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조선후기의 사회변화와 실학사상의 대두
2.본론
-한백겸과 신경준의 생애
-당시의 시대적 상황
-학문적 성향과 역사인식
(한백겸의 동국지리지 / 신경준)
3.결론
-조선후기의 사회변화와 실학사상의 대두
2.본론
-한백겸과 신경준의 생애
-당시의 시대적 상황
-학문적 성향과 역사인식
(한백겸의 동국지리지 / 신경준)
3.결론
본문내용
적 성격을 띠게 되었고 이는 역사학에도 반영되어 정통적 역사관에도 변화를 가져온다. 바로 이 변화의 선구에 한백겸이 있었다. 그는 역사지리학으로써 토지분배의 정당성을 합리화하여 개혁을 꾀했다. 신경준 또한 근대 국가의 영토개념에 가깝게 당시의 영토개념을 확실히 하여 국방문제에 힘썼다. 이 두 사람은 모두 실학의 개혁론을 역사를 통해 이루려고 했던 사람들이며 도덕적 기준에 입각하여 역사를 해석 서술하여 교훈을 얻으려는 기존의 정통적인 역사연구와는 달리 객관적 기준위에서 사료비판 고증 등 과학적인 방법으로 역사를 연구하려고 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전통 역사지리학에서 한백겸이 학문으로서 역사지리학을 확립하는데 선구자적인 위치를 차지한다면, 신경준은 바로 이러한 고증적 역사지리연구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고 평가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조동걸외,『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창작과 비평사, 2004.
한국철학사연구회,『한국실학사상사』, 도서출판 다운샘, 2000.
한영우,『조선후기사학사연구』, 일지사 , 1989.
이종범,「신경준-국토와 도로의 개념을 발견한 실학자-」, 조선대학교 ,2002.
양보경, 「여암 신경준의 지리사상」, 성신여자대학교, 1999.
▶참고문헌
조동걸외,『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창작과 비평사, 2004.
한국철학사연구회,『한국실학사상사』, 도서출판 다운샘, 2000.
한영우,『조선후기사학사연구』, 일지사 , 1989.
이종범,「신경준-국토와 도로의 개념을 발견한 실학자-」, 조선대학교 ,2002.
양보경, 「여암 신경준의 지리사상」, 성신여자대학교, 199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