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에 의한 사용을 전제로 하므로 무죄설도 부당하다고 생각된다. 타인의 신용카드에 의한 현금서비스는 현금지급기관리자의 의사에 반하여 현금자동지급기 내의 현금에 대한 점유를 취득한 것이므로 절도죄를 구성한다는 견해가 가장 타당하다고 보는 바이다.
2) 신용카드부정사용죄의 성부 : 타인의 신용카드로 현금서비스를 받는 것도 신용기능이라는 신용카드 본래의 용법에 따른 사용에 해당하므로 그 신용카드가 위조*변조*도난*분실된 것이라면 여신전문금융법상의 신용카드부정사용죄도 성립한다. 통설과 판례도 동일한 입장이다.
3) 죄수문제
ⅰ. 수회 현금서비스를 받은 경우 : 신용카드부정사용죄는 신용카드에 의한 거래의 안전 및 이에 대한 공중의 신뢰라는 사회적 법익을 보호하기 위한 범죄이므로 범의의 단일성이 인정될 경우에는 포괄일죄가 된다고 보는 바이다.
ⅱ. 재산죄와 신용카드부정사용죄의 관계 : 실체적 경합설과 상상적 경합설이 대립한다. 판례는 실체적 경합설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타인의 신용카드를 기계에 투입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성립하는 부정사용행위와 그 결과로 인출된 현금을 가져가는 행위는 전체로서 하나의 행위로 평가하여야 하므로 상상적 경합설이 타당하다고 보는 바이다.
2) 신용카드부정사용죄의 성부 : 타인의 신용카드로 현금서비스를 받는 것도 신용기능이라는 신용카드 본래의 용법에 따른 사용에 해당하므로 그 신용카드가 위조*변조*도난*분실된 것이라면 여신전문금융법상의 신용카드부정사용죄도 성립한다. 통설과 판례도 동일한 입장이다.
3) 죄수문제
ⅰ. 수회 현금서비스를 받은 경우 : 신용카드부정사용죄는 신용카드에 의한 거래의 안전 및 이에 대한 공중의 신뢰라는 사회적 법익을 보호하기 위한 범죄이므로 범의의 단일성이 인정될 경우에는 포괄일죄가 된다고 보는 바이다.
ⅱ. 재산죄와 신용카드부정사용죄의 관계 : 실체적 경합설과 상상적 경합설이 대립한다. 판례는 실체적 경합설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타인의 신용카드를 기계에 투입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성립하는 부정사용행위와 그 결과로 인출된 현금을 가져가는 행위는 전체로서 하나의 행위로 평가하여야 하므로 상상적 경합설이 타당하다고 보는 바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 신용카드 시장의 현상과 선진화 과제
[소비문화]신용카드와 소비자
신용카드시장 규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신용카드의 이해
미국과 국내 신용카드 산업 실태
신용카드의 기능 (순기능과 역기능 & 사례)
신용카드의 문제점
효과적인 신용카드 활용법
[산재보험][산업재해보상보험]산재보상의 공익성,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산재보상, 산업재해 ...
범죄문제의 관한 고찰
신용카드 관련 총정리
IMF금융위기(IMF경제위기, IMF외환위기) 이후 시민의식 성과, 경제성장 성과, IMF금융위기(IM...
[정보사회와 디지털 문화 공통] 2.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신용카드사에서의 개인정보 유출과 ...
(화폐 貨幣) 화폐의 기능, 한국경제에서의 화폐(통화, 준화폐), 신용카드도 화폐인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