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를 읽고나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마>를 읽고나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장마>의 소재 및 창작 동기

3. 강요된 이데올로기와 동질성의 파탄

4. 이데올로기를 극복한 공통의 전통적인 삶

5. 특유의 창작기법과 미적 승화

6. 결 론

본문내용

다. 소년의 외삼촌의 전사가 알려지는 과정에서 바로 그러한 기교를 접할 수 있다.
『서너 집 건너에서 개가 짖기 시작했다. 잠자코 있던 우리 집
워리란 놈도 그 미련한 주둥이를 벌려 처음으로 웅얼거리는
소리를 했다. 사납게 짖어대는 소리가 마을 초입에서부터 우리
가 사는 가운뎃말을 향하여 점점 다가오고 있었다.
주룩주룩 쏟아지는 비가 온 세상을 물걸레처럼 질펀히 적시고
있었다. 난리를 겪고도 용케 살아남은 동네 개들이 일제히 들
고 일어나 극성맞은 그 포효로 마을을 휩싼 어둠의 장막을 갈
기갈기 찢어 발기고 있었다. 곳곳에서 사납게 짖어대는 개들의
소리로 군용 방수포를 둘러쓴 사람들이 마을 어디쯤을 가고 있
는가를 가만히 앉아서도 빤히 어림할 수 있었다. 그들이 들어올
때와는 정반대로 개짖는 소리가 마을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하
여 점점 멀어지고 작아지고 차츰 뜸해지더니 이윽고는 아주 잠
잠해져 버렸다.』
외삼촌의 죽음의 통지는 무속의 세계에서 저승과 이승을 연결하는 매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진 한국문화상징사전편집위원회.op. cit, p.27
개가 짖는 소리에서 다가온다.
마치 음악에서「점점 크게」(<)에서 시작해 「점점 작게」(>)로 끝나는 악보의 연주를 떠올리게 하는 데가 있다. 여기서 이승과 저승의 어둡고 먼 거리를 느끼게 된다. 위의 장 면은 이 소설에 무속적 분위기를 한층 더 고조시켜주고 있다 하겠다.
6. 결 론
<장마>는 외래로부터 들어온 두개의 적대적 이데올로기에 의해 해체된 민족공동체의 화해와 동질성 회복의 당위성과 필연성을 주장하는 한 편의 이데올로기 소설이다.
작가는 이 소설에서 뛰어난 창작 테크닉을 구사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특히 돋보이는 것은 상징적인 표현이다. 작가는 구체적인 사물로 연상과 암시에 의해 거기에 여러 가지 관념ㆍ정서ㆍ특별한 의미를 응축시키고 있다. 비와 번개에 시달리는 산은 전란에 할퀴고 있는 한민족의 조국, 등을 돌린 친족은 이데올로기로 갈라선 한민족, 외할머니가 수시로 주무르는 소년의 음낭은 한민족의 불멸의 생명력과 조응관계를 이루고 있는 것 등이 그러하다. 이 상징적 처리는 이 소설로 하여금 흔히 이데올로기 소설이 빠지기 쉬운 이념적 경직성과 관념적 유희라는 함정에 빠져들지 않게 하고 이 소설의 예술성을 한층 높여 주었다.
대단원에 이르러서 적대적 대립 관계인 이데올로기는 기나긴 장마로 인하여 모두 씻겨가고 한민족의 동질성이 회복되길 염원한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5.17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99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