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어사 답사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범어사 답사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범어사 답사
1. 범어사 창건설화
2. 범어사 가람 배치

III.나가는 말

※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지주는 장방형의 돌을 거칠게 다듬어 아무런 장식도 하지 않은 채 소박하게 만들어 지주 윗부분에 당간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을 뚫었을 뿐이다. 현재 부산광역시 유형 문화재 제 15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고려 말 또는 조선 초에 만들어 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다음은 일주문(一住門)이 있었다. 일주문은 석주로서 지붕을 받치게 한 문이었다. 다른 문들은 나무로 세워진 것이 대부분이었는데 이 일주문은 독특하였다. 일주문은 그 이름에서와 같이 기둥 넷이 한 줄로 서서 지붕을 받치고 선 세칸 건물이다. 여느 사찰에서도 쉽게 볼 수 있겠지만 범어사 일주문은 석주로서 지붕을 받치게 하는 독특한 구조로 유명하다. 일주문은 \'기둥 네 개가 한 줄로 늘어선 3간의 구조(一柱三間)\'를 원칙으로 하고 있는데, 이것이 뜻하는 바는『법화경』의 회삼귀일사상(會三歸一思想)과 연관된다. 즉 중생의 바탕과 능력에 따라 성문(聲聞), 연각(緣覺), 보살(菩薩)로 나누어진 불교의 여러 교법을 오직 성불을 지향하는 일불승(一佛乘)의 길로 향하게끔 한다는 사상적 의미가 담겨 있다.
일주문 오른쪽으로 벚꽃이 흐드러지게 피어진 길이 있었다. 마치 학교에 있는 키스로드처럼 생겼었다. 그 길을 따라 10M쯤 가다보니 7층 석탑이 있었다. 석탑에 때가 묻지 않은 걸로 보아 근래에 세워진 것임을 쉽게 알 수 있었다. 일주문 근처에 위치한 이 탑은 인도스님이 가져온 불사리(佛舍利)를 봉안 하였다고 한다. 탑은 신라탑 형식을 모방하였다고 한다. 이 탑의 특징은 네 모서리에 호법을 의미하는 석인상(石人像)을 세워놓은 것이다.
일주문 지나서 길을 따라 올라가다 보면 천왕문이 보인다. 그 안에는 사천왕이 모셔져 있다. 천왕문은 삼문 가운데 두 번째 문으로서 13단의 높은 석계를 오르는 축대상에 4구의 사천왕상(四天王像)을 모신 건물이다. 본래 사천왕은 지상의 가장 가까운 하늘에 있으면서 동서남북 사방을 담당하여 인간으로 하여금 선을 장려하고 악을 막는 기능을 가진 불법(佛法) 수호신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 점에서 천왕문은 범어사 성역에 이르기 위해서 속진(俗塵)을 걸러 내는 중요한 통과 의례 체가름 장치에 해당된다.
천왕문을 지나 대나무 숲을 지나면 하단 건물의 마지막 문인 불이문(不二門)에 다다르게 된다. 말 그대로 본래 진리란 둘이 아니고 하나란 뜻인만큼 이 문에는 많은 뜻이 담겨있다. 이 문을 통과함으로써 비로소 범어사가 눈에 펼쳐진게 된다.
먼저 큰 보제루(普濟樓) 뒷 모습이 눈에 보였다. 널리 중생을 제도한다는 \'보제\'라는 뜻에 부합되게예불과 법요식이 거행된다고 한다. 그런만큼 보제루는 웅장했다. 사찰 안에서 가장 규모가 가장컸다. 대웅전보다 훨씬 컸다. 불이문에서 30여단의 높은 석계를 올라 도달하는 중단구역의 첫째 건물이었다. 중정에서의 내밀함을 더해주는 것은 첫째로 상하단과 적절한 공간적 분절이고, 둘째로 보제루의 좌우로 우회진입이라고 한다.「사적기』에서는 숙종 15년 (1699)에 창건되었다고 한다. 지금의 건물은 1813년과 1827년에 중건한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의 수리로 예전과 비교하여 고졸한 분위기가 크게 줄어들었지만 누각 건물의 전형적인 모습은 보존되고 있다. 보제루라는 현판 밑에 금강계단이라고 현판이 씌여져 있었다. 이곳에서 수계를 받는 것 같았다. 건물 안에 사람들이 보이길래 무슨일을 하는지 슬그머니 쳐다보았다. 국화꽃이 많이 보였으며, 향 냄새가 많이났다. 분위기가 굉장히 무겁고 엄숙했다. 내가 보기에는 49제를 지내는 것 같았다.
그 다음 보제루 오른쪽에 종루(鐘樓)가 보였다. 종루(鐘樓)는 본래 심검당 오른쪽 전방 3층석탑 맞은 편에 있었다. 일제 초기에 지금의 자리에 그대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5.17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99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