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3의 눈
- 당신과 나, 우리는 인생의 주체자가 되자.
▶ 행복을 찾아가는 길
▶ 낯선 서울, 나는 이방인
▶ 두 시지프의 초상, 그들의 운명적 만남
▶ 부조리한 현실
▶ 운명에 맞서라
- 당신과 나, 우리는 인생의 주체자가 되자.
▶ 행복을 찾아가는 길
▶ 낯선 서울, 나는 이방인
▶ 두 시지프의 초상, 그들의 운명적 만남
▶ 부조리한 현실
▶ 운명에 맞서라
본문내용
게 된다. 그렇게 자신의 형벌을 받아들일 수 없었다면 충분히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직업으로 바꿀 수 있었을 것이지만 그는 이런 점에 대한 어떠한 언급도 하지 않는다. 능동적이지 못하고 자신에게 주어진 것 밖에는 생각할 줄 모르는 소극적인 사람이라는 판단이 든다. 이제 여기에 또 다른 사람이 있다. 인간의 시선과 의식을 끊임없이 유혹하는 물질의 성채가 사방에서 빛을 발하는 공간에서 몽롱한 상태로 버팀으로써 자신의 숙명에 주어진 형벌인 가난에 의한 비애가 솟아나지 못하도록 강하게 이겨내는 주희. 그녀는 일이 끝나고 자신의 거처인 옥탑방으로 올라갈 때마다 지상의 완전한 주민이 되겠다는 실현 불가능할지도 모를 한 가닥의 희망을 안고 자신에게 주어진 숙명을 멸시함으로써 자신이 숙명의 주체자가 되고자 한다. 민수는 수치로부터 고통받던 어느 날, 숙명의 전모를 간파하지 못한 장님처럼 운명인지도 모른 채 그녀를 좇는다. 고통스럽기만한 자신의 일로 인해 심리적인 긴장감이 한껏 고조되던 순간, 이 지상으로부터 비애를 느끼는 자신과 달리 인간적인 비애를 느끼지 않기 위해 주변의 모든 것으로부터 자신을 스스로 유폐시킨 그녀로부터 운명적인 이끌림을 느낀다. 왜 그가 그녀에게 시선이
추천자료
이승우의 [나는 아주 오래 살 것이다] 문장 비평
꿈꾸는 마리오네뜨
이상문학상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엄석대의 일대기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을 읽고..
[요약/서평]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을 읽고 [독후감]
신경숙 작품에 나타나는 여성 화자의 의식
은희경의 작품세계 <아내의 상자><그녀의 세번째 남자><내가 살았던 집>
성석제 '첫사랑' 비평 -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포스트 모더니즘 문학의 미술작품에 대한 상호텍스트성 - 김영하의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오정희의
김사과의 『미나』
여성복지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 성차별과 여성복지
<아침의 문>감상문
독후감 - 카스테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