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종교 신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의 종교 신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神道를 택한 이유

2. 시작하는 말

3. 신도란 무엇인가?

4. 神道의 역사

5. 神道의 신관(神觀)

6. 神道의 제례

7. 神道의 敎義

8. 불교와 그 외 다른 종교와 신도와의 관계

9. 현재 일본에서의 종교와 신도

10. 끝맺음하는 말

§신도에 대한 나의 생각을 마무리하며

본문내용

렇게 정의했다.
『우선 하늘과 땅의 모든 신성들. 그리고 성소에서 숭배되는 장엄한 정신들. 새, 동물, 나무, 식물, 바다, 산 등 범상치 않은 모든 것, 두려움을 자아내는 모든 것. 폴발타외, 윤정임옮김,『세계의 종교 이야기』,P227. 미래M&B.1999.서울.

신도가 옛날부터 신을 믿는 일을 우선으로 해온 데다 오늘날에도 거의 모든 신사에는 여러 가지의 祭神이 있기 때문에 신도의 신에 대해 말하는 것은 극히 간단한 것처럼 생각할지도 모르지만 현실적으로는 신도의 신은 ‘八白萬神’이라고 불리울 정도로 많은 신들이 있기 때문에 한마디로 정의하거나 개념화하기란 지극히 어렵다.
신도의 신을 팔백만신으로 표현하는 것는 신성한 숫자이면서 축복의 뜻을 가지고 있는 팔백만이라고 하는 숫자로 神道의 신이 무한히 많고 다종다양함을 나타내고 있다.
또 시대에 따라서 신관념이 다양하게 변해 일정하지가 않다. 다만 현대의 신사신도에서는 이세신궁(伊勢神宮)을 本宗으로 삼고 있는 점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그곳 내궁에서 모시고 있는 天照大神을 최고의 신이자 중심적인 통일신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각 신사의 수많은 신들의 존재도 또한 인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신사신도의 신관은 ‘다신교이면서 일신교적인 경향을 가진다’라든지 ‘천조대신을 중심으로 하는 통일된 다신교’라든가 또 ‘다신교이면서 일신교이고, 일신교이면서 다신교이다’ 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 언급한 팔백만신을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1) 만물의 창조에 관한 신 -- 造化의 三神 등
2) 영능상의 신 -- 荒魂(사나운 신령)이나 和魂(부드러운 덕을 갖춘 신령) 등
3) 인간의 영혼을 모신 신
4) 직업에 관해서 모셔진 신
염색업, 방직, 유지업, 의료, 과자제조, 양조, 재봉, 유모 어업, 상공업, 산파 등
5) 天象에 관한 신
해신, 달신, 별신, 토신, 불신, 수신, 우신, 천둥신, 풍신
6) 地象에 관한 신
국토신령, 산악신, 바다신, 항구신, 강신, 우물신, 폭포신, 암석신
7) 동식물에 관한 신
토끼신, 용신, 풀신, 나무신, 곡물신
8) 음식물에 관한 신
이러한 사실에서 미루어 생각해 볼 때 신도에서 말하는 신의 본질은 처음부터 끝까지 애니미즘적인 사고가 그 중심을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인간이 원래부터 삼라만상에 영혼이 존재함을 믿고 그것을 신으로 받들어 모셔온 것이 그 근거가 된다고 말할 수 있겠다.
신도는 교의를 중심으로 성립된 종교는 아니다. 그 때문에 불교의 해탈과 그리스도교의 구원 등을 신도의 교리를 바탕으로 해서 설명하기는 힘들다. 오히려 신도는 의례를 중심으로 한 종교이며 그 의례속에 신도가 지향하고 있는 바가 표현되고 있다.
신도에서 행하는 많은 의례 중에서 가장 중요시되고 있는 계불()이라는 의식을 통해서 신도가 지향하고 있는 것이 어떤 것인가를 고찰해 보기로 하겠다.
계불()은 엄밀히는 계()와 불()이 합쳐서 된 단어인데 계라는 뜻은 “목욕재계” 라고 하는 의미로, 신체에 죄스러운 부정이 있을 때 물로 몸을 씻음으로써 깨끗이 한다는 뜻이다. 불()이란 신에게 제물을 바침으로써 죄스러운 부정이나 재난의 액을 소멸한다는 의미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계는 더러움을 깨끗이 한다는 뜻이며, 불은 죄를 소멸하는 것으로 구별할 수 있다.
이 계불의식은 옛날부터 신도에서 항상 행해져 오던 의식인데 그 사상적 근원을 나타내는 것은 최초의 부부 “이사나기(伊邪那岐)” 와 “이사나미(伊邪那美)” 에 관한 이야기에서 찾을 수 있다.
신화서인 『고사기』와 『일본서기』는 8세기에 쓰였는데, 세계 창조와 관련된 신화들에 따르면, 최초의 신들은 태초부터 존재했다.
하지만 생식과 출산을 시작한 것은 이자나기와 이자나미 부부이다. 그들은 먼저 일본의 섬들을 만들고 뒤이어 자연의 신들을 만들어 냈다. 불의 신이 태어나자 이자나미가 죽었다. 이자나기는 아내를 지옥에서 구하려는 헛된 시도를 한 후 목욕을 하는데, 거기에서 태양의 신을 포함한 다른 ‘가미’들이 태어났다.
이 이야기는 신도가 청정을 중시하고 있음을 나타냄과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죄스러운 부정이 계불에 의해 제거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신도에서 계불이 중요한 의례 중 하나로서 일이 생길 때마다 반복해서 행해지는 것은 인간이 죄나 부정 재난을 없애고 또 없애더라도 인간이 죄의 더러움에 얼마나 물들기 쉬운가를 잘 나타내고 있으며 어디까지나 “계불에 의해 얻게 되는 청정함과 신성함만이 인간이 본래부터 가지고 있는 것이다.” 라고 하는데 있다.
6. 神道의 제례
가미들은 어디에 머무는가? 처음에 그들은 숲 속, 바위와 나무 아래, 바닷가 혹은 논밭 등 자연속 어디에나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오늘날에는 그 성격이 어떠하든 간에, 경배와 추앙은 신도의 사원인 ‘신사 神社의 입구는 대개 붉은 색으로 칠해졌는데, 이는 신사의 입구를 표시하면서 신성한 곳과 속계를 가르는 경계가 된다고 한다.
’에서 이루어진다.
현재 일본에는 8만개가 넘는 신사가 있다. 본관 내부에는 신의 상징을 들여놓았는데, 흔히 거울이나 칼처럼 신비한 힘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지는 물건들이다. 모든 신성한 공간은 짚을 꼬아 엮는 줄로 표시하는데, 이 역시 신성의 현존을 상징한다.
신사를 중심으로 벌어지는 종교적 활동은 농사의 절기나 출생과 결혼 등 인생의 각 단계마다 행해진다. 하지만 축제는 가미들이 즐길 수 있는 기회 축제가 진행되는 동안 신들은 후손들의 마을을 돌아다니기 위해 가마를 빌려 탄다.
이다. 그래서 춤과 활쏘기, 씨름(스모), 등불행렬, 음악 등이 연회를 곁들인 즐거운 분위기 속에서 진행된다. 가미들은 즐겁게 놀기는 하지만, 불경스러운 일은 혐오한다. 정신과 육체의 순수함은 신도의 중요한 계율이기 때문에 환자나 상을 당한 사람은 신사 방문이 금지되었다.
신도는 인간과 가미와 자연간의 조화를 대단히 중요시한다. 수호신으로 변한 조상들은 산(시신이 매장된 곳)에 머물면서 농사에 필요한 물을 내려보내 후손들의 행복을 지켜준다고 생각한다.
가미 곁을 찾아온 신자는 신사 입구에 있는 분수에서 입과 손을 씻고 경배실에 도착하면 겉옷이나 외투를 벗고 악령을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4.17
  • 저작시기200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47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