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0세기 프랑스 음악
1. 인상주의
2. 드뷔시
3. 라벨
4. 사티와 프랑스 '6인조'
1. 인상주의
2. 드뷔시
3. 라벨
4. 사티와 프랑스 '6인조'
본문내용
7)의 대본을 썼으며, 사티는 여기에 곡을 붙였는데, 이 곡이 초연된 파리 공연에서는 일대 스캔들이 야기되기도 했다. 이 곡의 총보에는 전동 타자기, 경보기, 비행기 소리, 권총, 룰렛 놀이 회전판 등이 지시되어 있는 등 사티는 전위 음악의 아버지라고 일컬어지는 에드가 바레즈가 소음이나 현실음을 가미한 실험을 행가기 10년 전에 이미 급진적 입체음악의 실험을 이 작품에서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이 작품의 무대장치와 의상은 피카소가 담당했고, 레오니드 마신의 안무와 에르네스트 앙세르메의 지휘에 의해 1917년에 파리의 샤트레 좌에서 초연되어 ‘큐비즘의 발레’라는 평가를 받았다.
‘6인조’란 에리크 사티 E.Satie(1866~1925)를 음악적, 정신적 스승으로 하고 루이 뒤레(Louis Durey, 1888~1979), 조르주 오리크(Georges AURIC, 1899~1983), 아르튀르 오네게르(Arthur Honegger, 1892~1955), 제르맹 테유페르(Germaine Tailleferre, 1892~), 프랑시스 풀랑크(Francis Poulenc, 1899~1963)그리고 다리우스 미요(Darius Milh명, 1892~1974)의 프랑스의 진보적인 젊은 작곡가로 6명으로 구성되는 그룹을 일컫는 용어이다.
프랑스의 저명 문필가인 장 콕토는 1918년에<수탉과 아를르캥>이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이들을 소개하면서, 이들의 음악적 이상, 즉 독일의 ‘바그너주의’를 거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드뷔시의 ‘인상주의’지니는 모호성에 대해서도 비판적 자세를 견지하는 입장을 발표했다. 이들의 공동목표는 인상주의
‘6인조’란 에리크 사티 E.Satie(1866~1925)를 음악적, 정신적 스승으로 하고 루이 뒤레(Louis Durey, 1888~1979), 조르주 오리크(Georges AURIC, 1899~1983), 아르튀르 오네게르(Arthur Honegger, 1892~1955), 제르맹 테유페르(Germaine Tailleferre, 1892~), 프랑시스 풀랑크(Francis Poulenc, 1899~1963)그리고 다리우스 미요(Darius Milh명, 1892~1974)의 프랑스의 진보적인 젊은 작곡가로 6명으로 구성되는 그룹을 일컫는 용어이다.
프랑스의 저명 문필가인 장 콕토는 1918년에<수탉과 아를르캥>이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이들을 소개하면서, 이들의 음악적 이상, 즉 독일의 ‘바그너주의’를 거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드뷔시의 ‘인상주의’지니는 모호성에 대해서도 비판적 자세를 견지하는 입장을 발표했다. 이들의 공동목표는 인상주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