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선비들의 하루 생활모습
3.본론
1)황희
2)맹사성
3)퇴계 이황
4)정약용
4.선비들의 일화가 문화컨테츠로서의 장점과 단점
2.선비들의 하루 생활모습
3.본론
1)황희
2)맹사성
3)퇴계 이황
4)정약용
4.선비들의 일화가 문화컨테츠로서의 장점과 단점
본문내용
자랄 때까지 참고 기다려라. 그 때 가서 데리고 가도록 하마.\"
하고 손자를 타일렀다.
그 후 겨울과 봄은 어렵게 넘겼지만 창양은 증조부를 보지도 못한 채 1570년 5월 23일 죽고 말았다. 퇴계는 그 아픔을 가족들에게는 전혀 내색하지 않았으나, 여러 문인들에게 아픈 심정을 여러 번 토로하였다.
퇴계의 인간 평등사상은 당신의 증손자를 잃으면서까지 하인의 딸을 살렸고, 어미가 자식을 키우는 사랑과 천륜은 사람의 귀천에 차별이 없음을 행동으로 가르쳐 주었다.
4)정약용
-정약용은 조선후기의 실학자로써 수원화성 걸립에 쓰인 거중기, 목민심서등의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정약용은 1794년 10월 홍문관 수찬으로 근무하던 다산은 정조의 부름을 받고 대전으로 들어갔다. 경기도 마전을 비롯한 부근 백성들이 관찰사의 비행으로 원성이 높자 다산을 암행어사로 임명하여 조사하는 임무를 맡긴 것이다. 그 당시 경기도 관찰사 서용보의 문객 중에 마전현감으로 벼슬을 하는 이가 있었는데 서용보에게 아첨하며 온갖 비리를 저지르고 있었던 것이다.
다산은 여러 지방을 두루 살피고 돌아오는 길목에서 어려움에 빠진 백성들을 아랑곳하지 않는 관리들의 죄악을 한탄하며 \'굶주린 백성들\'이라는 시를
하고 손자를 타일렀다.
그 후 겨울과 봄은 어렵게 넘겼지만 창양은 증조부를 보지도 못한 채 1570년 5월 23일 죽고 말았다. 퇴계는 그 아픔을 가족들에게는 전혀 내색하지 않았으나, 여러 문인들에게 아픈 심정을 여러 번 토로하였다.
퇴계의 인간 평등사상은 당신의 증손자를 잃으면서까지 하인의 딸을 살렸고, 어미가 자식을 키우는 사랑과 천륜은 사람의 귀천에 차별이 없음을 행동으로 가르쳐 주었다.
4)정약용
-정약용은 조선후기의 실학자로써 수원화성 걸립에 쓰인 거중기, 목민심서등의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정약용은 1794년 10월 홍문관 수찬으로 근무하던 다산은 정조의 부름을 받고 대전으로 들어갔다. 경기도 마전을 비롯한 부근 백성들이 관찰사의 비행으로 원성이 높자 다산을 암행어사로 임명하여 조사하는 임무를 맡긴 것이다. 그 당시 경기도 관찰사 서용보의 문객 중에 마전현감으로 벼슬을 하는 이가 있었는데 서용보에게 아첨하며 온갖 비리를 저지르고 있었던 것이다.
다산은 여러 지방을 두루 살피고 돌아오는 길목에서 어려움에 빠진 백성들을 아랑곳하지 않는 관리들의 죄악을 한탄하며 \'굶주린 백성들\'이라는 시를
추천자료
북한의 고전문학사 - 조선시대
[한국복식문화]『조선시대 기생의 패션』에 대하여
[역사] [근현대사]조선시대 서원의 성립과 교육적 기능
[교육사상가]조선시대 교육사상가 이황(성리학), 조선시대 교육사상가 이이(성리학), 조선시...
정부와 시민참여 - 영화 '이장과군수'와 비교한 조선시대 부패와 감찰제
조선시대 시조 어부사시사, 어부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강호가도, 훈민가 작품분석, 조...
문학 속에서 찾아보는 조선시대 신분제
[한국문학연구] <노처녀가Ⅰ>에 나타난 조선시대 여성의식
[한국사] 조선시대 4대 사화에 대하여 (무오사화, 갑자사화, 기묘사화, 을사사화)
[건축역사] 조선시대 집 - 조선시대 집의 특징, 지형에 따른 집의 구조, 계층별 집의 특징과 ...
[조선시대정책결정(政策決定)] 조선시대의 정책결정과정 - 조선시대의 정책결정기구, 투입과...
전통문화의 성 [조선시대 춘화 형성배경]
조선후기 산문문학 -소설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국문소설, 조선시대 군담소설, 조선시대 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