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대학 1학기 국어 과목 출석수업대체시험 Text강좌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송통신대학 1학기 국어 과목 출석수업대체시험 Text강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향가에 관하여
2. 고려 시대(高麗時代)의 시가
3. 조선 전기(朝鮮 前期)의 시가
4. 조선 후기(朝鮮 後期)의 시가
5. 고전소설에 관한 당시의 부정적·긍정적 평가
6. 소설의 향유방식에 관한 사례

본문내용

사이에 여음(餘音) 혹은 후렴구를 삽입하거나 덧붙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정석가(鄭石歌)>,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는 연장체이면서 후렴구가 없는 작품이다.
율격상의 특징으로는 3음보격이 주를 이루는 가운데 4음보격도 부분적으로 보이며, 3음보격의 경우 세 개의 음보가 각기 3음격 또는 4음격 등으로 일정하지 않아서 보다 율동적 긴박감을 조성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고려 후기에는 또 새로운 장르의 개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무신란(武臣亂) 이후에 이른바 신흥 사대부(新興士大夫)가 문학의 주된 담당층이 되면서 성리학적(性理學的)인 이념에 입각하여 기존의 퇴폐적이고 향락적인 문화를 쇄신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이 시기에 새로운 장르로 등장한 것이 바로 경기체가(景幾體歌), 시조(時調), 가사이다.
경기체가는 서술적 연결이 미약한 한자 어구의 나열로 이루어진 특이한 형식 때문에 고려 가요의 한 갈래로 다루고 있다. 여러 가지 사물과 그와 연관된 인간의 행위를 열거한 다음 ‘위 ~경(景) 긔 엇더니잇고’라는 후렴구를 되풀이함으로써 유학자들의 감흥을 드러내는 형식을 갖추었다. 현전하는 것으로는 고종(高宗) 때 여러 선비들이 함께 지었다는 <한림별곡 翰林別曲>이 최초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고, 개인 창작으로는 안축(安軸)의 <관동별곡 關東別曲>, <죽계별곡 竹溪別曲>이 남아 있다. 경기체가는 일부 문인층에 의하여 조선 시대 선조(宣祖) 때까지도 그 명맥을 유지하였지만 널리 성행하지는 않은 듯하다.
3. 조선 전기(朝鮮 前期)의 시가
조선 시대에 들어서자 우리 문학사에 획기적인 전환이 이루어졌다. 훈민정음(訓民正音)이 창제됨으로써 우리 민족은 비로소 그 사상과 감정을 우리의 글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훈민정음의 창제와 더불어 악장(樂章)을 정리하는 사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악장은 제왕의 위업을 찬양하는 노래로서 송도가(頌禱歌) 또는 송축가(頌祝歌)라고도 한다. 악장은 신라나 고려 시대에도 있었으나, 조선 왕조가 창건되고 또 훈민정음이 창제된 까닭에 우리 말로 된 악장이 앞다투어 창작된 것이다. 특히 조선의 건국과 유구한 번영을 송축한 <용비어천가 龍飛御天歌>와 석가모니의 공덕을 찬양한 <월인천강지곡 月印千江之曲>은 국가적인 사업으로 제작한 우리 글로 된 최초의 서사시라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만하다. 또한 정도전(鄭道傳), 윤회(尹淮), 권근(權近), 변계량(卞季良), 상진(尙震) 등 다수의 문신들이 악장을 창작하였으나, 고려 시대의 경기체가와 같은 형식을 빌어 오는 등 독자적인 형식을 창조하지는 못하였다.
고려 후기에 발생한 시조는 이 시기에 이르러 사대부들의 미의식과 정신 세계를 표현하는 데에 가장 알맞은 문학 양식으로 정착되었다. 시조의 형식은 3장 6구로 구성된다. 이 때 3장은 3행이라는 말로 대치될 수 있으며, 6구는 그 한 행이 다시 두 개의 구로 나누어진다는 뜻이다. 시조의 3장은 그 순서에 따라 초장, 중장, 종장이라 일컫는데, 매 장이 4음보로 이루어지며, 종장의 첫머리에는 ‘어즈버’와 같은 감탄사 또는 ‘아야’와 같은 감탄적 의미를 내포하는 3음격의 말이 나타나는 율격적 제약이 주어진다. 시조는 이와 같은 형식미를 바탕으로 간결성, 정형성이 두드러진 장르라고 할 수 있다.
4. 조선 후기(朝鮮 後期)의 시가
조선 후기에 이르러 시가 문학은 커다란 변화와 진전을 보여주고 있다. 사대부 시조는 윤선도(尹善道)에 이르러 절정기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 그는 조선 전기에 형성된 강호가도의 전통을 이어 <산중신곡 山中新曲>, <어부사시사 漁父四時詞> 등의 작품을 창작하였는데, 주된 표현 대상인 자연이 혼탁한 현실을 떠나 넉넉한 삶을 누릴 수 있는 심미적 충족의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점, 바로 그 공간은 물론 그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행위에 대한 묘사가 매우 구체적이고 생생한 실감을 동반하고 있다는 점, 우리 말의 아름다움과 그 표현 대상인 자연의 아름다움이 조화와 일치를 이루는 경지를 보여준다는 점 등에서 그의 작품은 강호가도 문학의 결정판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사대부 시조의 이러한 변모와 더불어 이 시기에는 김천택(金天澤), 김수장(金壽長), 이세춘(李世春) 등 평민 가객(歌客)이 출현하여 시조 창작에 전념하는 한편, 가단(歌壇)을 결성하여 새로운 시조의 창법(唱法)을 개발하고 시조집(時調集)을 편찬하였다. 이전까지 가곡창(歌曲唱)이라는 창법에 따라 불리던 시조는 시조창(時調唱)이 개발됨으로써 대중화되고, 그 향유층이 사대부 일반으로부터 여항인에 이르기까지 크게 확대되었다. 김천택의 <청구영언 靑丘永言>, 김수장의 <해동가요 海東歌謠>, 박효관(朴孝寬)안민영(安玟英)의 <가곡원류(歌曲源流)> 등으로 이어지는 시조집 편찬은 구전되던 시조 작품들을 집대성한 것이다.
또한 이들 평민 가객들을 비롯한 새로운 문학 담당층들은 그들 나름의 경험과 욕구를 자유스럽게 표현하는 과정에서 단형 시조의 품격과 형식을 파괴함으로써 보다 장형화된 시조를 노래하기도 하였다. 사설시조(辭說時調)라고 부르는 이 부류의 시조는 해학적이고 풍자적인 시선으로 바라본 현실을 소재로 참신하고 기발한 표현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 특징을 찾을 수 있다.
5. 고전소설에 관한 당시의 부정적·긍정적 평가
1) 소설에 세 가지 의혹이 있으니 거짓을 꾸미고 공론을 말하여 귀신과 꿈을 이야기하니 그것을 짓는 것이 한 가지 의혹이요, 허황되고 거짓됨을 돕고 천하고 더러운 것을 고취하니 그것을 평하는 것이 두 가지 의혹이요, 기름과 시간을 허비하고 경전을 거칠고 묵어지게 하니 이것을 보는 것이 세 번째 의혹이다. 그것을 짓는 것도 오히려 불가한데 평을 하는 것은 무슨 마음에서이며, 평하는 것도 불가한데 또 삼국지나 수호전의 속편을 짓는 자도 있으니 더럽고 더럽도다.(小說有三惑 架虛鑿空 談鬼說夢 作之者一惑也 羽翼浮誕 鼓吹淺陋 評之者二惑也 虛費膏晷 魯奔經典 看之者三惑也 作之猶不可 何心以爲評 評之者不可 又有讀國誌者 讀水滸者 鄙哉鄙哉)<李德懋, 處雜稿>
2) 東坡志林에 말하기를 거리의 어리석은 아이들은 그 집에서 싫어하고 괴롭게 여기는 바다. 문득 돈을 주어 모여 앉게 해서는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6.05.27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16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