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신조어를 통해 본 우리말의 변화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터넷 신조어를 통해 본 우리말의 변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로그인

Ⅱ.로그온
1. 인터넷 언어의 특징
2. 인터넷 신조어 - 즐, 압박, 빠순이(박순희), 귀차니즘과 귀차니스트, 하오체와 하3체, 이모티콘, 외계어, 폐인, 아햏햏과 햏자,
싸이질과 싸이홀릭, 일촌

Ⅲ.로그아웃

본문내용

염자를 사용하는 ‘염 체’등 네티즌들만의 각종 어투가 인터넷 게시판을 점령하고 있다. 이런 현상은 한국만의 것이 아니다. 영어권 국가에서도 please를plz로, for you를 4u로 줄여 쓰는 사례가 빈번하다.
이렇게 통신 언어에서 하오체 등이 번성하고 있는 것은 독특한 어감과 기능적 특성, 그리고 화자들의 경어법 사용 전략 때문이라고 한다. 다음은 대구 매일신문 8월 기사이다.
(중략)이정복 대구대 교수는 21일 대구가톨릭대 외국어교육관에서 열리는 언어과학회(회장 김기찬 경북대 교수) 주최의 하계 전국학술 발표대회에서 \'인터넷 통신 언어 경어법의 특성\'이란 논문을 발표했다. 이 교수에 따르면 인터넷 게시판 8곳에 올라온 네티즌들의 언어를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쓰인 문장 형식은 하오체가 35.6%로 1위를 차지했다. 대표적인 하오체로는―보았소‘말 안 듣게 생겼구려‘―아니오등이었다. 이어 청자(聽者) 경어법의 말 단계 면에서 해체 정도에 해당하는 비 완결형(20.1%)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여기에는 주어만 있고 서술어가 없이 문장이 끝나 청자 경어법의 말 단계를 파악하기 어렵거나궁금죄송부럽과 같은 단어로 문장을 종결하는 경우 등이 해당됐다. 이에 대해 이 교수는 \"문장이 완전하게 종결되지 않고 끝나는 비완결성은 통신 화자들이 쳐 넣어야 할 글자 수를 줄여서 편하게 글을 쓰려는 경제적 동기가 가장 크게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좋으세요가능하세요와 같은 해요체(18.4%),했습니다뭡니까와 같은 하십시오체(10.5%)가 그 뒤를 이었다. 이 교수는 “통신 언어에서 하오체가 번성하고 있는 것은 하오체가 지닌 독특한 어감과 기능적 특성, 그리고 화자들의 경어법 사용 전략 때문”이라며 “이 형식은 상대방을 높이면서 길이가 짧아 사용이 편리하며, 화자 자신이 특정 지식이나 정보 면에서 최고라는 권위 의식을 표현하기에 알맞다”고 분석했다. 또 통신 언어에서 하오체가 잘 쓰이는 조건으로 이 교수는 화자의 성별은 남성, 화자의 세대는 20, 30대의 젊은 세대, 게시판의 성격은 뜨겁고 들뜬, 이용자가 많은 게시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하오체, 해요체, 하십시오체를 모두 합치면 약 65%로서 통신 게시글의 청자 경어법이 상대방을 높이 대우하는 형식 중심으로 쓰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하시게나와 같은 하게체 형식은 전혀 쓰이지 않았으며, 이로써 통신 언어에서 하게체는 생명력이 없는 말 단계로 판단된 셈”이라고 밝혔다.
…(중략)…박선옥 진주국제대 교수는 \'입사지원서에서의 체면관리와 공손전략\'이란 논문을 통해 \"예측과는 달리 여자가 남자보다 더 간결한 문장을 사용하며, 나이가 많은 사람이 더 친밀하고 더 공손한 호칭을 사용했으며, 나이가 많은 사람이 더 많은 소극적 공손전략을 사용했다\"고 밝혔다.
6)이모티콘
이모티콘은 최초로 1980년대에 미국 카네기 멜론 대학생인 스코트 펠만이 사용했으며 Smiley symbol이라고도 한다. PC통신과 인터넷 상용화 초창기에는 웃는 모습(:-))이 주류를 이루었기 때문에 스마일리(Smiley)로 불리기도 한다. 이모티콘은 국가에 따라 자주 사용하는 것이 다르고 새로운 아이디어로 계속 추가되고 있다. 현재 한국과 미국 등에서 사용중인 이모티콘은 2천여개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다음은 귀여니의 인터넷 소설 「늑대의 유혹」일부분이다.
벌컥!!!!!!!!!!-......_.........
아..안뇽..꼬마야..\" (중략)
\"응^-^말해봐. 너도 멍구네 번호 갈차주까?^^멍구^^멍구^^\" (중략)
\"아뇨아뇨 >_< 정말 괜찮아요 >_< 정말이에요 >_<\"
\"고개좀 들어보라니까요!?\"
\"아니라니까요! 왜그르세요 ㅜ^ㅜ\"
개미떼 중 하나와 내가 실갱이를 하는 사이..버스는 우리집 앞에 다다라 있었다 .
-_- 비러머글 개미놈-_-아. >_< 내가 지금 무슨 말을 >_< 이런 >_< 이런 >_<
위의 글은 인터넷 소설로 많은 독자들의 인기를 끌고 있는 한 작품이다. 소설 자체가 대화 중심이며 등장인물의 감정을 주로 이모티콘을 이용하여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기분이 좋다는 것을 표현 할 때는 ^ㅡ^ ,*^^* 등으로 표현하고, 슬픈 감정을 표현 하고자 할 때는 ㅜㅜ, ㅠㅡㅠ 과 같은 식으로 나타낸다. 이모티콘을 사용하는 것은 동질의 인터넷 문화를 공유하고 있는 독자에게는 친밀감과 소속감을 부여하지만, 인터넷 문화를 공유하지 못하는 경우의 독자에게는 정반대가 될 수 있다. 이 소설을 쓴 작가도 10대이고, 인터넷을 주로 이용하는 층 역시 10~20대라고 할 수 있는데 이들은 이모티콘, 줄임말과 같은 인터넷 용어를 즐겨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이 만들어 가는 통신 문학 역시 인터넷 신조어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것 같다.
이러한 이모티콘은 왜 사용할까? 우선, 인터넷에서 사람들과의 만남은 직접 만나는 것이 아니라 글로만 상대방을 만나게 된다. 그러므로 직접 만나 이야기를 나눈는 것에 비해 상대방의 감정이나 표정 등은 알 수가 없다. 이 같은 단점을 보완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게 이모티콘인 것이다. 인터넷 채팅에서는 ‘아바타’나 그래픽 등 감정을 표현하는 수단이 도입되고 있지만 이모티콘은 여전히 많이 사용되고 있다. 미묘하고 다양한 감정 표현을 해낼 수 있는 데다 자신의 감정을 간단하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대방에게 ‘사랑해’라고 쓰는 것보다 ‘사랑해~*^^*’ 라고 하면 쑥스러운 감정을 함께 담아 전달할 수 있다.
다음은 인터넷 뿐만 아니라 문자 메세지에서도 자주 쓰이는 이모티콘과 그 뜻이다.
;;┏(ㅡ_ㅡ)┛
도망, 후다닥!
^.^v
브이
^-^
웃는얼굴1
>.<
찡그린 얼굴
^0^
웃는얼굴2
Loading...
■■■■□ 99%
로딩중...
(^.^)/
만나서 손흔들기
^^;;
웃는얼굴3
:-()
소리칠 때
^L^
웃는얼굴4
^^//
저요~
(\'_\')f(^.^)
쿡쿡~이봐이봐
^.~
윙크
\(^ㅂ^)/
만세
◑ ◐
사팔뜨기
-_-
난처, 식은땀
=_=)b
최고야~
:-P
메롱
-_-a
손으로 긁적
+_+
충격받음
*^.^*
부끄러워
ㅠ.ㅠ
슬픔, 눈물
7)외계어
군因亞씨 보㉦┫┃켠. 훈련받느1-

추천자료

  • 가격3,8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05.04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78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