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말
2. 보르헤스의 바로크 문학관
3. 바로크적 세계관: 꿈과 연극
4. 바로크적 글쓰기: 패러디
5. 맺는 말
6. 참고문헌
2. 보르헤스의 바로크 문학관
3. 바로크적 세계관: 꿈과 연극
4. 바로크적 글쓰기: 패러디
5. 맺는 말
6. 참고문헌
본문내용
르베르디와 비센떼 우이도브로의 창조주의, 아뽈리네르, 다다이즘, 마리네티의 미래주의, 독일 표현주의 등 당대의 아방가르드 시학들이 모인 모자이크적 성격을 지닌 것이었다. Guillermo Sucre: Borges el poeta, (Caracas: Monte Avila, 1967), p.28.
아르헨티나로 귀국한 뒤 발표한 <울뜨라이스모 선언 Proclama ultraista>(1921)을 통해 본 보르헤스의 울뜨라이스모 시관은 시어로서 메타포의 최우선적 중시, 과잉적으로 분출되는 형용사 지양, 장식적이고 고백적이며 설교적인 문체 지양, 그리고 마지막으로 두 개 이상의 이미지를 하나로 종합하여 언어의 암시력을 극대화하는 것 등 4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 Roberto Gonzalez Echevarria(ed.): The Cambridge History of Latin American Literature II,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p.122.
이는 전반적으로 루벤 다리오와 공고라 풍의 유희적 언어를 지양하고 언어의 표현력과 독자의 상상력의 극대화를 꾀하기 위한 것이었다.
본격적인 작가의 길을 걷기 시작한 아방가르드 작가 보르헤스에게 가장 이상적인 문체의 스승은 바로 스페인 바로크 작가들이었다. 문학의 근본적인 요소로서 메타포를 가장 중시한 보르헤스에게 스페인 바로크 작가들로서 메타포의 대가인 께베도, 사아베드라 파하르도(Saavedra Fajardo), 또레스 비야로엘(Torres Villarroel) 뿐만 아니라 공고라까지도 모방의 대상이 되었다. 특히 탐구는, 작가 자신도 언명하듯이, 께베도와 또레스 비야로엘의 절대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서 한 줄, 한 줄에서 선배 작가들에 대한 “탐구”를 통해 새로운 언어를 만들어내려는 노력을 엿볼 수 있다. Pedro Henriquez Urena: “Sobre Inquisiciones”, en Jaime Alazraqui(ed.), Jorge Luis Borges, (Madrid: Taurus, 1984), p.29.
특히 께베도는 이 시기의 보르헤스에게 “울뜨라이스모의 선구자”라고 간주되고 있다. 보르헤스는 1921년 6월, 수레다(Sureda)에게 보낸 편지에서 께베도야말로 위대한 울뜨라이스모 시인이라고 말하고 있다. Marcos-Ricardo Barnatan: Borges, Biografia total, (Madrid, Temas de hoy, 1995), p.207.
보르헤스가 바로크 시인들에게 배운 것은 비단 메타포뿐만이 아니었다. 옥따비오 빠스의 표현대로 바로크는 한 마디로 “놀라움의 미학”이라고 정의되며 이를 위하여 메타포를 비롯하여 도치, 우설법(perifrasis), 수음중첩법(數音重疊法, paronomasia), 대구법, 신조어 등을 구사하는데 이 모든 요소들이 초기 보르헤스의 산문에 등장하고 있다. Jaime Alazraqui: La prosa narrativa de Jorge Luis Borges, (Madrid: Gredos, 1974), p.435.
그러나 울뜨라이스모 시절 보르헤스가 추종한 바로크 문체는 시대 정신이 농축된 필연적 산물이 아니라 젊은 작가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습작을 위한 대상일 뿐이었다. 그 자신도 이 당시의 바로크 문체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단어들을 많이 알고 있으며 그것을 놀라운 방식으로 조합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한 일종의 지적 허영에서 나온 것임을 고백한다. Jaime Alazraqui, p.437.
보르헤스의 천성적인 지적 갈망과 관념성은 진리보다는 미적 유희와 모험에 경사되어 있는 아방가르드 문학과 병치될 수 없는 것이었다. 그가 보기에 문학은 기법과 기교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었던 것이다. 보르헤스는 곧 울뜨라이스모와 결별하며 이는 곧 그의 글쓰기 역사에서 바로크 문체와의 결별로도 이해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그는 20대에 울뜨라이스모 경향으로 쓰여진 탐구, 내 희망의 부피 그리고 아르헨티나인들의 언어를 거부하고 자신의 작품 목록에서도 삭제한다. 이 3작품은 실제로 몇 차례에 걸친 보르헤스 전집 Obras Completas에 포함되지 못하며 오늘날 그 원본조차도 찾을 길이 없다.
그렇다면 이러한 보르헤스의 갑작스런 방향전환은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가? 후에 작가는 리타 기버트와의 대담(1968년)을 통해 그것이 아르헨티나 국민의식의 자각에서 비롯된 것이었다고 밝히고 있다:
내가 작가생활을 시작했을 때 나는 스페인의 17세기 고전작가들, 즉 께베도나 사아베드라 파하르도의 방식으로 쓰려고 노력했지요. 그러나 곧 생각이 들기를, 아르헨티나 사람으로서의 내 임무는 아르헨티나 사람처럼 써야 한다는 것이었어요. 나는 아르헨티나어(argentinismo) 사전을 샀고 글쓰기 방식이나 어휘적인 면에서, 비록 이해가 안되기도 하고 내 자신도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 것인지 모르는 채, 진짜 아르헨티나 사람이 되기에 이르렀죠. 단어들은 내 경험과는 무관하게 사전에서 곧 바로 원고지로 옮겨졌어요. Rita Guibert: Siete Voces, (Mexico: Novaro, 1972), p.118.
결국 보르헤스의 바로크 시기는 1930년을 전후해서 끝나고 이 때부터 그 자신이 고전주의라고 부르는 단계로 진입하게 된다. 이후 작가는 단지 “허상일 뿐인 이 세계의 비현실성”에 대한 탐구를 시작하며 환상문학의 문을 연다. 그러나 과연 자신의 말대로 그의 문학세계에서 바로크적 단계는 끝난 것일까? 이후 나타나는 그의 작품들에서 우리는 바로크적 요소를 발견할 수 없는 것인가?
바로크 문학에 대한 보르헤스의 관점을 분석해 볼 때 먼저 지적할 수 있는 것은 바로크 문학에 대한 그의 이해가 매우 단편적이고 한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는 후에 그의 문학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도 적지 않은 장애물이 되고 있다. 즉 문예사조사의 흐름 내에서 바로크라는 요소를 무시해 버릴 때 우리는 보르헤스 뿐만 아니라 현대문학의 많은 부분을 설명할 수 없는 난관에 봉착하고 만다. 이는, 중남미의 모든 것은 콜럼버스가 도착하기 이전부터 이미 바로크적이었다는 알레호 까르
아르헨티나로 귀국한 뒤 발표한 <울뜨라이스모 선언 Proclama ultraista>(1921)을 통해 본 보르헤스의 울뜨라이스모 시관은 시어로서 메타포의 최우선적 중시, 과잉적으로 분출되는 형용사 지양, 장식적이고 고백적이며 설교적인 문체 지양, 그리고 마지막으로 두 개 이상의 이미지를 하나로 종합하여 언어의 암시력을 극대화하는 것 등 4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 Roberto Gonzalez Echevarria(ed.): The Cambridge History of Latin American Literature II,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p.122.
이는 전반적으로 루벤 다리오와 공고라 풍의 유희적 언어를 지양하고 언어의 표현력과 독자의 상상력의 극대화를 꾀하기 위한 것이었다.
본격적인 작가의 길을 걷기 시작한 아방가르드 작가 보르헤스에게 가장 이상적인 문체의 스승은 바로 스페인 바로크 작가들이었다. 문학의 근본적인 요소로서 메타포를 가장 중시한 보르헤스에게 스페인 바로크 작가들로서 메타포의 대가인 께베도, 사아베드라 파하르도(Saavedra Fajardo), 또레스 비야로엘(Torres Villarroel) 뿐만 아니라 공고라까지도 모방의 대상이 되었다. 특히 탐구는, 작가 자신도 언명하듯이, 께베도와 또레스 비야로엘의 절대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서 한 줄, 한 줄에서 선배 작가들에 대한 “탐구”를 통해 새로운 언어를 만들어내려는 노력을 엿볼 수 있다. Pedro Henriquez Urena: “Sobre Inquisiciones”, en Jaime Alazraqui(ed.), Jorge Luis Borges, (Madrid: Taurus, 1984), p.29.
특히 께베도는 이 시기의 보르헤스에게 “울뜨라이스모의 선구자”라고 간주되고 있다. 보르헤스는 1921년 6월, 수레다(Sureda)에게 보낸 편지에서 께베도야말로 위대한 울뜨라이스모 시인이라고 말하고 있다. Marcos-Ricardo Barnatan: Borges, Biografia total, (Madrid, Temas de hoy, 1995), p.207.
보르헤스가 바로크 시인들에게 배운 것은 비단 메타포뿐만이 아니었다. 옥따비오 빠스의 표현대로 바로크는 한 마디로 “놀라움의 미학”이라고 정의되며 이를 위하여 메타포를 비롯하여 도치, 우설법(perifrasis), 수음중첩법(數音重疊法, paronomasia), 대구법, 신조어 등을 구사하는데 이 모든 요소들이 초기 보르헤스의 산문에 등장하고 있다. Jaime Alazraqui: La prosa narrativa de Jorge Luis Borges, (Madrid: Gredos, 1974), p.435.
그러나 울뜨라이스모 시절 보르헤스가 추종한 바로크 문체는 시대 정신이 농축된 필연적 산물이 아니라 젊은 작가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습작을 위한 대상일 뿐이었다. 그 자신도 이 당시의 바로크 문체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단어들을 많이 알고 있으며 그것을 놀라운 방식으로 조합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한 일종의 지적 허영에서 나온 것임을 고백한다. Jaime Alazraqui, p.437.
보르헤스의 천성적인 지적 갈망과 관념성은 진리보다는 미적 유희와 모험에 경사되어 있는 아방가르드 문학과 병치될 수 없는 것이었다. 그가 보기에 문학은 기법과 기교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었던 것이다. 보르헤스는 곧 울뜨라이스모와 결별하며 이는 곧 그의 글쓰기 역사에서 바로크 문체와의 결별로도 이해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그는 20대에 울뜨라이스모 경향으로 쓰여진 탐구, 내 희망의 부피 그리고 아르헨티나인들의 언어를 거부하고 자신의 작품 목록에서도 삭제한다. 이 3작품은 실제로 몇 차례에 걸친 보르헤스 전집 Obras Completas에 포함되지 못하며 오늘날 그 원본조차도 찾을 길이 없다.
그렇다면 이러한 보르헤스의 갑작스런 방향전환은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가? 후에 작가는 리타 기버트와의 대담(1968년)을 통해 그것이 아르헨티나 국민의식의 자각에서 비롯된 것이었다고 밝히고 있다:
내가 작가생활을 시작했을 때 나는 스페인의 17세기 고전작가들, 즉 께베도나 사아베드라 파하르도의 방식으로 쓰려고 노력했지요. 그러나 곧 생각이 들기를, 아르헨티나 사람으로서의 내 임무는 아르헨티나 사람처럼 써야 한다는 것이었어요. 나는 아르헨티나어(argentinismo) 사전을 샀고 글쓰기 방식이나 어휘적인 면에서, 비록 이해가 안되기도 하고 내 자신도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 것인지 모르는 채, 진짜 아르헨티나 사람이 되기에 이르렀죠. 단어들은 내 경험과는 무관하게 사전에서 곧 바로 원고지로 옮겨졌어요. Rita Guibert: Siete Voces, (Mexico: Novaro, 1972), p.118.
결국 보르헤스의 바로크 시기는 1930년을 전후해서 끝나고 이 때부터 그 자신이 고전주의라고 부르는 단계로 진입하게 된다. 이후 작가는 단지 “허상일 뿐인 이 세계의 비현실성”에 대한 탐구를 시작하며 환상문학의 문을 연다. 그러나 과연 자신의 말대로 그의 문학세계에서 바로크적 단계는 끝난 것일까? 이후 나타나는 그의 작품들에서 우리는 바로크적 요소를 발견할 수 없는 것인가?
바로크 문학에 대한 보르헤스의 관점을 분석해 볼 때 먼저 지적할 수 있는 것은 바로크 문학에 대한 그의 이해가 매우 단편적이고 한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는 후에 그의 문학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도 적지 않은 장애물이 되고 있다. 즉 문예사조사의 흐름 내에서 바로크라는 요소를 무시해 버릴 때 우리는 보르헤스 뿐만 아니라 현대문학의 많은 부분을 설명할 수 없는 난관에 봉착하고 만다. 이는, 중남미의 모든 것은 콜럼버스가 도착하기 이전부터 이미 바로크적이었다는 알레호 까르
추천자료
Shakespeare의 시대배경과 작품
<실존주의 소설>알베르 까뮈의 이방인
세르반테스의 '돈 키호테'를 읽고
체게바라의 생애와 리더십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서평
피카소의 삶과 작품
내 슬픈 창녀들의 추억
[셰익스피어]셰익스피어 분석 및 평가 고찰(셰익스피어 생애, 셰익스피어의 특징, 셰익스피어...
[셰익스피어 햄릿 독후감][셰익스피어 햄릿 독서감상문][셰익스피어 햄릿 서평][셰익스피어 ...
[벨기에][벨기에문화][벨기에의 문화]벨기에의 유명 인물, 벨기에의 자연 환경, 벨기에의 최...
프로이드와 에릭슨의 성격이론에 관한 비교
현대영미시인과 작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