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플라톤주의의 역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플라톤주의의 역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책머리에
서론
I. 신플라톤주의철학과 그 주요 학파들
1. 신플라톤주의의 특성과 위상
2. 신플라톤주의의 여러 갈래들
1) 신플라톤주의의 초기 학파들: 로마, 시리아, 버가모학파
2) 아테네학파
3) 알렉산드리아학파
II. Proklos의 신플라톤주의 : 배경과 특징
1. 프로클로스의 저작들과 기본 사상
2. 프로클로스의 Trias적 형이상학(I): 일자로부터의 진행
3. 프로클로스의 Trias적 형이상학(II): 일자에로의 회귀
III. 후기 고대에 있어서의 Proklos 사상의 영향사
1. 아테네학파에서의 영향
2. 알렉산드리아학파에서의 영향
3. Pseudo-Dionysios Areopagita에게서의 프로클로스 사상
4. Boethius의 De consolatione philosophiae
IV. 중세에서의 Proklos 사상의 영향사
1. 프로클로스와 Liber de Causis
2. 라틴 중세에서의 프로클로스 저술들과 번역
3. Eriugena에서 Thomas Aquinas까지에서의 프로클로스 사상의 도입
4. 독일 도미닉 수도승들에게서의 프로클로스의 영향
5. Nicolaus Cusanus에게서의 프로클로스적 이념
6. 프로클로스와 중세 비잔틴 사상
V. 르네상스와 근세에서의 Proklos 사상의 영향사
1. Ficino와 피렌체 아카데미
2. 16∼17세기 유럽에서의 다양한 프로클로스 영향들
3. 근세 독일관념론에서의 프로클로스의 사상

결 론

본문내용

파, 멀리는 그 이전의 여러 학파들과 구별되는 독특성을 지니고 있다. 첫째로 이 학파는 아테네학파 등에서 편만했던 열정적이고 종교적인 신비주의나 추상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사변보다 수학이나 정밀과학에 대한 탐구를 선호하였다. 둘째로, 이 학파와 기독교와 가져지는 우호적 관계이다. 말하자면 알렉산드리아학파는 종교적, 교육적으로 비교적 중립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었다.
신플라톤주의의 학파들을 전체적으로 볼 때, 우선 플로티노스와 폴피리오스에 의해 세워지고 이끌어진 로마학파는 형이상학적이고 사변주의적인 경향을 띠면서 신플라톤주의의 기초를 놓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 시기인 아테네 학파와 알렉산드리아학파는 어쩌면 신플라톤주의의 열매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전자의 경우 사변적이면서도 얌블리코스에 이어 주술적이고 종교적 요소가 강하게 흐르고 있는데, 무엇보다 프로클로스라는 신플라톤 주의 최대의 사상가를 배출함으로 그 체계나 영향력의 측면에서 신플라톤주의학파 가운데 가장 주목을 받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II. Proklos의 신플라톤주의: 배경과 특징
1.플로클로스의 저작들과 기본 사상
프로클로스의 삶을 몇 가지 살펴보면 그는 채식주의자였고, 평생 독신으로 살았으며, 동시대 사람들에게 큰 존경을 받았다. 그는 신플라톤주의자들이 추구했던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 관한 광범위한 지식을 물론 플로티노스와 얌블리코스 같은 신플라톤주의적 선임자들의 사상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지고 그것을 종합하여 하나의 완결판에 가까운 신플라톤 주의적 체계를 만들어 냈다. 이러한 그의 저서들에게서 프로클로스가 전개한 것은 플라톤 사상에 있어서 핵심적이면서도 감춰진 의미는 물론 피타고라스 학자들과 오르픽 신화의 비밀스런 교리로부터 이끌어 낸 모든 헬라 신학의 오의들이었다. “신학강요”는 E.R.Dodds의 노력으로 영역되고 주석되어 20세기 학자들에게 비교적 잘 알려졌는데, 도즈에 의하면 이 저서는 신플라톤주의 형이상학을 체계적으로 설명한 정수에 해당한다. “플라톤적 신학”전체적으로 볼 때 주석의 성격을 띤 것이라 할 수 있는데 프로클로스 자신이 보는 존재의 구조와 그 안에서의 지배적인 관계들 및 법칙들에 대한 완벽한 설명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하여튼 그는 본질적으로 종교적인 오르픽 시와 갈대아 신탁의 사상을 철학적으로 설명했다. 따라서 이러한 사상이 프로클로스 체계의 내용적 핵심을 이루고 있는 반면 그것이 전개되는 형식적 틀은 변증법이었다.
2. 프로클로스의 Trias적 형이상학(I): 일자로부터의 진행
프로클로스 사상의 기본적인 관심은 일자와 다자와의 관계에 대한 것이다. 그에 의하면 모든 존재의 원천은 사유와 존재의 피안에 있는 절대적인 일자이다. 다자는 이 일자에게서 나오고 또 궁극적인 일자에게로 향한다. 이런 과정을 그는 세 계기, 즉 자기 안에 머뭄, 자기 밖으로 나감, 자기에게로 돌아감으로 설명하였고, 이런 삼중운동의 원리는 실재계 전체에 적용된다고 보았다. 그는 다른 신플라톤주의자들과 함께 이 모든 발전과정의 원초적 원리요, 궁극적 실체를 일자로 본다. 이러한 초월성에 대한 강조로 프로클로스는 일자 자체는 엄격히 말하여 ‘일자의 피안’에 있다고 한다. 그것은 존재가 아니라 존재와 있음의 피안에 있다. 존재가 ‘있음의 원리’인 데 비해서 생명은 ‘삶의 원리’이다. 생명은 운동의 원천이므로 모든 살아 있는 것들은 이 근원적인 생명 때문에 자기 운동을 지닌다. 각 영혼은 황폐화되거나 쇠진되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영혼은 자기안에 머물고 자기에게로 돌아간다.
3. 프로클로스의 Trias적 형이상학(II): 일자에로의 회귀
진행이 자기에게서 타자에로 향하는 것이므로 그것의 움직임이 외향이라면, 회귀는 타자에게서 자기 자신에게로 향하는 것이므로 그것은 내향의 방향을 취한다. 이러한 영혼의 방향성에는 인식론적인 함의가 있다. 즉 외향적 지향에는 감각적 지각과 표상이 있고, 내향의 회귀에서는 그 자신과 지성계에 대한 인식을 얻을 수 있다. 결국 이런 원환운동에서, 특히 회귀과정에서 영혼은 온전한 지식을 갖게 된다. 일자에로 향하는 이러한 순례의 여정에서 프로클로스는 윤리적인 덕목들과 학문, 그리고 신비술을 다룬다 .덕의 Trias로는 사랑, 진리, 신앙이 제시 된다. 그리고 그것에 종종 제4의 덕목으로 소망이 덧붙여지기도 한다. 따라서 인간영혼은 외부의 힘을 필요로 하는데, 그것은 곧 신들의 도움과 조명이다. 영혼이 신적인 도움을 빌리는 종교적인 태도는 신앙이다.
III.후기 고대에 있어서의 Proklos사상의 영향사
1.아테네학파에서의 영향
후기 고대에 있어 헬라사상사 내지 세속사상사에서의 프로클로스의 위치는 기독교사상사에서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위상과 흡사하다. 물론 이 양자의 활동시기는 반세기 이상의 차이가 나므로 상호간에 사상적인 교류 내지 직접적인 대립은 없었다. 이 양자의 공통점은 각각의 영역에서 그 이전에 내려오던 사상들을 비판적으로 지양했든지, 아니면 긍정적으로 수용함으로 전면적으로 정리했다는 점이다. 프로클로스의 죽음이후 아테네학파는 아카데미의 차기 수장이 된 Marinos에 의해 이끌려졌다. 마리노스는 전체적으로 볼 때 주술을 중심으로 한 종교성이 강한 프로클로스의 노선을 좇기보다는 수학적이고 과학적인 분야의 연구를 강화시켰다. 갈대아 신탁이나 오르픽신화보다 프톨레마이오스의 천문학과 에우클레이데스의 요소들 등에 더 많은 관심을 보였다. 그리고 프로클로스처럼 모든 덕의 최고봉에는 주술적 덕들이 있다고 보았고 당대의 미신적 실습을 따랐다. 플로탄 아카데미의 마지막 학장이요, 아테네에서의 마지막 신플라톤주의자였던 다마스키오스는 알렉산드리아에서 이시도로스와 암몬니우스에게 배우고 후에 아테네로 와서 마리노스와 제노도토스에게서 수강하였다. 그리고 다시 알렉산드리아로 가서 체류하는 중 아테네의 아카데미 학장으로 초청을 받았다. 따라서 그는 프로클로스 이후 사양길에 접어든 플라톤주의 내지 신플라톤주의 사상을 사수하는 마지막 학자로서 알렉산드리아와 아테네를 오가는 등 그야말로 동분서주하는 맹활약을 하였다. 다마스키오스는 프로클로스가 강조했던 신적 초월성과 그 초월에로의 영혼의 지향 사상을 포기하지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5.10
  • 저작시기200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87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