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교육철학이란 무엇인가?
2.교육철학의 기능
1)분석적 기능
2)평가적 기능
3)사변적 기능...
교육철학이란 무엇인가?
2.교육철학의 기능
1)분석적 기능
2)평가적 기능
3)사변적 기능...
본문내용
요구하는 일들을 더 충실히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신득렬 외(2005). 「쉽게 풀어 쓴 교육철학 및 교육사. 서울:양서원
조무남 외(1996). 「교육사 교육철학 강의」 서울:동문사
김영우 외(1998). 「교육사ㆍ교육철학」 서울:교육과학사
C.F.넬러(1990). 「교육철학이란 무엇인가」 서울:서광사
더 알아보기
☞다른 학자들의 교육철학 기능 분류법☜
♠네이글(E. Nagel)의 교육철학의 기능
①해석적 기능: 분류, 서술, 설명
②명료화 기능:의미 명료화
③평가적 기능: 가치평가, 판단
④처방적 기능: 처방, 명령
자료출처:팽영일(2004). 「교육의 철학과 역사」 서울:양서원
♠Phenix의 교육철학의 기능
①언어의 분석(analysis of language): 우리가 상식의 수준에서 쓰고 있는 말의 참뜻을 뚜렷하게 다듬는 일이다. 예를 들면 ‘안다’는 무엇을 뜻하며, ‘직접경험’은 무엇을 뜻하며, ‘사물’은 무엇을 가리키는가를 다듬는 일이다.
②전제를 분명히 하고 그것을 꾸준히 비판하는 일(clarification and criticism of assumption): 우리가 ‘초록색’을 논할 때 거기에는 여러 색의 개념, 감각적 지각의 과정, 그것을 지각하는 인간의 존재가 전제되어 있다.
③방법의 연구(study of method): 모든 학문의 방법을 연구하는 일이다. 가능하면 모든 학문이 수학의 방법에서처럼, 더욱 구체적으로는 유클리트의 기하학에서처럼 공리ㆍ전제ㆍ정의ㆍ정리 등으로 논리적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④합리적 근거에 의한 신조의 정당화(justification of beliefs): 가치에 대한 우주의 진행과 완성에 대한, 정치체계에 대한 그리고 여러 학문영역의 연구방법에 대한 각자의 입장이 철학적 근거에 의하여 합리화 될 수 있다.
⑤발견된 많은 지식의 축적을 분석적 관점 또는 통일적 관점에서 조정(coordination of knowledge): 수많은 교육현상을 꿰뚫고 있는 기본적 양태는 무엇인가? 또는 수많은 교육표준의 근거에 숨어 있는 것은 무엇인가? 등을 살피는 일이다.
⑥규범적 이상과 전망을 밝히는 일(expression of vision): 우리는 현재 이런 제약에서 이렇게 살고 있지만, 원래는 어떠해야 했다든가 앞으로 어떠해야한다 등을 밝혀주면서 구원의 이상을 노래하는 일이다.
자료출처: 정찬주 외(1995).「교육철학 및 교육사」서울:양서원
【참고문헌】
신득렬 외(2005). 「쉽게 풀어 쓴 교육철학 및 교육사. 서울:양서원
조무남 외(1996). 「교육사 교육철학 강의」 서울:동문사
김영우 외(1998). 「교육사ㆍ교육철학」 서울:교육과학사
C.F.넬러(1990). 「교육철학이란 무엇인가」 서울:서광사
더 알아보기
☞다른 학자들의 교육철학 기능 분류법☜
♠네이글(E. Nagel)의 교육철학의 기능
①해석적 기능: 분류, 서술, 설명
②명료화 기능:의미 명료화
③평가적 기능: 가치평가, 판단
④처방적 기능: 처방, 명령
자료출처:팽영일(2004). 「교육의 철학과 역사」 서울:양서원
♠Phenix의 교육철학의 기능
①언어의 분석(analysis of language): 우리가 상식의 수준에서 쓰고 있는 말의 참뜻을 뚜렷하게 다듬는 일이다. 예를 들면 ‘안다’는 무엇을 뜻하며, ‘직접경험’은 무엇을 뜻하며, ‘사물’은 무엇을 가리키는가를 다듬는 일이다.
②전제를 분명히 하고 그것을 꾸준히 비판하는 일(clarification and criticism of assumption): 우리가 ‘초록색’을 논할 때 거기에는 여러 색의 개념, 감각적 지각의 과정, 그것을 지각하는 인간의 존재가 전제되어 있다.
③방법의 연구(study of method): 모든 학문의 방법을 연구하는 일이다. 가능하면 모든 학문이 수학의 방법에서처럼, 더욱 구체적으로는 유클리트의 기하학에서처럼 공리ㆍ전제ㆍ정의ㆍ정리 등으로 논리적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④합리적 근거에 의한 신조의 정당화(justification of beliefs): 가치에 대한 우주의 진행과 완성에 대한, 정치체계에 대한 그리고 여러 학문영역의 연구방법에 대한 각자의 입장이 철학적 근거에 의하여 합리화 될 수 있다.
⑤발견된 많은 지식의 축적을 분석적 관점 또는 통일적 관점에서 조정(coordination of knowledge): 수많은 교육현상을 꿰뚫고 있는 기본적 양태는 무엇인가? 또는 수많은 교육표준의 근거에 숨어 있는 것은 무엇인가? 등을 살피는 일이다.
⑥규범적 이상과 전망을 밝히는 일(expression of vision): 우리는 현재 이런 제약에서 이렇게 살고 있지만, 원래는 어떠해야 했다든가 앞으로 어떠해야한다 등을 밝혀주면서 구원의 이상을 노래하는 일이다.
자료출처: 정찬주 외(1995).「교육철학 및 교육사」서울:양서원
추천자료
교육철학의 개념,기능,유형별 정리.
[교육]교육철학의 기능과 종류
교육의 목적, 교육철학의 기초, 교육철학의 기능, 교육철학의 가치, 교육철학의 성격, 교육철...
교육철학(교육사상)의 교육정의와 기능, 실용주의와 교육철학(교육사상), 사회재건주의와 실...
교육실천교육이론교육철학의개념과상호관계,형이상학,인식론,가치론,철학의기능,독립의원리 설명
교육철학(교육사상)의 의미와 기능, 사회적 교육철학(교육사상), 이상주의 교육철학(교육사상...
교육철학(교육사상) 성격, 교육철학(교육사상) 기능, 교육철학(교육사상) 대표적 학자, 본질...
교육철학(교육사상) 도입과 발달, 교육철학(교육사상) 의의와 성격, 교육철학(교육사상) 분류...
[교육철학][교육사상]교육철학(교육사상)의 정의, 교육철학(교육사상)의 기능, 주요 교육철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