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기
2. 프로이트의 '무의식' 비판
3. 프로이트가 경험을 중요시 보지 않는것에 대한 비판
4. 프로이트의 '죽음이론' 비판
5. 올포트의 성격정의
6. 올포트의 '기능적 자율' 개념
7. 나가기
2. 프로이트의 '무의식' 비판
3. 프로이트가 경험을 중요시 보지 않는것에 대한 비판
4. 프로이트의 '죽음이론' 비판
5. 올포트의 성격정의
6. 올포트의 '기능적 자율' 개념
7. 나가기
본문내용
모든 생각이나 기억을 파악하려고 시도하였다. 노안영강영신,『성격심리학』서울 : 학지사, 2003, p.81
심리학이 과학임을 입증하려 한다면 알려지지 않은 행동의 원인을 발견해야 할 것이라고 믿었다.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그는 초기에는 정신 분석에서 무의식적 인과 관계 또는 무의식적 동기를 찾아내려고 애썼던 것이다. “심리학에서 우리가 할 일은 무의식적 과정을 의식적 과정으로 번역하여 의식적 지각의 빈틈을 메우는 것” 캘빈S.홀,『프로이트 심리학 입문』, 서울 : 범우사, 1977, p.69
이라고 프로이트가 말한 것도 이러한 의미일 것이다.
하지만 그의 무의식에 대한 개념은 모호한 점이 없지 않으며, 심지어 혼동을 주기에 충분한 데가 있기도 하다. 무엇보다도 가장 아쉬운 것은 우리가 익히 잘 알고 있는 맥락 속에 그 무의식 조직을 조화롭게 위치시키지 못했다는 점이다. 아마도 우리가 나르시시즘적 정신신경증이라 부르는 질병의 분석만이 이 수수께끼 같은 무의식 조직을 우리의 이해 범위 안에 들어올 수 있게, 말하자면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특히 그의 무의식에 대해 거부감을 강하게 느낀 것은 올포트를 배우면서 한 예화를 읽었을
심리학이 과학임을 입증하려 한다면 알려지지 않은 행동의 원인을 발견해야 할 것이라고 믿었다.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그는 초기에는 정신 분석에서 무의식적 인과 관계 또는 무의식적 동기를 찾아내려고 애썼던 것이다. “심리학에서 우리가 할 일은 무의식적 과정을 의식적 과정으로 번역하여 의식적 지각의 빈틈을 메우는 것” 캘빈S.홀,『프로이트 심리학 입문』, 서울 : 범우사, 1977, p.69
이라고 프로이트가 말한 것도 이러한 의미일 것이다.
하지만 그의 무의식에 대한 개념은 모호한 점이 없지 않으며, 심지어 혼동을 주기에 충분한 데가 있기도 하다. 무엇보다도 가장 아쉬운 것은 우리가 익히 잘 알고 있는 맥락 속에 그 무의식 조직을 조화롭게 위치시키지 못했다는 점이다. 아마도 우리가 나르시시즘적 정신신경증이라 부르는 질병의 분석만이 이 수수께끼 같은 무의식 조직을 우리의 이해 범위 안에 들어올 수 있게, 말하자면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특히 그의 무의식에 대해 거부감을 강하게 느낀 것은 올포트를 배우면서 한 예화를 읽었을
키워드
추천자료
성격심리학과 성격이론
성격이론을 통한 나의 성격분석
성격이론의 정리와 내가 가장 마음에 드는 이론
성격이론 중 2가지를 선택하여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성격을 분석하시오. - 체격유형론, 칼 ...
성격性格이론에 대해, 이상성격의 의미와 유형과 분류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정신역동이론의 이해(에릭슨) - 에릭슨의 심리사회학적 성격이론(인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Human Behavior and Social Environment)] 성격심리학이론 - 융, 스키...
[심리치료psychotherapy 와 상담] 정신분석의 주요개념과 성격이론 - 정신분석의 기본가정, ...
Erikson의 성격발달이론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를 적용하여 자신의 성격발달과정에 대하여 자...
[2016 인간과교육] 1 주입식교육관 성장식교육관 자연주의교육관 진보주의교육관 실존주의교...
[2016년 인간과교육] 주입식교육관 성장식교육관(자연주의교육관 진보주의교육관 실존주의교...
사람들이 어떤 성격인지를 알 수 있는 것은 그 사람이 일을 처리하거나 대인 관계에서 나타나...
[성격이론] 인본주의 이론
[올포트의 특질이론] 올포트(Allport)의 생애 특질이론의 주요개념 올포트의 성격발달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