帝)의 중앙집권체제
6.흉노정벌
7.신재정정책
8.실크로드의 개통과 서역도호의 설치
9.왕망의 신(新)
10.호족
11.청류(淸流)와 탁류(濁流)
12.태평도 오두미교의 유행과 황건의 반란
3.맺음말
본문내용
닌 이성제후들을 제거하기 위해 모반을 구실로 삼아 7명의 이성제후중 거리가 멀고 국력이 약했던 장사왕을 빼고는 모두 제거하였다. 이들 지역에 유씨일족을 봉하였다.
2.한대의 행정제도
한의 중앙 및 지방 관제는 대체로 진의 제도를 그대로 답습하였다. 중앙 관제는 진의 3공제를 계승하여 승상(丞相)이 정치를 총괄하고 태위(太尉)는 군사, 어사대부(御史大夫)는 감찰을 장악하였다. 3공은 국가의 최고 정책결정기관으로 그 아래 정무를 분담한 9경이있었다. 지방행정조직은 군(郡),현(縣),향(鄕),리(里)로 구성되어있었다. 그런데 군의 통치범위가 너무 넓기 때문에 군과 중앙정부 사이에 주(州)라고 하는 새로운 행정단위가 신설되었다.
3.문경지치(文景之治)
문제(文帝)와 그 뒤를 이은 경제(景帝)의 통치시기를 문경지치라고 해서 한대의 치세로 칭송하고 있다. 문제는 고조가 정한 토지세를 15분의 1에서 30분의 1로 감축 하였고, 만년에는 토지세를 폐지하였다. 또한 백성의 요역을 경감하고 진(秦)이래의 악법인 연좌법과 신체의 고문을 가하는 육형(肉刑)을 폐지하였다. 문제의 뒤를 이은 경제도 대체로 부친의 정책을 그대로 답습하였다. 이리하여 문제, 경제의 안정화 정책으로 황폐한 농촌사회는 휴식을 취하면서 생산력을 증가시켜 국력이 회복되어 번영을 누리게 된다.
4.군국제(郡國制)의 모순과 오초칠국(吳楚七國)의 난
이성제후왕(異姓諸侯王)은 고조 때 거의 제거되었으나 동성제후왕의 세력은 더욱 강성해 졌다. 지방의 제후왕은 마치 독립국과 같아서 관리는 제후가 직접 임명하고 광대한 봉지는 제후왕의 통치하에 있었다. 세력이 강한 제후왕 중에는 독자적으로 동광을 개발해 동전의 주조권을 장악하고 염철을 생산해 중국 전역에 판매함으로써 막대한 이익을 올리면서 부국강병책을 취하기 시작하는 자가 등장했다. 왕국의 세력은 점차 강대해졌지만 혈연관계는 세월이 흐름에 따라 소원해져 제후왕은 점점 한제국에 위협적인 존재가 되었다. 문제 때 회남왕 유장의 반란을 계기로 중앙정부는 제후왕 억제책을 구체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했다. 그 방법은 영지의 분할과 삭감인데 이를 주장한 인물이 가의와 조조였다. 경제는 조조의 건의를 받아들여 왕국의 축소책에 나섰다. 이에 대항하여 지방의 제후왕이 반란을 일으켰는데 이것이 오초칠국(吳楚七國)의 난이다. 경제는 주아보를 장군으로 삼아 토벌에 나서는 한편 그들의 요구를 어느정도 받아들여 조조를 사형에 처하였다. 난은 평정
2.한대의 행정제도
한의 중앙 및 지방 관제는 대체로 진의 제도를 그대로 답습하였다. 중앙 관제는 진의 3공제를 계승하여 승상(丞相)이 정치를 총괄하고 태위(太尉)는 군사, 어사대부(御史大夫)는 감찰을 장악하였다. 3공은 국가의 최고 정책결정기관으로 그 아래 정무를 분담한 9경이있었다. 지방행정조직은 군(郡),현(縣),향(鄕),리(里)로 구성되어있었다. 그런데 군의 통치범위가 너무 넓기 때문에 군과 중앙정부 사이에 주(州)라고 하는 새로운 행정단위가 신설되었다.
3.문경지치(文景之治)
문제(文帝)와 그 뒤를 이은 경제(景帝)의 통치시기를 문경지치라고 해서 한대의 치세로 칭송하고 있다. 문제는 고조가 정한 토지세를 15분의 1에서 30분의 1로 감축 하였고, 만년에는 토지세를 폐지하였다. 또한 백성의 요역을 경감하고 진(秦)이래의 악법인 연좌법과 신체의 고문을 가하는 육형(肉刑)을 폐지하였다. 문제의 뒤를 이은 경제도 대체로 부친의 정책을 그대로 답습하였다. 이리하여 문제, 경제의 안정화 정책으로 황폐한 농촌사회는 휴식을 취하면서 생산력을 증가시켜 국력이 회복되어 번영을 누리게 된다.
4.군국제(郡國制)의 모순과 오초칠국(吳楚七國)의 난
이성제후왕(異姓諸侯王)은 고조 때 거의 제거되었으나 동성제후왕의 세력은 더욱 강성해 졌다. 지방의 제후왕은 마치 독립국과 같아서 관리는 제후가 직접 임명하고 광대한 봉지는 제후왕의 통치하에 있었다. 세력이 강한 제후왕 중에는 독자적으로 동광을 개발해 동전의 주조권을 장악하고 염철을 생산해 중국 전역에 판매함으로써 막대한 이익을 올리면서 부국강병책을 취하기 시작하는 자가 등장했다. 왕국의 세력은 점차 강대해졌지만 혈연관계는 세월이 흐름에 따라 소원해져 제후왕은 점점 한제국에 위협적인 존재가 되었다. 문제 때 회남왕 유장의 반란을 계기로 중앙정부는 제후왕 억제책을 구체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했다. 그 방법은 영지의 분할과 삭감인데 이를 주장한 인물이 가의와 조조였다. 경제는 조조의 건의를 받아들여 왕국의 축소책에 나섰다. 이에 대항하여 지방의 제후왕이 반란을 일으켰는데 이것이 오초칠국(吳楚七國)의 난이다. 경제는 주아보를 장군으로 삼아 토벌에 나서는 한편 그들의 요구를 어느정도 받아들여 조조를 사형에 처하였다. 난은 평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