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미디어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뉴미디어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뉴미디어의 이해와 전망
1-1 뉴미디어의 정의
1-2 뉴미디어의 등장 배경
1-3 뉴미디어의 발전 과정
1-4 뉴미디어의 특성
1-5 뉴미디어의 분류와 종류

2. 케이블 TV
2-1 케이블 TV의 정의
2-2 케이블 TV의 특징
2-3 케이블 TV의 시기별 특징과 발전과정
2-4 국내 케이블 TV 현황
2-5 외국 케이블 TV 현황
2-6 방송통신 융합과 CATV
2-7 케이블 TV의 가능성

3. 위성 방송
3-1 위성방송의 등장
3-2 위성방송의 구조
3-3 위성방송의 특성
3-4 위성방송의 미래

4. 인터넷 방송
4-1 인터넷 방송의 개념
4-2 인터넷 방송의 등장배경
4-3 인터넷 방송의 유형
4-4 인터넷 방송의 특징
4-5 인터넷 방송의 현황
4-6 인터넷 방송과 저작권 문제

5. DMB
5-1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5-4 해외 DMB(DAB)의 현황
5-5 DMB가 가지는 의미
5-6 DMB의 경쟁자
5-7 미디어 수용자 입장에서의 DMB
5-8 DMB의 등장으로 인한 사회, 문화적 부작용

6.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7. 와이브로

8. 뉴미디어의 영향과 미래

* 참고 문헌

* 참고 싸이트

본문내용

나로텔레콤, SK텔레콤, KTF 등의 회사가 모여 3년간 360억 원의 연구개발비와 총 242명의 연구 인력을 투입하여 국산기술의 초고속 무선인터넷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공공 및 기업 분야, 교육분야, 오락 및 레저 분야, 정치 분야 등 사회활동 전 부분에서 다양한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이 등장했지만 이런 서비스를 시간 및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저렴한 요금으로 이용하기에는 다소 제약이 있다.
따라서 HPi 과제에 참여한 사업자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며 기존의 인터넷망과 같은 All IP 기반의 시스템과 유사한 저렴한 요금 구조를 갖춘 시스템의 확보에 힘을 쏟았다. 새로운 데이터 시장의 창출 및 IT 산업의 재도약을 도모하여 신규 수익원을 확보하고자 HPi 과제를 구성한 것이다. 물론 사업자의 경우에는 와이브로 사업권 확보를 위한 교두보 마련이라는 현실적 이유가 과제 참여 결정에 크게 작용했을 것이다.
지금까지 HPi 과제는 30Mbps급 시스템을 개발하였고, HPi 과제의 연구 산출물인 시스템 규격은 국내 표준화단체인 TTA에서 추진하는 와이브로 표준규격의 모태가 되어 향후 50Mbps급으로 성능을 향상시킬 예정이다.
와이브로 표준화에 있어 국내 표준화단체인 TTA, 미국의 표준화 기구인 IEEE, 그리고 WiMAX를 빼놓을 수 없다.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선진국의 시골 지역과 정보통신 인프라 구축이 저조한 국가를 대상으로 초고속인터넷망 보급 확산을 위해 구성된 무선 통신 부문의 포럼이다. WiMAX 포럼은 원거리 광대역 접속표준의 보급 확산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 표준기술을 사용하면 최대 30마일 내에서 70Mbps의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유사 기술들인 802.11b 무선랜에 비해 상당한 강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WiMAX 포럼은 관련 장비 및 부품의 호환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무선랜 기능을 내장한 센트리노 노트북 판매 호조에 고무된 인텔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장비는 고정형태의 무선 광대역 장비로서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이나 케이블이 서비스되지 않는 지역에서 선호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2003년 초부터 한국의 고유한 기술에 의한 와이브로 사업추진에 자극받은 WiMAX 포럼은 mobile WiMAX 표준화 작업에 착수하였으며, 기존의 고정형 표준규격을 2004년 6월에 조기 마무리하였다. 이와 병행하여 2004년 3월 와이브로 개발을 주도하는 국내 개발 기관과 mobile WiMAX 개발을 주도하는 Intel 간의 기술협의와 사업자의 동의하에 와이브로 기술규격과 mobile WiMAX 기술규격을 일치시키기로 합의하였다.
최종적으로 정보통신부는 2004년 7월 한국의 와이브로 기술표준을 정하여 발표하였는데, mobile WiMAX 기술이 의거하고 있는 IEEE80.16e를 만족시키면서 추가로 5가지 성능규격을 만족하도록 규정하였다. 앞으로 한국의 와이브로 진영과 Intel의 WiMAX 진영의 공동 노력으로 표준규격을 결정할 예정이다. 다만 각국의 주파수 사정 및 정책에 따라 주파수 관련 규정은 달라질 수 있으므로 WiMAX는 다양한 종류의 규격을 반영하게 될 것이다.
7-4. 와이브로의 비즈니스 모델 지성태 외. 휴대인터넷(Wibro) 비즈니스 모델 연구 (2005.춘계학술대회)
WiBro 서비스는 유선 초고속 인터넷 중심의 기존 온라인 환경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모바일 환경을 만들어 낸다. 그것은 이동성(Mobility)을 바탕으로, 편재성(Ubiquity), 개인식별성(User Identity), 위치 확인성(Localization) 등의 특징을 지니게 되면서 비즈니스의 거대한 변화를 초래하게 된다. 이태인. 모바일 환경에서 상호작용성의 구성요인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렇듯 앞으로 와이브로 서비스가 우리의 사회에 가져올 변화는 무궁무진하다. 종전의 비즈니스 환경을 포함해서, 우리의 일상생활의 하나하나 까지도 와이브로 서비스는 편리하고 손쉬운 생활을 가져다 줄 것이다.
구분
서비스
단말기
개인
멀티미디어
추구 그룹
무선인터넷 접속 서비스
인터넷 접속, 이메일, IM, MMS 등
PDA,
스마트 폰
멀티미디어 서비스
MoIP, VODAOD, 게임, 방송 등
인터넷 비즈니스
추구 그룹
커머스 서비스
금융, e-뱅킹, 쇼핑 등
노트북,
PDA,
스마트폰
비즈니스 서비스
텔레메틱스 등
기업
유통 중심
고객 그룹
현장영업 지원서비스(SFA:자동차, 보험 등)
물류유통 서비스(주문, 배송, 재고관리 등)
PDA,
노트북
모바일 오피스
고객그룹
모바일 시큐어 오피스(VPN)
<고객 유형별 WiBro 비즈니스 모델> 김용석 외 지음. 훤히 보이는 WiBro - Take out 첨단지식 U북.2004
앞으로 와이브로 서비스가 가지는 비즈니스 모델은 크게 전략서비스, 차별서비스, 기본서비스로 나눌 수 있는데, 자세히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1) 전략서비스
전략서비스는 초기 와이브로의 가입자 수용을 위해 적극 홍보 및 활성화하여 와이브로의 보급을 앞당길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1) 통합 메신저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해 초고속 인터넷이 가능한 환경에서는 누구나 PC에 자신만의 메신저를 활성화시키고 생활을 한다. 통합 메신저는 따로 전화를 걸지 않아도 상대의 접속 여부에 따라 즉각적인 대화를 할 수 있으며, 상대방의 상태를 알 수 있고, 쉽게 메모를 남길 수도 있으며 동영상, 음악 등의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송·수신, 메일 관리, 홈페이지 관리 등 개인적인 용무를 손쉽게 관리할 수 있다.
정보통신부의 “이동통신 부가서비스 현황”자료에 따르면 하루 문자메시지 이용건수는 2005년 3월 말 현재 하루 평균 3억 7천만 건으로 여기서 기업 등의 대량문자전송을 제외하면, 순수 폰투폰 문자메시지는 8천600만 건으로 나타났다. 문자메시지 요금은 지속적으로 인상되어 건당 30원의 요금이 지불된다.
와이브로를 이용한 메신저는 무료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와이브로가 보편화되면 전송 회수에 따라 과금되는 단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78페이지
  • 등록일2006.06.05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34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