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튼과 카펫 중 한가지를 선택하여, 요구 성능을 자세히 정리하고, 소재의 섬유가 다른 5종류의 사진을 찍어 제시하고, 각각의 취급, 관리법을 자세히 설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커튼과 카펫 중 한가지를 선택하여, 요구 성능을 자세히 정리하고, 소재의 섬유가 다른 5종류의 사진을 찍어 제시하고, 각각의 취급, 관리법을 자세히 설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Ⅱ. 카페트의 요구성능 1
1. 카페트의 기능 1
2. 카페트의 선택기준 2
1) 내구성 2
2) 탄력성 2
3) 경제성 3
4) 색과 마감처리 3

Ⅲ. 소재별 카페트의 종류 및 취급관리법 3
1. wool 3
2. 레이온 4
3. 나일론 5
4. 아크릴 5
5. 모드 아크릴 6
6. 폴리프로필렌 6
7. PTT(polytrimethylene terepthalate) 7

Ⅳ. 카페트 관리법 7
1. 손질요령 7
1) 준비물 8
2) 오물제거순서 8
3) 오물 제거 요령 8
2. 보관방법 10
3. 카페트의 정전기 11

Ⅴ. 결 론 12

※ 참고문헌 12

본문내용

사용하고 그 후 중성세제를 탄 물로 닦는다.
⑨ 달걀
우선 무딘 칼등으로 긁어내고 찬물을 헝겊으에 묻혀서 가볍게 문지른 다음 그래도 자국이 남으면 벤젠으로 닦는다.
⑩ 매니큐어
벤젠으로 조심스럽게 닦는다.
⑪ 페인트
떨어뜨린 즉시라면 휘발성 기름을 적신 천으로 가볍게 문지르면 떨어진다. 마른 후에는 전문가에 의뢰해야 한다.
⑬ 윤활유
휘발성기름으로 연하게 하고서 하얀 종이로 덮은 후 다리미로 문질러 기름기를 뺀다. 그 후 알콜로서 닦은 후중성세제로 문지른다.
⑭ 잉크, 먹물
흡수지로 빨아들인 다음 더운 물에 적신 스폰지로 가볍게 문지른다. 또는 우유나 조금 부패한 것을 물로 닦는다.
⑮ 흙탕물자국
말린 후 연한 브러시로 충분히 닦은 다음 중성세제물로 닦는다.
①⑥ 구두약, 크레용
벤젠을 묻혀서 때묻은 것을 두드린 것과 같이 해서 빼내면 된다. 여러번 반복한다.
①⑦피
1리터의 찬물에 한컵반의 소금을 넣어 닦아보고 그 후 더운 물로 닦는다.
①⑧ 칵테일
흰 헝겊에 물을 적시고 가볍게 문지른다. 만을 칵테일에 과즙이 들어 있을 때는 전문가에게 의뢰한다.
①⑨초
2-% 암모니아수로 닦은 후 물로 닦아낸다.
②㉧ 콜라, 사이다
암모니아수나 붕산수로 닦고 중성세제를 탄 더운 물로 닦는다.
②① 곰팡이
브러시로 문지르고 알콜로 닦는다.
②② 오줌
곧 소금물, 또는 붕산수로 닦고 중성세제를 탄 물로 닦는다.
②③ 애완동물 오줌
완전히 제거하기는 힘들지만 즉시 소금물로 닦고 다음에 5% 암모니아수로 닦은 후 중성세제를 탄 더운 물로 닦는다.
②④ 담배불에 의한 자국
옥시풀로 적신 치솔로 문지르고 탄 부분을 떼어낸다.
2. 보관방법
카페트는 1년 중 깔아 놓은 그대로 보관하여도 이상은 없으나 계절이 바뀌거나 새로운 카페트를 교체할 목적으로 보관하고자 할 때에는 다음의 순서에 따라 보관하면 된다.
카페트는 거의 방충가공을 하였기 때문에 벌레먹는 염려는 없지만 혹 포장지로부터 해충이 올 수도 있으니 분말 방충제를 뿌려서 둔다.
대나무를 심으로 해서 감아둔다. 그렇게 하면 형태가 흩어지지 않는다. 이때 심으로 사용되는 대나무는 자체에서 나오는 이물질이 카페트에 번져 Pile이 훼손될 염려가 있으니 꼭 종이로 싸서 감아야 한다.
감을 때에는 파일이 안으로 들어가도록 감는다.
감은 카페트는 포장하여 습기가 없는 곳에 놓아둔다.
보관할 때에는 세우던지 또는 카페트 위에 다른 물건을 올려놓지 말고 꼭 옆으로 누운 자세로 놓아둔다.
3. 카페트의 정전기
스스로 습기를 조절하는 성질을 가지고 잇는 양모 외에 인조섬유 카페트제품 등은 거의 정전기 방지의 가공이 되어 있는 것이다. 정전기는 습도가 낮을수록 발생하기 쉬우므로 정전기가 발생한다는 것은 방이 지나치게 건조상태에 있기 때문에 건강상 좋지 않다는 상태를 의미한다. JIS의 스트로법에는 온도 섭씨 20도, 상대습도 40도를 대전성의 기준으로 하고 있다. 정전기의 발생을 중지시키려면 가습기를 사용해서 습도를 높이던가 정전기 방지제를 살포하는 방법을 취하면 된다.
Ⅴ. 결 론
이상으로 카페트의 요구성능과 종류 및 그 관리 방법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앞에서 서술했듯이 서구화 되어 가는 한국 도시생활에서 카페트 사용은 거의 일반화 되었고 또한 그 기능면이 우수하여 긍정적으로 보급되어가는 추세이다.
미적 기능 외에도 열 에너지 소비절약의 간접적 방법으로 바닥에서의 열 손실을 막는 것은 물론 보온성과 절연효과를 높이는데 있어서 카페트는 바닥에 까는 내장재로 우수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특히 도시 아파트에 봄, 가을의 싸늘한 바닥에 카페트를 깔 경우 한기를 없애며 심리적 보온성도 상당히 높게 해준다. 겨울에는 물론 카페트의 보온성은 상당히 우수하며 패드를 같이 깔 때 그 효과는 훨씬 크므로 한국과 같이 방 바닥에 앉은 생활과 신을 벗고 사는 생활방식에는 카페트의 마모성과 같은 단점을 고려했을 때 그 사용의 적합성이 더욱 인정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우리 생활습성에 적합한 카페트를 더욱 보편화하고 실용화 시키기 위해서는 그 소재와 기능의 발전연구에 노력해야 한다.
※ 참고문헌
1. 이원형, 세탁세계, 학예원, 1995
2. 서영숙, 피복재료, 형설출판사, 1999
3. 김영주, 카페트 사용현황과 소비자 인식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
4. 유종백, 한국의 카페트 산업, 백양, 1982
5. 윤복자, 주택에서 내장재로 TM이는 섬유의 보온효과와 소비자 의식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논문집, 1985

키워드

경영,   경제,   사회,   분석,   기업,   전략,   사례,   의생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5.22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08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