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m staining, acid-fast staining, spore staining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gram staining, acid-fast staining, spore staining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gram staining
OBJECT
INTRODUCTION
MATERIAL & METHOD
RESULTS
DISCUSSION
REFERANCE

2. acid-fast staining
OBJECT
INTRODUCTION
MATERIAL & METHOD
RESULTS
DISCUSSION
REFERANCE

3. spore staining
OBJECT
INTRODUCTION
MATERIAL & METHOD
RESULTS
DISCUSSION
REFERANCE

본문내용

들어가면 뼈 ·신장 ·수막등에도 혈행성 전이를 가져온다. 한 번 신장에 제2차 결핵증이 발생하면 관내성으로 수뇨관 ·방광에 결핵증이 진전하게 된다.
<항산성 염색의 임상적 의의>
결핵의 원인균인 마이코박테리엄 종에 속하는 항산성균의 발견에 이용
- 결핵환자의 진단을 신속히 할 수 있음.
- 퇴원여부를 결정하는데 중요.
- 마이코박테리아의 진단에 중요한 요소
MATERIAL & METHOD
준비물
기구 - 슬라이드 글라스, 현미경, ring loop(백금이), 알콜 램프, xylene
용액 - Acid Alcohol, Methylen Blue, Carbol Fuchsin
균액 - Mycobacteria phlei
실험방법
1. Mycobacteria phlei(결핵균을 비 병원성으로 만든 것)을 슬라이드에 넓게 도말 후 건조시킨다.
2. Carbol Fuchsin을 떨어뜨리며 알콜 램프로 가열한다.(가온염색)
3. 슬라이드를 충분히 식힌 후, 흐르는 물에 뒷면을 씻어 완전히 건조시킨다.(Washing)
4. Acid Alcohol을 30초간 처리한 후, 흐르는 물에 뒷면을 씻어 완전 건조시킨다.(탈색)
5. Methylen Blue로 1min간 대조염색 후, 흐르는 물에 뒷면을 씻고, 건조 후 현미경 관찰.
RESULTS
Mycobacteria. phlei
염색약이 두꺼운 Mycobacteria phlei의 벽을 뚫고 들어가, 안쪽에 염색이 된 모습을 볼 수 있다.
DISCUSSION
미생물학 실험에 있어서 처음 해 보았던 “가온처리”가 이 과정이었다. 다들 긴장된 모습으로 실험에 임했던 것 같다. 조금만 잘못 처리해도 세균들이 모두 죽어버리기 때문이다.
단순 염색법으로는 염색이 잘 되지 않는 균이 있다는 사실에도 놀랐었고, 살짝 열을 가해 줌으로써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염색해 낼 수 있다는 사실에도 재밌었다. 실험을 하면 할수록, 이러한 방법들을 고안해 낸 과거의 과학자들에게 경외심이 느껴지는 날 발견하곤 하는 것 같다.
REFERANCE
네이버 지식인
의학 미생물학 실습
네이버 백과사전
미생물학 5판
3. spore staining(아포염색)
OBJECT
- Spore의 개념을 이해한다.
- Spore STAINING의 방법을 알고 이를 시행할 수 있다.
INTRODUCTION
<아포(spore)>
휴면세포(resting cell)상태의 븜수 구조.
세균은 생존에 불리한 환경(영양, 온도, 수분)이 주어지면 아포를 생성한다.
세균의 증식에 유리한 환경이 되면 다시 발아하여 정상적으로 증식하게 된다.
아포의 특징은 내구력이 강하고, 두꺼운 벽을 가진다는 것이다. 탈수와 100°C의 가열, 동결, 건조, 방사선 조건 등에서도 강한 내성을 지닌다. 멸균하기 위해서는.
121°C에서 15분간 고압증기 멸균해야 사멸한다.
예) 탄저균 Bacillus anthracis...

Bacillus 속이나 Clostridium 속의 세균은 오랫동안 아주 극한 상황에서 견딜 수 있는 특별한 구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휴면구조를 내생포자(endospore)라 한다. 내생포자는 세포질 안에서 형성된다. 내생포자의 모양이나 세포내에서 형성되는 위치는 종에 따라 다르며 이것은 종을 분류하는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 내생포자의 모양은 둥글거나 타원형이며 지름은 간균의 폭보다 작은 것도 있고 큰 것도 있다. 내생포자를 관찰하려면 주로 위상차 현미경을 사용하거나 음성 염색법을 사용한다. 내생포자는 대부분의 염료로는 염색되지 않으나 일단 한 번 염색되면 거의 탈색되지 않는다. 이러한 특성이 내생포자 염색법의 기초가 된다. 셰퍼-풀톤법(Schaeffer-Fulton procedure)에서는 먼저 세균과 말라카이트 그린을 함께 섞어 열처리 한 다음 내생포자를 염색한다. 말라카이트 그린은 내생포자 안으로 투과할 수 있는 강력한 염색약이다. 말라카이트 그린을 처리한 다음 시료를 물로 잘 씻어내고 사프라닌으로 2차 염색한다. 이 방법으로 내생포자는 녹색으로, 그 밖의 세포부분은 붉은색으로 염색할 수 있다.
MATERIAL & METHOD
준비물
기구 - 슬라이드 글라스, 현미경, xylene, 알콜 램프
용액 - Malachite Green, Safranin
균액 - B.Subtilis
실험방법
1. B.subtilis를 overgrowth시켜 Spore(포자)를 형성시킨다.(나누어준 B.subtilis)
2. 슬라이드에 B.subtilis를 도말한 후, 완전건조 시킨다.
3. Malachite green을 떨어뜨리며 5min간 가온염색(항산성 염색에서와 동일한 요령)
4. 슬라이드를 식힌 후, 흐르는 물로 뒷면을 씻고, 완전건조
5. Safranin으로 1min간 대조염색 후, 뒷면을 씻고, 건조 후 현미경 관찰(x1000)
실험 시 주의사항
1. 균액을 충분히 도말하고, 완전히 말려주어야, 현미경 관찰이 용이함(Fixation 잘할 것)
2. 가온염색 과정에서 슬라이드를 태우거나 깨지 말 것!
3. 탈색시간 30초 이내로 시간을 정확히 지킬 것!
RESULTS
B.subtilis (spore)
빨갛고 길쭉하게 염색된 B.subtilis와 동글동글 초록색으로 염색된 spore가 현미경 아래로 관찰되었다.
DISCUSSION
처음 “아포”라는 용어를 들었을 때는 별 생각이 없었다. 그렇지만, 실험을 하다가 녹색과 빨간색 중에 어떤 것이 아포인지 조교선생님께 물어봤을 때..다음 수업시간에 배울 아포에 대한 자세한 설명까지도 듣게 되었다. 그리고 ‘아포란 것이 참 생명의 놀라움을 보여주는 것이구나‘ 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어떠한 생명체가 그러하듯이, 극한 상황에 처했을 때에 우리가 하찮다고 생각하는 이러한 균들도 자신의 자손(?)을 남기기 위해 만들어 내는 것이 바로 이 아포인 것이다. 그러한 설명을 듣고 나니 더더욱 신기해져서 현미경을 자꾸 들여다보게 되었다. 문득, 만약 아포마저 남길 수 없을 정도의 극한 상황이 있다면, 균들은 어떤 방법으로 살아남는 방법을 택할 것인지도 궁금해 졌다.
REFERANCE
네이버 지식인
의학 미생물학 실습
네이버 백과사전
미생물학 5판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5.14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50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