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치료효과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기치료효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자기의 역사
1. 자기의 역사
2. 자기학의 발달
3. 자기의 단위
4. 자기학의 기원

◇ 자기치료의 이론적 배경
1. 자기요법의 기원
2. 전자기 유도의 발
3. 자석의 용도와 기능
4.자기치료란

◇ 자기치료의 치료효과
1. 자기요법의 효과
2. 전자기 효과의 발
3. 전자기 효과들

◇ 생체 전자기 요법
1. 생체 전자기 요법
2. 전기장과 자기
3. 자기장요법
4. 생체 전기 침술
5. 정적 전자기장 요법

◇ 참고문헌

본문내용

\'폴박사 전기침\'(EAV, Electro-Acupuncture according to Voll)이라는 독특한 분야를 만들기에 이르렀다. 최근에는 경락을 흐르는 에너지의 실체가 바로 자기장이라는 설명이 설득력이 큰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레이저침으로 경혈에 자극을 가한 후 인체의 자기장을 측정한 결과 자기장이 30-50배나 상승했다. 자극의 형태가 전기이든 자기이든, 또는 광에너지(적외선 혹은 레이저)이든 경혈을 통해 일단 들어가면 몸에서 자기장에너지로 바뀐다는 뜻이다.
조기 진단이 장점 경락체계에 대한 과학적 연구와 함께 실제 치료에 활용될 수 있는 첨단
장비가 꾸준히 만들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폴박사의 이론과 전자공학을 결합시킨 \'메리디안\'
이라는 기계가 개발돼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생체전자기치료는 내부 장기의 질병을 조기에 진
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장기에 작은 이상이 생기기 시작할 때 발생하는 전자기 에너지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일반적인 의료기가 특정 부분의 질병상태를 확인하는데 그치는 것에 비해 장기조직 전반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검진할 수 있다. 나아가 기존의 서양의학적 방법으로는 진단이 어려운 여러 가지 신경성 질환들을 밝혀내고 치료하는데 효과를 발휘하기도 한다. 전류를 인체에 흘릴 때 측정부위에 따라 서로 다른 저항값이 나타난다. 이때 저항값이 상대적으로 낮은(전기가 잘 흐르는) 지점이 동양의학에서 말하는 경혈점과 대부분 정확하게 일치하고 있다.
또 전기전도도가 높은 지점들을 연결하는 인체상의 선을 서양에서는 \'메리디안\'(merdian)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신기하게도 동양의학에서 말하는 에너지 통로인 경락과 정확하게 일치한다. 즉 경락은 인체상의 전기적인 통로는 아닐지라도 전기전도성이 가장 높은 실재하는 체계다.
2. 전자기 효과의 발견
전자기 효과를 발견한 외르스테드 (Hans Christian Oersted, 1777-1851)도 바로 독일의 낭만주의 과학자들과 밀접한 연결을 맺고 있던 덴마크 과학자였다. 외르스테드가 전기의 흐름이 자석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는 전자기 효과를 발견한 것도 그가 자연의 통일된 힘을 찾으려는 자연철학주의 적인 전통 속에 있었기 때문이었다. 리터 와 교분을 가지면서 서로 긴밀한 서신 연락을 하던 그는 이미 1813년에 전자기적 효과를 예견하는 논문을 발표한 바 있었다. 1820년 7월 21일 코펜하겐에 있던 외르스테드는 \"전류가 자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이라는 라틴어로 씌어진 책자를 전 유럽의 친구들에게 보냈다. 이 책은 매우 모호하고 사변적인 형태로 서술되어 있었기 때문에, 전 유럽의 과학자들은 저마다 이 놀라운 현상을 재확인하려는 다양한 실험을 반복하게 되었다.
외르스테드 의 발견 소식이 프랑스에 처음 전달되었을 때 비오 (Jean Baptiste Biot, 1774-1862)와 푸아송 (Simeon-Denis Poisson, 1781-1840)과 같은 프랑스 과학자들은 이 발견을 믿기 어렵다고 생각하면서 이것이 과학적 사실이 아닐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적대적인 입장을 지녔던 프랑스 과학자들도 이 현상을 실험적으로 확인하면서 수학적이고 분석적인 태도로 이 현상을 다시 주목하게 되었다. 1920년 9월 4일 아라고 (Francois Arago, 1786-1853)는 아카데미에 이 사실을 발표하고 11일에는 이 실험을 재현해 보였다. 그 뒤 앙페르 (Andre Marie Ampere, 1775-1836)는 9월에서 11월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 두 평행 도선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발견하는 한편 전자기 효과와 관련된 현상을 수학적으로 정리하였다. 앙페르는 반 라플라스 진영의 인물이었고 따라서 뉴턴 이 주장하던 원격작용에 의한 힘을 믿지 않았으며, 화학작용, 열, 빛, 전기, 자기 등의 현상을 통일시키는 에테르 의 존재를 믿었던 사람으로서 외르스테드와 통할 수 있는 측면을 지니고 있었다. 특히 그는 프레넬 을 영향을 받아 전자기 작용의 전달을 설명하기 위해 빛의 파동적 전달의 유비를 사용했다. 1820년에서 1825년을 거치는 동안 앙페르는 외르스테드의 발견을 전류가 흐르는 두 도선 사이의 작용으로 일반화하는 수학적 이론을 전개하는 데 성공했다
3. 전자기 효과들
≫Schottky효과 : 전자관에서 양극과 음극간에 전압을 걸어주면 이로 말미암아 음극표면에는 방출전자를 음극쪽으로 가속하는 방향으로 전계가 생긴다. 음극면에서 x 만큼 떨어져 있는 점의 전위를 V[V]라 하면 그 점에서 전자가 가지는 전위에너지는 -eV이며, 전계 E[V/m]
가 일정할 때는 V, 따라서 -eV는 x에 비례한다. 전자는 금속표면의 에너지 장벽에 의하여 금속안으로 끄는 힘, 즉 (영상역)影像力과 가속전계에 의하여 양극쪽 즉 금속 밖으로 끄는 힘을 동시에 받으므로 두 힘의 합이 방출전자에 작용하는 합성에너지 장벽은 x=x0에서 최대 치를 가지며, 일함수는 감소하여 WW에서 WW\'로 된다. 이를 Schottky효과라고 한다.
≫터널효과 : Potential 우물 안에 갇혀 있는 전자가 전위장벽을 뚫고 자유공간에 나타날 수 는 확률은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전위장벽의 두께가 얇을수록, 또 높이가 낮을수록 확률이 증 대한다. 전위장벽의 높이가 ∞ 또는 두께가 ∞일 때 확률은 0으로 된다. 이러한 현상을 터널 효과라 한다.
≫전계효과 : 횡방향의 전류의 흐름이 외부에서 인가된 수직전계에 의해서 제어되는 현상. 횡 방향 PN 접합이 평소에는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고 있는데 이의 수직 방향으로 전계를 인가 하게 되면 유동 (-)전하가 유기되고 이 캐리어가 횡축으로 전도채널을 형성하게 되어 이로 써 전류의 흐름을 제어함.
≫죠셉슨효과 : 초전도 상태가 되면 페르미레벨 상하에서 전자는 파동 벡터의 절대값이 같고 부호는 반대, 스핀의 극성이 반대인 것끼리가 포논의 개입으로 쌍을 만들어 응축한다. 이쌍 은 보통의 전자가 페르미 입자인 것에 반해 보즈입자이며 동일한 에너지 레벨에 몇개라도 들어갈 수 있고, 그것들을 하나의 거시적인 파동함수 ψ로 표시한다.
이와 같은 초전도체 2개를 전자가 터널링으로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6.06.05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33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