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임파선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아과] 임파선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대상자소개

2.신체사정

3.병태생리 및 치료

4.각종 검사 및 결과

5.약물 및 치료

#1. 질병과 관련된 통증 (2005.10.31~11.1)
#2. 아동의 질병과 관련된 불안(2005.10.31~11.3)
#3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2005.11.1~11.3)

본문내용

위함이며 불편감을 감소시킨다.
①V/S을 하루 세 번, 일정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②옷을 느슨하게 입히고 환부에 로션이나 기타 자극 물질을 바르지 않도록 하였다.
③문을 닫아주고 TV소리를 낮춰 불필요한 자극을 줄여주었다.
⑤Ketolan 10mg을 하루 한번 IV로 투여하는 것을 관찰 하였다.
④⑥정맥 카테터를 삽입 할 때 대상자를 억제하는데 보호자를 참여시켰다.
⑦V/S을 재기위해 대상자의 병실을 방문하였을 때 대상자가 수유중이거나 자고 있으면 좀 있다가 가서 V/S을 쟀다.
⑨대상자가 집에서 가지고 놀던 장난감을 가지고 함께 놀아 주었다.
①10/31, 8Pm에 체온이 39℃, 호흡수가 60회로 측정되어 활력징후가 불안정하였다. 재 수행결과, 11/1, 8Pm에 체온이 36.2℃, 호흡 수가 40회로 안정되었다.
②전에 보다 보채는 횟수가 줄어들었다.
③호흡의 양상이 안정되었고 호흡의 수도 정상 범위를 유지한다.
#2. 아동의 질병과 관련된 불안(2005.10.31~11.3)
의미있는 자료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결과 및 평가
<주관적 자료>
‘얘기를 나중에 성형수술 시켜줘야하나요??’
‘엄마가 미안해, 너무너무 미안해’
<객관적 자료>
①진단명 : Acute lymphadenitis
②병실에서 밖으로 잘 나오질 않는다.
③아동의 질병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상태이다.
<장기목표>
불안이 감소한다.
<단기목표>
①가족의 걱정이 감소한다.
②가족은 아동의 질병을 이해한다.
③가족의 죄책감이 감소한다.
④가족은 병원 환경에 적응한다.
<진단적 계획>
①보호자의 불안 요인을 사정한다.
②보호자의 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지식정도를 사정하고 잘못된 지식은 수정한다.
<치료적 계획>
③동일한 간호사가 지속적으로 간호를 제공한다.
④아동간호 계획 단계나 간호에 부모를 참여시킨다.
⑤보호자가 생각이나 느낌을 쉽게 표현하고 질문할 수 있는 분위기를 제공한다.
<교육적 자료>
⑥대상자에게 실행되는 병원의 일상적인 절차를 설명한다.
⑦새롭고 낯선 환경에 가족이 익숙해지도록 병동의 구조를 설명한다.
⑧가족에게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①불안의 원인을 파악하여 대책을 마련한다.
③신뢰감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④아동의 간호에 참여하므로서 부모 스스로 중요한 존재임을 느끼게 해준다.
⑥부모가 상황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⑧부모에게 아픈 아동을 간호하는데 있어 자신감을 준다.
①보호자의 불안 정도를 사정하였다.(얘기할 때 표정이 어둡고 한숨을 자주 쉬는 모습을 보였다.)
②보호자의 아동의 질병에 대한 지식정도를 사정하였다(수은 체온계로 아동의 체온을 측정할 때 정확히 몇 분을 어떤 위치에서 재야하는지 모르고 있었음
④아동의 치료에 도움이 되는 일을 하도록 하였다.(섭취량과 배설량, 활동정도 등)
⑥아침 회진 시간과, 투약 시간, 침구교환 등의 일상적인 절차를 설명하였다.
⑦화장실, 배선실, 샤워실, 치료실 등의 위치를 설명하였다.
⑧아동의 질환과, 치료과정 등에 대해 교육하였다.
①가족은 느낌과 관심사를 말로 표현한다.
②보호자는 대상자의 질병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③보호자는 죄책감 없이 대상자 함께 있으면서 안위를 제공한다.
④보호자는 병원환경에 적응하고 편안함을 느낀다.
#3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2005.11.1~11.3)
의미있는 자료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결과 및 평가
<주관적 자료>
대상자 어머니께서 ‘얘기 몸이 따뜻해요’라고 말하심
<객관적 자료>
①11/1 5:30AM-38.2℃
11:50PM-37℃
2PM-38.3℃
②대상자의 이마에 땀이 맺혀있고 환의가 땀에 젖어있다.
③WBC 상승
(16.88↑)
④PLT 상승
(609↑)
⑤CRP 상승
(2.16↑,1.71↑)
<장기 목표>
ㆍ체온이 정상 범위를 유지한다.
<단기 목표>
①혈액학적 검사가 정상 범위를 유지 한다.
②대상자의 피부가 정상적인 수분을 유지한다.
③처방된 해열제 투여 후 2시간이내에 체온이 정상 범위로 하강한다.
<진단적 계획>
①대상자의 V/S을 8시간 마다 측정한다.
<치료적 계획>
②대상자가 좋아하는 음료수를 제공하여 수분을 많이 섭취하도록 격려한다.
③탈수방지를 위해 IV로 수액을 공급한다.
④체온이 38℃이상 일 때 처방된 항생제나 해열제를 투약한다.
⑤쾌적하고 조용한 환경을 제공한다.
<교육적 계획>
⑥대상자 어머니께 대상자의 몸을 미지근한 수건으로 닦도록 교육 시킨다
⑦보호자에게 정확한 체온 측정법을 교육한다.
⑧체온이 급격히 상승한 경우 즉시 간호사를 찾도록 교육한다.
①지속 적인 관찰을 통해 보다 빠르게 문제점을 찾아낼 수 있다.
②좋아하는 음료수는 섭취량을 증가시킨다.
③발열이나 발한으로 생기는 수분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④Ketolan은 진통, 해열제이다.
⑥찬물은 피부의 말초혈관을 수축시켜 피의 순환을 막아 효과적인 해열에 지장을 준다. 열은 피부를 통해서 발산되는데, 피부로 피가 적게 가면 열이 잘 안 떨어지기 때문이다.
⑦체온측정을 위한 정확한 방법이 사용되어야하고 부모나 아이를 돌보는 사람은 정확한 체온측정 방법을 알아야한다.
⑧체온이 매우 빨리 높게 상승할 경우 경련을 초래 할 수도 있다.
①대상자의 V/S을 8시간마다 측정하였고 37.5℃이상의 열이 있을 때는 적어도 2시간마다 BT를 측정한다.
②대상자가 좋아하는 두유를 많이 먹이 도록 하였다.
③S-D 1:4 500ml를 IV로 하루 두 번 투약 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④11/1 pm2시경 체온이 38.3℃로 Ketolan10mg이 투여되는 것을 관찰 하였다.
⑤TV소리를 줄여주고 가급적 방문을 닫아 조용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⑥BT가 37.5℃이상일 때 보호자에게 수건을 미지근한 물에 적셔서 대상자의 몸을 닦아주도록 교육시켰다.
⑦대상자의 몸에서 열감이 느껴지거나 얼굴에 홍조를 띄면 체온계를 이용해 체온을 쟤고 간호사를 부르도록 교육하였다.
②식은땀을 흘리지 않고 피부에 정상적인 수분을 유지하고 있다.
③11/1 pm2시경 BT가 38.3℃로 측정되어 Ketolan을 투여한 후 11/1 pm4시에 BT가 36.5℃, pm8시에 BT가 36.2℃로 체온이 하강하였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05.24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11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