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2. 본론 1
(1) GNP의 개념 1
① GNP의 정의 1
② 관련 개념 1
가.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 GDP) 1
나. 국민 순생산(Net National Product, NNP) 1
다. 명목소득과 실질소득 2
(2) GNP의 측정방법 2
① 국민소득 3면 등가의 원칙 2
② GNP측정시의 유의사항 4
(3) GNP의 한계 4
① 측정상의 문제점 4
② 개념상의 문제점 4
③ 국민후생지표 5
3. 결론 5
※참고문헌 5
2. 본론 1
(1) GNP의 개념 1
① GNP의 정의 1
② 관련 개념 1
가.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 GDP) 1
나. 국민 순생산(Net National Product, NNP) 1
다. 명목소득과 실질소득 2
(2) GNP의 측정방법 2
① 국민소득 3면 등가의 원칙 2
② GNP측정시의 유의사항 4
(3) GNP의 한계 4
① 측정상의 문제점 4
② 개념상의 문제점 4
③ 국민후생지표 5
3. 결론 5
※참고문헌 5
본문내용
니면 이를 반영하지 못한다.
* 유량(flow)변수: 일정 기간을 기준으로 측정되는 변수
(예 : 소비, 저축, 투자, GNP, 수출, 정부지출 등)
* 저량(stock)변수: 일정 시점을 기준으로 측정되는 변수
(예 : 통화량, 국부량, 증권의 수요공급량 등)
라. GNP의 성장이 반드시 소득분배의 공평성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③ 국민후생지표
GNP의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국민후생을 나타내는 보다 적절한 지표로 개발된 것이 MEW, NEW라는 지표이다.
가. MEW(Measure of Economic Welfare) : 노드하우스, 토빈(미국의 경제학자) 등이 제안. GNP - 공해폐해금액 + 여가 및 지하경제의 요소소득.
나. NEW(New Economic Welfare) : 사뮤엘슨(미국의 경제학자)이 제안.
3. 결론
GNP는 일정기간 동안 시장에서 나라의 국민이 생산해낸 최종생산물의 합 혹은 부가가치의 합으로 정의된다. 한 나라의 경제력과 국민생활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서 지금까지 국민소득의 대표적 개념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GNP는 총생산량을 계산하는 것일 뿐이고, 누가 소비를 하고 무엇이 소비되었는가라는 점과는 관계가 없고, 개념상 그리고 측정방법상의 문제점 때문에 GNP 증가 그 자체는 성장의 지속성을 나타내주는 지표가 아니라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
1. 이근식 외, 경제원론Ⅰ, 방송대출판부, 1994
2. 김성수, 경제학원론, 박영사, 1993
3. 박유영, 경제학원론, 삼영사, 2000
4. 조성환, 새경제학개론, 법영사, 1994
* 유량(flow)변수: 일정 기간을 기준으로 측정되는 변수
(예 : 소비, 저축, 투자, GNP, 수출, 정부지출 등)
* 저량(stock)변수: 일정 시점을 기준으로 측정되는 변수
(예 : 통화량, 국부량, 증권의 수요공급량 등)
라. GNP의 성장이 반드시 소득분배의 공평성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③ 국민후생지표
GNP의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국민후생을 나타내는 보다 적절한 지표로 개발된 것이 MEW, NEW라는 지표이다.
가. MEW(Measure of Economic Welfare) : 노드하우스, 토빈(미국의 경제학자) 등이 제안. GNP - 공해폐해금액 + 여가 및 지하경제의 요소소득.
나. NEW(New Economic Welfare) : 사뮤엘슨(미국의 경제학자)이 제안.
3. 결론
GNP는 일정기간 동안 시장에서 나라의 국민이 생산해낸 최종생산물의 합 혹은 부가가치의 합으로 정의된다. 한 나라의 경제력과 국민생활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서 지금까지 국민소득의 대표적 개념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GNP는 총생산량을 계산하는 것일 뿐이고, 누가 소비를 하고 무엇이 소비되었는가라는 점과는 관계가 없고, 개념상 그리고 측정방법상의 문제점 때문에 GNP 증가 그 자체는 성장의 지속성을 나타내주는 지표가 아니라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
1. 이근식 외, 경제원론Ⅰ, 방송대출판부, 1994
2. 김성수, 경제학원론, 박영사, 1993
3. 박유영, 경제학원론, 삼영사, 2000
4. 조성환, 새경제학개론, 법영사, 1994
추천자료
지역사회의 개념 및 유형을 정리하고 지역사회 분석의 이론(체계이론과 사회체계이론, 생태학...
[사회조사, 사회조사 종류, 사회조사 목적, 기초정보수집, 조사지점선정]사회조사의 개념, 사...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인간본성에 대한 관점과 정신분석 치료 모델 - 정신분석치료 모델의 역...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정책의 이해 - 사회복지정책의 정의, 사회복지정책의 모형, 소득재...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정신분석이론과 심리사회이론 핵심 요약 (정신분석이론, 심리사회이론)
[사회社會투자국가 완벽분석] 사회투자국가 개념, 사회투자국가 등장배경, 사회투자국가 해외...
[사회복지정책] 사회복지정책을 분석하는 세 가지 분석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 정책분석
우리나라 사회복지정책 중 본인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정책 한 가지를 선택하여 Gilbert &...
우리나라 사회복지정책 중 본인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정책 한 가지를 선택하여 Gilbert &...
[사회복지정책 산물분석 접근] 사회복지정책의 산물분석(내용분석)
사회체계이론을 소개하고 사회체계이론을 기반으로 사회복지정책을 분석하고 사회체계이론이 ...
사회복지정책론)우리나라 사회복지정책 중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를 선택하여 사회...
사회복지정책의 분석틀(과정분석틀 산출분석틀 평가분석틀)
[사회복지실천기술론]정신분석이론과 심리사회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시고 사회복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