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첨가물의 안정성검토와 평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에서 소실되는 것도 있다. 그러므로 영양소를 보충하거나 원해 함유하지도 아니한 것을 첨가하여 식품의 영양가를 높이기 위하여 강화제가 사용된다. 칼슘화합물의 강화제에만 사용기준이 정해져 있고 기타는 사용기준이 없다.
껌기초제는 천연의 치클 껌과 합성고분자화합물인 초산비닐수지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지정품의 사용기준으로 껌기초제 이외의 용도에 사용하지 못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피막제는 과실이나 채소를 장기간 선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표면에 피막을 형성시켜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조미료는 식품의 맛을 적당히 조절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감미, 산미, 염미, 고미 등의 조미제는 식품의 기호에 영향을 준다.
팽창제는 빵, 가자, 비스킷 등을 연하고 맛이 좋으며 소화가 쉽도록 만들기 위해서 팽창제가 사용된다. 팽창제는 가스를 발생하는 성질을 가지며 천연품으로는 이스트가 있고 화학적 합성품으로 혼합된 합성팽창제가 있다.
용제는 식품첨가물을 용해하여 식품에 균일하게 혼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독성이 약해야 하며 첨가물을 잘 용해하고 풍미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추출제는 일종의 용매로 볼 수 있으며 현재 지정된 것은 핵산뿐이다. 식용유지를 제조할 때 유지를 추출하는 목적 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으며 최종제품 완성 전에 제거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형제는 빵의 제조과정에서 빵 반죽을 분할할 때나 구울 때 달라붙지 않게 하고,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유동파라핀이 허용되어 있다. 그 사용 기준은 이형의 목적 이외에는 사용하지 못하며 빵에 대해서 최대 잔존 량은 0.1% 이하로 규제되어 있다.
식품관련 분야는 다채롭고 풍요로운 식생활을 원하면서도 식품첨가물의 안전성에 있어서의 부정적인 측면을 항상 염두에 두로 있는 소비자의 양면성을 충족시켜야할 과제를 지니게 되었다. 또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질병의 예방(암예방, 혈압 강하), 신체리듬의 조절(비만방지, 저장효과), 노화억제(과산화지질의 생성억제), 충치 예방 등 여러 가지 생체조절 기능을 주제로 한 기능성 식품소재 (첨가물)가 속속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소재 중에는 명확한 과학적 근거나 기술적 기반 없이 가공식품에 첨가되고 있는 것이 많아 소비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앞으로 식품소재의 개발에 있어서는 그것이 갖는 의학, 약리학, 생화학, 독성학 및 영양학적 근거를 토대로 하여야 할 것이다.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5.24
  • 저작시기200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11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