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NP의 개념과 문제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GNP의 개념과 문제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

2. 본론 1
(1) GNP의 개념 1
① GNP의 정의 1
② 관련 개념 1
가.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 GDP) 1
나. 국민 순생산(Net National Product, NNP) 1
다. 명목소득과 실질소득 2
(2) GNP의 측정방법 2
① 국민소득 3면 등가의 원칙 2
② GNP측정시의 유의사항 4
(3) GNP의 한계 4
① 측정상의 문제점 4
② 개념상의 문제점 4
③ 국민후생지표 5

3. 결론 5

※참고문헌 5

본문내용

니면 이를 반영하지 못한다.
* 유량(flow)변수: 일정 기간을 기준으로 측정되는 변수
(예 : 소비, 저축, 투자, GNP, 수출, 정부지출 등)
* 저량(stock)변수: 일정 시점을 기준으로 측정되는 변수
(예 : 통화량, 국부량, 증권의 수요공급량 등)
라. GNP의 성장이 반드시 소득분배의 공평성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③ 국민후생지표
GNP의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국민후생을 나타내는 보다 적절한 지표로 개발된 것이 MEW, NEW라는 지표이다.
가. MEW(Measure of Economic Welfare) : 노드하우스, 토빈(미국의 경제학자) 등이 제안. GNP - 공해폐해금액 + 여가 및 지하경제의 요소소득.
나. NEW(New Economic Welfare) : 사뮤엘슨(미국의 경제학자)이 제안.
3. 결론
GNP는 일정기간 동안 시장에서 나라의 국민이 생산해낸 최종생산물의 합 혹은 부가가치의 합으로 정의된다. 한 나라의 경제력과 국민생활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서 지금까지 국민소득의 대표적 개념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GNP는 총생산량을 계산하는 것일 뿐이고, 누가 소비를 하고 무엇이 소비되었는가라는 점과는 관계가 없고, 개념상 그리고 측정방법상의 문제점 때문에 GNP 증가 그 자체는 성장의 지속성을 나타내주는 지표가 아니라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
1. 이근식 외, 경제원론Ⅰ, 방송대출판부, 1994
2. 김성수, 경제학원론, 박영사, 1993
3. 박유영, 경제학원론, 삼영사, 2000
4. 조성환, 새경제학개론, 법영사, 1994

키워드

GNP,   경영,   경제,   사회,   분석

추천자료

  • 가격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5.22
  • 저작시기200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06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