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문헌고찰)
1.Thyroid Cancer이란?
2. 원인/병태생리
3. 증상
4. 진단
5. 치료
Ⅱ. 본론(CASE STUDY)
1. NURSING HISTORY
2. 의사지시 기록지(Medication)
3. 진단의학검사
4. 간호과정
1.Thyroid Cancer이란?
2. 원인/병태생리
3. 증상
4. 진단
5. 치료
Ⅱ. 본론(CASE STUDY)
1. NURSING HISTORY
2. 의사지시 기록지(Medication)
3. 진단의학검사
4. 간호과정
본문내용
동통을 느끼지는 않으나, 목, 얼굴 같은 곳으로 퍼지면 쑤시는 것 같은 아픔을 느끼게 된다.
4. 진단
갑상샘 scan이 이용되며 이것은 ‘기능결절(hot nodule)\'과 ’비기능 결절(cold nodule)\'의 감별진단에 이용.
침생검은 갑상샘이 커져 있을때 치료 및 진단 목적으로 사용되는 중요한 검사.
호르몬 검사를 위한 채혈, 핵의학 검사라고 하여 갑상선에 생긴 종양의 호르몬 생산 기능을 볼수 있는 검사, 갑상선 조직을 바늘로 찔러 조금 얻는 조직 검사, 목의 컴퓨터 단층촬영(CT), 초음파 검사, 세침흡입 세포진단법 등이 필요
갑상선의 종양이 있는지 여부는 앉은 자세로 물을 마시게 해보면 쉽게 알수 있다.
목 앞부분 양쪽의 갑상선이때 그 크기와 형태, 차이 등으로 판단할수 있다.
5. 치료
크게 수술, 방사선치료, 호르몬 요법, 항암 치료의 네 가지 치료방법이 있다.
1) 수술
병의 정도에 따라 한 쪽 갑상선엽만을 제거할 수도 있고(lobectomy) 전체 갑상선엽을 다 제거하던지(total thyroidectomy)아니면 일부 조직을 남기고 제거하는(near total or subtotal thyroidectomy) 방법이 있다.
1.5cm이하의 작은 유두암 또는 여포암이 한 쪽 갑상선엽에만 있는 경우에는 그 갑상선엽만을 제거하는 수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수질암이나 미분화암같이 예후가 나쁜 암은 전체 갑상선을 다 제거하는 것이 원칙이다.
목의 임파선에 전이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목의 임파선을 제거하는 수술(경부곽청술이라 함)을 같이 시행하게 된다. 수질암의 경우에는 작은 병변이라도 임파선에 전이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임파선 제거 수술을 같이 하게 된다.
수술에는......
엽절제술 동결조직절편 검사결과에 따라
아진절제술
전절제술
출혈 ⇒ 재수술
창상간염
신경손상
상후두 신경(sup.laryngealn:)j 고음처리가 안됨
반회신경(recurrent laryngealn.)
a. 한쪽 손상 : 목이 쉰다
b. 양쪽 손상 : 성대마비 → 호흡곤란 → 기관절개술
부갑상선(4개)1개이상만 있으면 정상기능.
모두손상 → 저칼슘혈증 → 경련;칼슘섭취
갑상선 호르몬 섭취
전신마취
.호흡기 → 분비물증가 → 무기폐 → 폐렴
.심장 → 부정맥 → 심장마비
.간 → 간부전
.신 → 신부전
.뇌 → 뇌경색 or 출혈
.특이체질 → 알레르기반응 → 쇽 → 사망
2) 방사선 치료
방사선을 밖에서 쬐는 방법과 방사선을 내는 성질을 지닌 동위원소를 먹는 방법이 있는데 대부분은 후자의 방법을 이용한다.
동위원소를 먹는 치료 방법은 갑상선이 요오드를 흡수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방사선을 내는 성질을 가진 요오드(요오드의 동위원소)를 섭취했을 때 이들이 선택적으로 갑상선 조직에 흡수되어 갑상선 조직은 죽고 반면에 정상조직에는 별로 영향을 주지 않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 방법은 수술 후 남아있을 가능성이 있는 갑상선 조직을 완전히 없애거나 전이된 부위의 치료를 위해서 사용하게 되다.
병의 정도와 전이 여부에 따라 방사선 용량의 차이가 나게 된다. 동위원소 치료는 6개월 내지 12개월 간격으로 더 이상 동위원소를 흡수하는 갑상선조직이 남아있지 않을 때까지 시행하게 되지만, 방사선의 축적량이 어느 정도 이상이 되면 더 이상의 치료는 곤란하다.
3) 호르몬 치료
갑상선 호르몬을 투여하면 갑상선 암세포의 성장을 더디게 하고 갑상선 조직을 성장시키는 호르몬의 분비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4) 항암치료
수술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종양이 퍼져 있으나, 방사성 동위원소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고, 외부에서 방사선을 쬐는 방법으로도 반응이 없을 때 써 볼 수 있는 방법이다.
Ⅱ. 본론(CASE STUDY)
1. NURSING HISTORY
① 일반정보
이름 : 정 ○○, F/28
키 : 167.7Cm
몸무게 : 62Kg
입원일시 : 2005/03/31
입원경로 : 외래
입원방법 : 도보
직업 : 무
종교 : 무
발병일 : 6-7년전
② 병력
Neck mass(+) → bx. 상 R/o papillary ca.
현병력 : Benign neoplasm of thyroid gland
과거병력 : 6-7년전 포항동국대 병원에서 갑상선 종양제거술 시행. HTN/DM/TBC(-/-/-)
가족병력 : 부친 HTN(+)
③ 입원시 상태
전반적 상태 : 양호
호흡기 문제 : 있음
의치 : 없음
마비 및 쇠약 : 없음
시력장애 : 있음 → 안경
4. 진단
갑상샘 scan이 이용되며 이것은 ‘기능결절(hot nodule)\'과 ’비기능 결절(cold nodule)\'의 감별진단에 이용.
침생검은 갑상샘이 커져 있을때 치료 및 진단 목적으로 사용되는 중요한 검사.
호르몬 검사를 위한 채혈, 핵의학 검사라고 하여 갑상선에 생긴 종양의 호르몬 생산 기능을 볼수 있는 검사, 갑상선 조직을 바늘로 찔러 조금 얻는 조직 검사, 목의 컴퓨터 단층촬영(CT), 초음파 검사, 세침흡입 세포진단법 등이 필요
갑상선의 종양이 있는지 여부는 앉은 자세로 물을 마시게 해보면 쉽게 알수 있다.
목 앞부분 양쪽의 갑상선이때 그 크기와 형태, 차이 등으로 판단할수 있다.
5. 치료
크게 수술, 방사선치료, 호르몬 요법, 항암 치료의 네 가지 치료방법이 있다.
1) 수술
병의 정도에 따라 한 쪽 갑상선엽만을 제거할 수도 있고(lobectomy) 전체 갑상선엽을 다 제거하던지(total thyroidectomy)아니면 일부 조직을 남기고 제거하는(near total or subtotal thyroidectomy) 방법이 있다.
1.5cm이하의 작은 유두암 또는 여포암이 한 쪽 갑상선엽에만 있는 경우에는 그 갑상선엽만을 제거하는 수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수질암이나 미분화암같이 예후가 나쁜 암은 전체 갑상선을 다 제거하는 것이 원칙이다.
목의 임파선에 전이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목의 임파선을 제거하는 수술(경부곽청술이라 함)을 같이 시행하게 된다. 수질암의 경우에는 작은 병변이라도 임파선에 전이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임파선 제거 수술을 같이 하게 된다.
수술에는......
엽절제술 동결조직절편 검사결과에 따라
아진절제술
전절제술
출혈 ⇒ 재수술
창상간염
신경손상
상후두 신경(sup.laryngealn:)j 고음처리가 안됨
반회신경(recurrent laryngealn.)
a. 한쪽 손상 : 목이 쉰다
b. 양쪽 손상 : 성대마비 → 호흡곤란 → 기관절개술
부갑상선(4개)1개이상만 있으면 정상기능.
모두손상 → 저칼슘혈증 → 경련;칼슘섭취
갑상선 호르몬 섭취
전신마취
.호흡기 → 분비물증가 → 무기폐 → 폐렴
.심장 → 부정맥 → 심장마비
.간 → 간부전
.신 → 신부전
.뇌 → 뇌경색 or 출혈
.특이체질 → 알레르기반응 → 쇽 → 사망
2) 방사선 치료
방사선을 밖에서 쬐는 방법과 방사선을 내는 성질을 지닌 동위원소를 먹는 방법이 있는데 대부분은 후자의 방법을 이용한다.
동위원소를 먹는 치료 방법은 갑상선이 요오드를 흡수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방사선을 내는 성질을 가진 요오드(요오드의 동위원소)를 섭취했을 때 이들이 선택적으로 갑상선 조직에 흡수되어 갑상선 조직은 죽고 반면에 정상조직에는 별로 영향을 주지 않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 방법은 수술 후 남아있을 가능성이 있는 갑상선 조직을 완전히 없애거나 전이된 부위의 치료를 위해서 사용하게 되다.
병의 정도와 전이 여부에 따라 방사선 용량의 차이가 나게 된다. 동위원소 치료는 6개월 내지 12개월 간격으로 더 이상 동위원소를 흡수하는 갑상선조직이 남아있지 않을 때까지 시행하게 되지만, 방사선의 축적량이 어느 정도 이상이 되면 더 이상의 치료는 곤란하다.
3) 호르몬 치료
갑상선 호르몬을 투여하면 갑상선 암세포의 성장을 더디게 하고 갑상선 조직을 성장시키는 호르몬의 분비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4) 항암치료
수술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종양이 퍼져 있으나, 방사성 동위원소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고, 외부에서 방사선을 쬐는 방법으로도 반응이 없을 때 써 볼 수 있는 방법이다.
Ⅱ. 본론(CASE STUDY)
1. NURSING HISTORY
① 일반정보
이름 : 정 ○○, F/28
키 : 167.7Cm
몸무게 : 62Kg
입원일시 : 2005/03/31
입원경로 : 외래
입원방법 : 도보
직업 : 무
종교 : 무
발병일 : 6-7년전
② 병력
Neck mass(+) → bx. 상 R/o papillary ca.
현병력 : Benign neoplasm of thyroid gland
과거병력 : 6-7년전 포항동국대 병원에서 갑상선 종양제거술 시행. HTN/DM/TBC(-/-/-)
가족병력 : 부친 HTN(+)
③ 입원시 상태
전반적 상태 : 양호
호흡기 문제 : 있음
의치 : 없음
마비 및 쇠약 : 없음
시력장애 : 있음 → 안경
추천자료
노화와 암 유전자
암의 종류 및 증상
결장암 사례연구
췌장암(이자암) 레포트
[간호학] LAVH -자궁경부암 (Cervix Cancer) 케이스 스터디
[간호학 임상 CASE] 직장암 (rectal cancer)
[성인]폐암 CASE (lung cancer CASE)
[Conference] 위암 (Gastric cancer) 케이스
대장암과 직장암의 이해와 간호 (Colon & Rectal Cancer)
[성인간호학][췌장암][pancreatic cancer]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CASE] 방광암 케이스 bladder cancer nursing case 간호과정
[병태생리학] 대장암 (Colorectal Cancer)
성인간호학 암병동 CASE, 림프종
<성인간호학 실습> 일반외과 케이스 스터디 : Gastric Cance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