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인지 부조화 이론
2. 상호성의 법칙
3. 사회적 증거의 법칙
4. 호감의 법칙
5. 권위의 법칙
Ⅲ. 결론
Ⅱ. 본론
1. 인지 부조화 이론
2. 상호성의 법칙
3. 사회적 증거의 법칙
4. 호감의 법칙
5. 권위의 법칙
Ⅲ. 결론
본문내용
이라고 그들은 주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코헨과 데이비스에 의해 제시된 사례를 보면 귀에 염증을 앓고 있는 환자의 주치의가 환자의 오른쪽 귀에 투약할 것을 지시하였다.
그러나 투약을 위한 처방전에 'Place in right ear(오른쪽 귀에 투약하시오)’라고 쓰는 대신 의사는 약식으로 ‘Place in R ear'라고 적었다. 의사의 처방전을 받아든 당직 간호사는 의사의 처방전을 ‘Place in rear(뒤에, 즉 항문에 투약하시오)’라고 오해하여 귀에 넣어야 할 약을 환자의 항문에 집어 넣고 말았다.
귀에 염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위하여 항문에 투약하는 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가 가지 않는 일이지만 환자나 간호사 어느 누구도 이 처방전에 이의를 달지 않았던 것이다.
Ⅲ. 결론
우리는 늘 누군가에게 설득당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그것이 스스로 선택한 것이든 그렇지 않든 일단 설득당했다는 것은 선택했다는 것과 같은 것이다. 이 장에서는 대인 관계에 있어서 설득이 가지는 위력과, 몇몇 법칙과 이론을 바탕으로 설득의 성공 및 실패 사례에 대해 알아보았다. 모든 것들이 일상생활에서 다 들어맞는다고는 할 수 없지만 많은 실험과 연구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충분한 효용을 가질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김영석, 설득커뮤니케이션, 서울 : 나남출판, 2005.
안광호 외, 마케팅 원론, 서울 : 학현사, 2002.
로렌 슐레이터, 조중열 역,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서울 : 에코의 서재, 2005.
로버트 치알디니, 이현우 역, 설득의 심리학, 파주 : 21세기북스, 2002.
예를 들어, 코헨과 데이비스에 의해 제시된 사례를 보면 귀에 염증을 앓고 있는 환자의 주치의가 환자의 오른쪽 귀에 투약할 것을 지시하였다.
그러나 투약을 위한 처방전에 'Place in right ear(오른쪽 귀에 투약하시오)’라고 쓰는 대신 의사는 약식으로 ‘Place in R ear'라고 적었다. 의사의 처방전을 받아든 당직 간호사는 의사의 처방전을 ‘Place in rear(뒤에, 즉 항문에 투약하시오)’라고 오해하여 귀에 넣어야 할 약을 환자의 항문에 집어 넣고 말았다.
귀에 염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위하여 항문에 투약하는 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가 가지 않는 일이지만 환자나 간호사 어느 누구도 이 처방전에 이의를 달지 않았던 것이다.
Ⅲ. 결론
우리는 늘 누군가에게 설득당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그것이 스스로 선택한 것이든 그렇지 않든 일단 설득당했다는 것은 선택했다는 것과 같은 것이다. 이 장에서는 대인 관계에 있어서 설득이 가지는 위력과, 몇몇 법칙과 이론을 바탕으로 설득의 성공 및 실패 사례에 대해 알아보았다. 모든 것들이 일상생활에서 다 들어맞는다고는 할 수 없지만 많은 실험과 연구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충분한 효용을 가질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김영석, 설득커뮤니케이션, 서울 : 나남출판, 2005.
안광호 외, 마케팅 원론, 서울 : 학현사, 2002.
로렌 슐레이터, 조중열 역,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서울 : 에코의 서재, 2005.
로버트 치알디니, 이현우 역, 설득의 심리학, 파주 : 21세기북스, 200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