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단 순 보
◎ 연속보
◎ 단순보와 연속보의 구조적 차이점
◎ 겔버보
◎ 연속보
◎ 단순보와 연속보의 구조적 차이점
◎ 겔버보
본문내용
9tf 및 6tf의 전단력의 부호는 모두 (+)이다.이상의 결과로부터 같은 구간의 부재에 대한 전단력은 자유 물체도를 왼쪽에서 취하거나 오른족에서 취하거나 같은 값을 가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유 물체도는 계산이 쉬운 쪽으로 취하는 것이 좋다. 그림 (b)는 이들 값을 전단력도 나타낸 것이다.
◎ 연속보
3개 이상의 지점(支點)으로 지지된 일체(一體)의 보로 지점이 침하(沈下)할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2개의 지점에 걸치는 단순보를 나란히 놓는 것보다 연속보를 이용하는 편이 경제적이다. 또, 지점의 간격이나 보의 높이를 적당히 선택하면 외관도 좋고 가설이 편리하기 때문에 교량 등에 많이 사용된다.
◎ 단순보와 연속보의 구조적 차이점
연속보와 단순보의 구조적인 차이는 모멘트의 분배에 있다. 즉 단순보의 경우 지점에서 는 모멘트가 0(zero)이고 지간 중앙에서 정모멘트가 발생한다.
그러나 연속보의 경우 지점 옆 경간의 강성에 따라 지점의 회전이 자유롭지 않고 구속이 되기 때문에 지점부에서 부모멘트가 발생하면서 단순보의 지간 중앙에서 발생하던 모멘트가 지점부로 재분배가 일어난다. 즉 지간중앙이 아래로 처질려고 하는데 지점부에서 자유롭게 회전이 안되기 때문에 지간 중앙이 처질려고 하는 힘을 지점부에서 분담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 힘이 부모멘트를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등분포를 받는 단순보의 경우 지간중앙에서 모멘트는 (wl^2)/8 이지만 연속교의 경우 지점부에서 부모멘트가 -(wl^2)/12, 이고 중앙부의 정모멘트가 (wl^2)/24가 되어 모멘트가 지간의 중앙과 지점에 재분배가 일어난다.(물론 이런 수치는 지점 조건이나 보의 강성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이런 것을 감안한다면 연속교로 할 경우 같은 하중을 받는 교량이라면 훨씬 더 긴 지간을 할 수 있게 되고 같은 지간의 교량을 연속교로 한다면 작은 단면으로 같은 하중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연속교를 하였을 경우 철근배근 등이 정모멘트 구간에는 아래쪽이 인장이니까 아래쪽으로 철근이 배근되어야 하며 부모멘트 구간에는 위쪽이 인장이니까 철근이 위쪽에 배근되어야한다.
◎ 겔버보
① 게르브보: 연속보에 내부 지점의 수만큼 힌지를 두어 힘의 평형 조건식
만으로 풀 수 있도록 만든 보
㉠ 내민보와 단순보가 회전이 자유로운 힌지로 연결된 구조
㉡ 먼저 단순보 부분을 계산하고, 내민보의 끝에 단순보의 반력과 크기
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힘이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하여 내민보 부분
을 계산한다
②
지점 반력
㉠
단순보 CD의 반력,
㉡
내민보의 반력내민보 ABC의 점 C에 가 아래쪽으로, 내민보 DEF의 점 D에 가 아래쪽으로 작용하므로
③
전단력
㉠
㉡
AB 사이에서 전단력이 0이 되는 점은∴ x = 1.5m
④
휨 모멘트
㉠
㉡
AB 사이에서 (+)의 최대 휨 모멘트는
㉢
게르버보는 양 끝의 지점과 힌지에서 휨 모멘트는 0이고, 중간 지점의 휨 모멘트는 (-)이다.
㉣
AB 사이에서 반곡점의 위치는
㉤
EH 사이에서 반곡점의 위치는
◎ 연속보
3개 이상의 지점(支點)으로 지지된 일체(一體)의 보로 지점이 침하(沈下)할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2개의 지점에 걸치는 단순보를 나란히 놓는 것보다 연속보를 이용하는 편이 경제적이다. 또, 지점의 간격이나 보의 높이를 적당히 선택하면 외관도 좋고 가설이 편리하기 때문에 교량 등에 많이 사용된다.
◎ 단순보와 연속보의 구조적 차이점
연속보와 단순보의 구조적인 차이는 모멘트의 분배에 있다. 즉 단순보의 경우 지점에서 는 모멘트가 0(zero)이고 지간 중앙에서 정모멘트가 발생한다.
그러나 연속보의 경우 지점 옆 경간의 강성에 따라 지점의 회전이 자유롭지 않고 구속이 되기 때문에 지점부에서 부모멘트가 발생하면서 단순보의 지간 중앙에서 발생하던 모멘트가 지점부로 재분배가 일어난다. 즉 지간중앙이 아래로 처질려고 하는데 지점부에서 자유롭게 회전이 안되기 때문에 지간 중앙이 처질려고 하는 힘을 지점부에서 분담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 힘이 부모멘트를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등분포를 받는 단순보의 경우 지간중앙에서 모멘트는 (wl^2)/8 이지만 연속교의 경우 지점부에서 부모멘트가 -(wl^2)/12, 이고 중앙부의 정모멘트가 (wl^2)/24가 되어 모멘트가 지간의 중앙과 지점에 재분배가 일어난다.(물론 이런 수치는 지점 조건이나 보의 강성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이런 것을 감안한다면 연속교로 할 경우 같은 하중을 받는 교량이라면 훨씬 더 긴 지간을 할 수 있게 되고 같은 지간의 교량을 연속교로 한다면 작은 단면으로 같은 하중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연속교를 하였을 경우 철근배근 등이 정모멘트 구간에는 아래쪽이 인장이니까 아래쪽으로 철근이 배근되어야 하며 부모멘트 구간에는 위쪽이 인장이니까 철근이 위쪽에 배근되어야한다.
◎ 겔버보
① 게르브보: 연속보에 내부 지점의 수만큼 힌지를 두어 힘의 평형 조건식
만으로 풀 수 있도록 만든 보
㉠ 내민보와 단순보가 회전이 자유로운 힌지로 연결된 구조
㉡ 먼저 단순보 부분을 계산하고, 내민보의 끝에 단순보의 반력과 크기
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힘이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하여 내민보 부분
을 계산한다
②
지점 반력
㉠
단순보 CD의 반력,
㉡
내민보의 반력내민보 ABC의 점 C에 가 아래쪽으로, 내민보 DEF의 점 D에 가 아래쪽으로 작용하므로
③
전단력
㉠
㉡
AB 사이에서 전단력이 0이 되는 점은∴ x = 1.5m
④
휨 모멘트
㉠
㉡
AB 사이에서 (+)의 최대 휨 모멘트는
㉢
게르버보는 양 끝의 지점과 힌지에서 휨 모멘트는 0이고, 중간 지점의 휨 모멘트는 (-)이다.
㉣
AB 사이에서 반곡점의 위치는
㉤
EH 사이에서 반곡점의 위치는
추천자료
[건축공학]철근콘크리트 보의 휨 및 전단실험 레포트
한국 언론의 집중 보도 경향과 그비평 - 한화 김승연 회장 사건을 중심으로
건축공학 건축구조 및 설계 보[beam]
탄성계수의 실제값과 실험값의 비교 보고서
(최종) 보의 처짐 실험
이산화탄소의 승화열 예비실험 보고서
6.2 지방선거 관련 보도 비평
매트랩을 이용하여 가위 바위 보 인식하기
[기계공학 실험] 외팔보의 고유진동수 측정
(예비) 외팔보 진동 회피
의료 사회복지 & 정신 보건 사회복지 기관 방문보고서 & 창원시 정신보건센터 기관
상품머천다이징(허니버터칩,하리보젤리,검은콩우유)
의료 시장 개방이 국내 보건 의료 체계에 야기하는 문제점
[재료역학 실험] 보의 휨 모멘트 측정 : 하중이 증가할 때 모멘트가 변하는 것과 임의의 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