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감각온도의 3대 요소
2)쾌감온도 및 습도
3)불쾌지수(Discomfort Index:DI
4)불감기류
5)수인성 전염병의 특징
6)물의 자정작용, 공기의 자정작용
7)Mills-reincke현상
8)BOD, MPN, 대장균지수, 용존산소
9)음료수 소독 및 불연속점 염소처리
10)하수의 본처리 2대 방법 (하수 처리의 2대 방법)
11) 하수 오염 측정
12) 사무실, 교실의 표준조도
13)의복 기후의 쾌감조건
14) 의복의 방한력 단위
15) 화학적 소독약의 종류 및 보건학적 작용
16) 일광의 종류 및 보건학적 작용
17) 물의 정화 과정
2 환경보건:환경오염:공해
1)환경오염(환경보전)의 정의 및 특성, 분류(현대공해의 특성) 환경오염이란?
2) 인간환경선언 및 브라질 리우환경선언(1992.6)
3) 3P, 3M
4) 대기오염 물질의 형태
5) London형 및 LA형 smog의 분류
6)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장애
7) 수질오염지표
8) 미나미타병, 이타이이타이병
9) 소음 및 진동으로 인한 건강장애
10) 링겔만 비탁표
11)대기오염을 일으키는 기후조건
12)대기오탁 피해 및 방지를 위한 조치
13)굴뚝의 높이와 대기오탁과의 관계
3.산업보건
1)에너지 대사율(R.M.R)
2)산업재해 지표
3)이상고도 조건으로 인한 직업병
4)이상저온조건으로 인한 직업병
5)소음, 진애(먼지)에 의한 장애 ]
(보충설명)
정의
회충:
요충:
십이지장충증:
편충:
무구조충:
선모충;
간흡충:
폐흡충:
아나사키스:
요꼬가와흡충:
아나사키스:
2)쾌감온도 및 습도
3)불쾌지수(Discomfort Index:DI
4)불감기류
5)수인성 전염병의 특징
6)물의 자정작용, 공기의 자정작용
7)Mills-reincke현상
8)BOD, MPN, 대장균지수, 용존산소
9)음료수 소독 및 불연속점 염소처리
10)하수의 본처리 2대 방법 (하수 처리의 2대 방법)
11) 하수 오염 측정
12) 사무실, 교실의 표준조도
13)의복 기후의 쾌감조건
14) 의복의 방한력 단위
15) 화학적 소독약의 종류 및 보건학적 작용
16) 일광의 종류 및 보건학적 작용
17) 물의 정화 과정
2 환경보건:환경오염:공해
1)환경오염(환경보전)의 정의 및 특성, 분류(현대공해의 특성) 환경오염이란?
2) 인간환경선언 및 브라질 리우환경선언(1992.6)
3) 3P, 3M
4) 대기오염 물질의 형태
5) London형 및 LA형 smog의 분류
6)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장애
7) 수질오염지표
8) 미나미타병, 이타이이타이병
9) 소음 및 진동으로 인한 건강장애
10) 링겔만 비탁표
11)대기오염을 일으키는 기후조건
12)대기오탁 피해 및 방지를 위한 조치
13)굴뚝의 높이와 대기오탁과의 관계
3.산업보건
1)에너지 대사율(R.M.R)
2)산업재해 지표
3)이상고도 조건으로 인한 직업병
4)이상저온조건으로 인한 직업병
5)소음, 진애(먼지)에 의한 장애 ]
(보충설명)
정의
회충:
요충:
십이지장충증:
편충:
무구조충:
선모충;
간흡충:
폐흡충:
아나사키스:
요꼬가와흡충:
아나사키스:
본문내용
HI)
-불쾌지수 해석 ·DI 65이하 : 모든 사람이 쾌적함
·DI 70 : 약 10%의 사람이 불쾌감
·DI 75 : 약 50%의 사람이 불쾌감을 느낌
·DI 80 : 거의 모든사람들이 불쾌감을 느낌
·DI 85 : 견딜수 없는 상태
-불쾌지수 산출식
·DI = (건구온도 ℃ +습구온도 ℃) * 0.72 + 40.6
= (건구온도 ℉ +습구온도 ℉) * 0.4 + 15
4)불감기류
사람이 느낄수 없을 정도의 약한 바람 실내기류,의복기류라고도 함. 0.2~0. 5m/sec
5)수인성 전염병의 특징
물에 인해 발생하는 전염병
①소화기계 전염병이 대부분
②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이질, 콜레라, 유행성 간염 등의 전파체
③오염수
④폭발적으로 발생
⑤성, 연령, 직업, 학력과 무관
⑥치명률이 약하다
⑦2차 환자 발생이 적다
6)물의 자정작용, 공기의 자정작용
-물의 자정작용 : 희석, 침전, 일광소독, 산화작용, 생물의 식균작용
-공기의 자정작용 : 공기 자체의 정화능력
①공기의 희석작용
②강우 강설 등에 의한 세정작용
③산소 오존 및 과산화수소 등에 의한 산화 작용
④자외선에 의한 살균자용
⑤광합성에 의한 CO2와 O2의 교환작용
7)Mills-reincke현상
음료수를 정화처리(여과)하여 급수하는 것에 의하여 장티프스 등의 수계전염병의 발생 률이 감소되고 일반사망률이 현저히 저하되는 현상. 1983년 9월 미국 Massachusetts주 Lawrence시에서 수도물을 여과하여 급수하였더니 그 결과로서 장티프스의 환자와 사 망율이 감소하였고 일반사망율도 현저하게 저하된 것을 Mills Hiram F.가 발견하였다. 같은 해 5월 독일 Hamburg시 수도에 있어서 Elbe강의 물을 여과하여 공급하였을 때 같은 결과를 Reincke J.J가 발견하였다. 이 현상에 대하여 Sedwich W. W씨와 MacNutt J.scott씨가 Mills-Reincke현상이라 명명하였다
8)BOD, MPN, 대장균지수, 용존산소
①BOD(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iochemical oxygen demand))
하수의 오염정도를 표시하는 지표로 호기성 미생물이 일정기간 수중에 유기물을 산화·분해시켜 정화하는데 소비되는 산소량을 PPM으로 나타 낸 것.
-BOD가 높을수록 오염이 심한 물이다.
②MPN(최확수:Most probable number)
검수 100ml당 대장균군의 수
③대장균 지수(Coli index)
대장균군을 검출할 수 있는 최소검수량의 역수
④DO(용존산소량Dissolved oxygen)
물 또는 용액 속에 녹아 있는 분자 상태의 산소량
- DO가 낮을수록 높은 오염도
- 온도가 낮을수록 DO는 증가한다.
9)음료수 소독 및 불연속점 염소처리
-침전이나 여과과정에 의해 세균의 95~99%는 제거 되지만 소독은 필수(병원성 세균제거)
-단일 정수 과정에서 가장 중요
-소독에는 가열법, 자외선 소독법, 오존 소독법, 이온 교환법, 염소처리법 등 사용
①가열법 : 100℃에서 30분간 가열
②자외선법 : 280~320nm파장 이용
③오존소독법 : 강한 산화력, 살균, 냄새, 맛, 색, 망간, 철등 제거
-불연속점 염소처리
순수한 물에 염소주입시 잔류염소는 염소 주입량에 정비례한다. 그러나 암모니아와 같은 오염물질이 함유된 경우 주입량이 증가하더라도 어느 시점에 이르면 잔류염소는 감소되는데 이때 결합 잔류염소가 최소가 되는 점을 불연속점이라한다. 소독 기능 유지를 위해 불연속점 이상으로 염소를 다시 잔류 염소의 농도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를 불연속점 염소처리라 한다.
10)하수의 본처리 2대 방법 (하수 처리의 2대 방법)
본처리란 1차 처리된 물은 고형 유기물이 많이 제거되었으나 아직 많은 유기물을 함유하고 있다 .즉 BOD가 높은 상태인데 2차 처리에서 BOD를 낮추는 것이 목표이다. 본처리의 2대방법으로는 활성오니법과 살수 여과법이 있다. 먼저 활성 오니법은 영국에서 1912년 시작되었으며 호기성 하수 처리방법으로 호기성 균이 풍부한 오니를하수량의 25%를 첨가하여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여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여 호기성균의 활동을 촉진시켜 유기물을 산화시키는 방법이다. 살수 여과법은 큰 돌을 겹쳐서 여과조로 하되, 여기에 사용되는 돌은 2.5~10CM 크기로 하고 돌층의 두께는 1.8~3M로 하는것이 좋다. 여기에 하수를 살포하면 돌에 증식되는 미생물과 더불어 생물막을 형성하게 되고 표면의 미생물은 호기적 활동을 하며 마그이 저부에서는 산소의 공급이 단절되므로 혐기성 미생무르이 증식에 의한 작용이 진행되므로 혐기성 처리라 함.
11) 하수 오염 측정
1.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BOD가 높다는 것은 분해가능한 유기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하수의 오염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
2. 용존산소량(DO)
하수 중의 용존산소량이 오염도를 측정하는 방법
용존산소의 부족은 오염도가 높음 의미.
3. 위생하수의 서한도 ㉮ DO : 5ppm 이상 ㉯ BOD : 20ppm 이하
4. BOD측정
일반적으로 20℃에서 20일이 필요하나, 통상 5일의 기간을 지정
12) 사무실, 교실의 표준조도
학교
lux
사무실
lux
구내통로
3~6
설계 사무실
60~150
옥외 운동장
15~30
고면도 대비소재,사진
300~600
농구장, 테니스코트
30~60
연구실,실험실
150~300
관리실,락커룸,복도,계단,화장실,강당
60~150
설계와 예술품제작
600~1500
일반 교실
150
일반사무실
150
13)의복 기후의 쾌감조건
(1온도 2습도 3기류)
1.온도~ 일상 생활 하는데 가장 적합한 온도는 18+-2도씨로 볼 수 있으나 노동의 강도 계절 주야 인간의 건강사ㅌㅇ태에 따라 다소간 변동이 있을 수 있다
2.습도~ 실내외의 쾌감습도는 40~70% 이며 상대습도가 80*이상으로 높은 값은 비위생적이며 불감기류라 불리우고, 즉 쾌적감을 주는 상대 습도는 온도에 따라 틀려지며 15도는 70%, 18~20도는 60%, 21~23도는 50%, 24도 이상이면 40%가 적합하다
3.기류~쾌적한 기류는 실내에서 0.2M/S 외기중에서는 0.1M/S 기온이체온보다
낮을
-불쾌지수 해석 ·DI 65이하 : 모든 사람이 쾌적함
·DI 70 : 약 10%의 사람이 불쾌감
·DI 75 : 약 50%의 사람이 불쾌감을 느낌
·DI 80 : 거의 모든사람들이 불쾌감을 느낌
·DI 85 : 견딜수 없는 상태
-불쾌지수 산출식
·DI = (건구온도 ℃ +습구온도 ℃) * 0.72 + 40.6
= (건구온도 ℉ +습구온도 ℉) * 0.4 + 15
4)불감기류
사람이 느낄수 없을 정도의 약한 바람 실내기류,의복기류라고도 함. 0.2~0. 5m/sec
5)수인성 전염병의 특징
물에 인해 발생하는 전염병
①소화기계 전염병이 대부분
②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이질, 콜레라, 유행성 간염 등의 전파체
③오염수
④폭발적으로 발생
⑤성, 연령, 직업, 학력과 무관
⑥치명률이 약하다
⑦2차 환자 발생이 적다
6)물의 자정작용, 공기의 자정작용
-물의 자정작용 : 희석, 침전, 일광소독, 산화작용, 생물의 식균작용
-공기의 자정작용 : 공기 자체의 정화능력
①공기의 희석작용
②강우 강설 등에 의한 세정작용
③산소 오존 및 과산화수소 등에 의한 산화 작용
④자외선에 의한 살균자용
⑤광합성에 의한 CO2와 O2의 교환작용
7)Mills-reincke현상
음료수를 정화처리(여과)하여 급수하는 것에 의하여 장티프스 등의 수계전염병의 발생 률이 감소되고 일반사망률이 현저히 저하되는 현상. 1983년 9월 미국 Massachusetts주 Lawrence시에서 수도물을 여과하여 급수하였더니 그 결과로서 장티프스의 환자와 사 망율이 감소하였고 일반사망율도 현저하게 저하된 것을 Mills Hiram F.가 발견하였다. 같은 해 5월 독일 Hamburg시 수도에 있어서 Elbe강의 물을 여과하여 공급하였을 때 같은 결과를 Reincke J.J가 발견하였다. 이 현상에 대하여 Sedwich W. W씨와 MacNutt J.scott씨가 Mills-Reincke현상이라 명명하였다
8)BOD, MPN, 대장균지수, 용존산소
①BOD(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iochemical oxygen demand))
하수의 오염정도를 표시하는 지표로 호기성 미생물이 일정기간 수중에 유기물을 산화·분해시켜 정화하는데 소비되는 산소량을 PPM으로 나타 낸 것.
-BOD가 높을수록 오염이 심한 물이다.
②MPN(최확수:Most probable number)
검수 100ml당 대장균군의 수
③대장균 지수(Coli index)
대장균군을 검출할 수 있는 최소검수량의 역수
④DO(용존산소량Dissolved oxygen)
물 또는 용액 속에 녹아 있는 분자 상태의 산소량
- DO가 낮을수록 높은 오염도
- 온도가 낮을수록 DO는 증가한다.
9)음료수 소독 및 불연속점 염소처리
-침전이나 여과과정에 의해 세균의 95~99%는 제거 되지만 소독은 필수(병원성 세균제거)
-단일 정수 과정에서 가장 중요
-소독에는 가열법, 자외선 소독법, 오존 소독법, 이온 교환법, 염소처리법 등 사용
①가열법 : 100℃에서 30분간 가열
②자외선법 : 280~320nm파장 이용
③오존소독법 : 강한 산화력, 살균, 냄새, 맛, 색, 망간, 철등 제거
-불연속점 염소처리
순수한 물에 염소주입시 잔류염소는 염소 주입량에 정비례한다. 그러나 암모니아와 같은 오염물질이 함유된 경우 주입량이 증가하더라도 어느 시점에 이르면 잔류염소는 감소되는데 이때 결합 잔류염소가 최소가 되는 점을 불연속점이라한다. 소독 기능 유지를 위해 불연속점 이상으로 염소를 다시 잔류 염소의 농도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를 불연속점 염소처리라 한다.
10)하수의 본처리 2대 방법 (하수 처리의 2대 방법)
본처리란 1차 처리된 물은 고형 유기물이 많이 제거되었으나 아직 많은 유기물을 함유하고 있다 .즉 BOD가 높은 상태인데 2차 처리에서 BOD를 낮추는 것이 목표이다. 본처리의 2대방법으로는 활성오니법과 살수 여과법이 있다. 먼저 활성 오니법은 영국에서 1912년 시작되었으며 호기성 하수 처리방법으로 호기성 균이 풍부한 오니를하수량의 25%를 첨가하여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여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여 호기성균의 활동을 촉진시켜 유기물을 산화시키는 방법이다. 살수 여과법은 큰 돌을 겹쳐서 여과조로 하되, 여기에 사용되는 돌은 2.5~10CM 크기로 하고 돌층의 두께는 1.8~3M로 하는것이 좋다. 여기에 하수를 살포하면 돌에 증식되는 미생물과 더불어 생물막을 형성하게 되고 표면의 미생물은 호기적 활동을 하며 마그이 저부에서는 산소의 공급이 단절되므로 혐기성 미생무르이 증식에 의한 작용이 진행되므로 혐기성 처리라 함.
11) 하수 오염 측정
1.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BOD가 높다는 것은 분해가능한 유기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하수의 오염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
2. 용존산소량(DO)
하수 중의 용존산소량이 오염도를 측정하는 방법
용존산소의 부족은 오염도가 높음 의미.
3. 위생하수의 서한도 ㉮ DO : 5ppm 이상 ㉯ BOD : 20ppm 이하
4. BOD측정
일반적으로 20℃에서 20일이 필요하나, 통상 5일의 기간을 지정
12) 사무실, 교실의 표준조도
학교
lux
사무실
lux
구내통로
3~6
설계 사무실
60~150
옥외 운동장
15~30
고면도 대비소재,사진
300~600
농구장, 테니스코트
30~60
연구실,실험실
150~300
관리실,락커룸,복도,계단,화장실,강당
60~150
설계와 예술품제작
600~1500
일반 교실
150
일반사무실
150
13)의복 기후의 쾌감조건
(1온도 2습도 3기류)
1.온도~ 일상 생활 하는데 가장 적합한 온도는 18+-2도씨로 볼 수 있으나 노동의 강도 계절 주야 인간의 건강사ㅌㅇ태에 따라 다소간 변동이 있을 수 있다
2.습도~ 실내외의 쾌감습도는 40~70% 이며 상대습도가 80*이상으로 높은 값은 비위생적이며 불감기류라 불리우고, 즉 쾌적감을 주는 상대 습도는 온도에 따라 틀려지며 15도는 70%, 18~20도는 60%, 21~23도는 50%, 24도 이상이면 40%가 적합하다
3.기류~쾌적한 기류는 실내에서 0.2M/S 외기중에서는 0.1M/S 기온이체온보다
낮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