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화엄경이란
3. 우리나라에서의 화엄경
3.1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연구자
3.2 우리나라의 주요판본
3.3 우리나라의 연구결과
4. 화엄경의 체계와 주요내용
5. 화엄경의 구조의 특징
6. 화엄경의 가치
7. 마치며
8. 참고문헌
2. 화엄경이란
3. 우리나라에서의 화엄경
3.1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연구자
3.2 우리나라의 주요판본
3.3 우리나라의 연구결과
4. 화엄경의 체계와 주요내용
5. 화엄경의 구조의 특징
6. 화엄경의 가치
7. 마치며
8. 참고문헌
본문내용
판, 1721년(경종 1)의 운흥사판, 1736년(영조 12)의 동화사판, 1742년의 성산 쌍계사판(경판은 해인사에 있음), 1760년(영조 36)의 은진 쌍계사판, 1774년(영조 50)의 지리산 대암난야판(臺岩蘭若板), 1898년의 표충사판과 대둔사판(大芚寺板)이 있다. 특이한 점은 이들 판본이 모두 반야의 번역본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이 밖에 해인사에 보존되어 있는 고려시대 목판으로는 1331년(충혜왕 1)의 〈관음지식품 觀音知識品〉, 1349년(충정왕 1)의 〈약신중 略神衆〉·〈정행품 淨行品〉·〈여래출현품 如來出現品〉·〈관자재보살소설법문별행소 觀自在菩薩所說法門別行疏〉 등이 있다.
3.3 우리나라의 연구결과
우리나라에서 화엄경의 대표적인 연구서로는 <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 <해인삼매론(海印三昧論)>, <화엄경소(華嚴經疏)>,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 등이 있다. 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① 원돈성불론(華嚴經疏)
고려 중기의 고승 지눌(知訥)이 지은 책. 1권 1책. 목판본. 선(禪)과 교(敎)가 근원에 있어서 다르지 않음을 제창하기 위하여 저술하였다. \"원돈성불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4. 10. 31자 기사]
② 해인삼매론(海印三昧論)
신라의 승려 명효(明 ?~?)가 〈화엄경〉의 요지를 논술한 책. 1권 1책. 저자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의상(義湘)의 〈화엄일승법계도 華嚴一乘法界圖〉를 본떠 만든 것이나 보다 쉽고 간략하다. \"해인삼매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4. 10. 31자 기사]
③ 화엄경소(華嚴經疏)
신라의 고승 원효(元曉:617~686)가 당시 신라불교의 교파간의 대립과 논쟁을 화쟁(和諍)시키기 위해 지은 〈화엄경〉의 주석서. 원효의 독특한 학설은 중국과 일본의 교판설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화엄경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4. 10. 31자 기사]
④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
신라시대의 승려 의상(義湘)이 화엄사상의 요지를 간결한 시(詩)로 축약한 글. 210자를 54각(角)이 있는 도인(圖印)에 합쳐서 만든 것이다. \"화엄일승법계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4. 10. 31자 기사]
4. 화엄경의 체계와 주요내용
화엄경에서 석가모니의 출가와 수행, 깨달음은 지상에서 천상에로의 여정에 비유되며, 깨달음 이후 그의 중생제도의 삶은 천상에서 다시 지상에로의 여정에 비유된다. 화엄경의 내용은 이러한 여정의 각 단계에 대한 묘살르 중심으로 전개되며, 이를 위해 이 경전의 주제와 공통점을 갖는 기존의 독립경전들을 골격으로 하고, 여기에 새로운 품들이 덧붙여져 배열된다. 이렇게 하여 화엄경은 석가모니의 깨달음과 출현의 의미에 대한 물음과 답을 제시하는 것이다.
한편 이 경전의 이 같은 내용과 의도를 전달함에 있어, 회좌(會座) 불교에서 교설이 설해지는 장소
의 설정과 그것을 중심으로 한 교설 내용의 배분, 그리고 이를 중심 골격으로 하는 경전 전체구조의 설정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회좌의 순서에 따라 이 경의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적멸도량회
여래는 이 보배로운 사자의 자리에 앉으셔서 일체 법에 대한 최정각(最正覺)을 이루시고 삼세의 법이 평등함을 깨달아서 지
3.3 우리나라의 연구결과
우리나라에서 화엄경의 대표적인 연구서로는 <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 <해인삼매론(海印三昧論)>, <화엄경소(華嚴經疏)>,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 등이 있다. 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① 원돈성불론(華嚴經疏)
고려 중기의 고승 지눌(知訥)이 지은 책. 1권 1책. 목판본. 선(禪)과 교(敎)가 근원에 있어서 다르지 않음을 제창하기 위하여 저술하였다. \"원돈성불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4. 10. 31자 기사]
② 해인삼매론(海印三昧論)
신라의 승려 명효(明 ?~?)가 〈화엄경〉의 요지를 논술한 책. 1권 1책. 저자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의상(義湘)의 〈화엄일승법계도 華嚴一乘法界圖〉를 본떠 만든 것이나 보다 쉽고 간략하다. \"해인삼매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4. 10. 31자 기사]
③ 화엄경소(華嚴經疏)
신라의 고승 원효(元曉:617~686)가 당시 신라불교의 교파간의 대립과 논쟁을 화쟁(和諍)시키기 위해 지은 〈화엄경〉의 주석서. 원효의 독특한 학설은 중국과 일본의 교판설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화엄경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4. 10. 31자 기사]
④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
신라시대의 승려 의상(義湘)이 화엄사상의 요지를 간결한 시(詩)로 축약한 글. 210자를 54각(角)이 있는 도인(圖印)에 합쳐서 만든 것이다. \"화엄일승법계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4. 10. 31자 기사]
4. 화엄경의 체계와 주요내용
화엄경에서 석가모니의 출가와 수행, 깨달음은 지상에서 천상에로의 여정에 비유되며, 깨달음 이후 그의 중생제도의 삶은 천상에서 다시 지상에로의 여정에 비유된다. 화엄경의 내용은 이러한 여정의 각 단계에 대한 묘살르 중심으로 전개되며, 이를 위해 이 경전의 주제와 공통점을 갖는 기존의 독립경전들을 골격으로 하고, 여기에 새로운 품들이 덧붙여져 배열된다. 이렇게 하여 화엄경은 석가모니의 깨달음과 출현의 의미에 대한 물음과 답을 제시하는 것이다.
한편 이 경전의 이 같은 내용과 의도를 전달함에 있어, 회좌(會座) 불교에서 교설이 설해지는 장소
의 설정과 그것을 중심으로 한 교설 내용의 배분, 그리고 이를 중심 골격으로 하는 경전 전체구조의 설정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회좌의 순서에 따라 이 경의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적멸도량회
여래는 이 보배로운 사자의 자리에 앉으셔서 일체 법에 대한 최정각(最正覺)을 이루시고 삼세의 법이 평등함을 깨달아서 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