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목차
001. 일각고래(완벽)
002. 고고학 유적지(완벽)
003. 미국 신문의 발달사-벤자민버젼(거의완벽)
004. railroad 로 인한 서부의 발전(완벽) F
005. Erie canal과 뉴욕(완벽)
006. Utah 지역의 Fremont 부족 (완벽)
007. 멜로드라마
008. 전투개미
009. 베링 해협(완벽)
010. Wool을 이용한 퀼트
011. 파랑새(완벽)
012. 인간의 두뇌와 언어사용
013. 지층 연구 , 지구연대측정방법 (화석의 연대측정법?)
014. Small group thinking = 행동제약
015. 비누역사(완벽)
016. 뿌리이야기
017. 콘크리트 이야기
018. 미국의 동부의 숲 이야기
019. 종의 다양성(다윈의 진화론)
020. 대공황 이후 후버 대통령의 실정
021. 남극 해양동물 멸종 -자료부족
022. 스테인드 글라스(Stain Glass)후기 2종류 (확인바람)
023. 사진의 예술로써의 발전 (Kodak)
024. Correlation (상관관계)
025. Sugarcane
026. 진화의 과정 (양서류 파충류)
027. 참치의 이동
028. Informal economy
029. Fish's nest
030. Peat moss (렉쳐 자료)
031. Wheat production
032. 심리학자들의 experimental method 장점 단점
033. 산업혁명이후 craft
034. 인간과 동물의 차이 (침팬지의 도구사용)
035. Selective awareness-선택적인식(칵테일파티)
036. Chemistry-Material development- Plastic
037. 새의 nest (완벽)
038. Carbon fuel
039. Wild Bee가 사라지는 이유 (완벽)
040. 멸종하는 새 Condor
041. 미국의 레저문화의 발달(완벽)
042. Rock의 형질변화(화성암, 변성암, 퇴적암)(내용부족)
043. 잡지
044. 동물과 식물의 영양공급의 차이
045. 유리세공업자의 어려움
046. 미국 초기 집짓기 1. Sod House, 2. Wig-Wam (2번출제중)
047. Spatial orientation(동물, 새, 물고기, 사람의 공간적 배향)
048. 이집트의 예술재료
049. 미국식민지 시대의 초기예술(fine arts)
050. Rational adaptation (수배중!!)
051. 대도시 형성의 배경과 원인 (수배중)
052. 아인슈타인의 Atom에 관한 이야기
053. 루즈벨트 대통령의 artist 지원 프로그램 (WPA)
054. 아이들의 웃음
055. 판화
056. 남극 대륙의 기후
057. 펜실베니아 석탄
058. Windmill (Windturbine)
059. 시조새 (완벽)
060. Glass painting
061. Crest pole 만드는 과정
062. 노르웨이사람(거의완벽)
063. 산업혁명이 마케팅에 미친 영향
064. Soil
065. Typewriter
066. 미국의 표준시간
067. 미국 정부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068. 도자기의 역사, 발전
069. Post card
070. 미시시피강과 댐
071. Frank Loyd Wright의 의자 디자인 (거의 정확)
072. Life length & evolution
073. 미국 인형의 발달
074. 정온동물인 공룡
075. Cellar (지하창고이야기)
076. 미국식민시대의 Printing (내용빈약)
077. Sensation & perception (내용빈약)
078. 16세기의 Printing
079. insect botanist
080. 태양계의 행성이 온도에 미치는 영향
081. 비행기의 발전과정
082. Microbe
083. Skyscraper
084. natural selection
085. 프에블로
086. 풍향계
087. 바닷가 생물(수배중, 내용빈약)
088. symmetry
089. 지진파
090. 1940~60년대 미국의 경제
091. 미국 small타운의 부흥운동
092. musician의 reading 능력 (수배중!!!)
093. 미국 목화재배의 활성화
094. 링컨의 홈스테이크 액트
095. 18세기 의류의 변천
096. Makah족의 거주지의 발견
097. 미국 자동차 산업-포드(완벽)
098. 비타민<완벽>
099. 미국의 folk art
100. Glass woker
101. 미국의 도시발전 계획
102. 화강암
103. 도자기 전시회 (세라믹 아트)
104. 인디언 부족의 예술품
002. 고고학 유적지(완벽)
003. 미국 신문의 발달사-벤자민버젼(거의완벽)
004. railroad 로 인한 서부의 발전(완벽) F
005. Erie canal과 뉴욕(완벽)
006. Utah 지역의 Fremont 부족 (완벽)
007. 멜로드라마
008. 전투개미
009. 베링 해협(완벽)
010. Wool을 이용한 퀼트
011. 파랑새(완벽)
012. 인간의 두뇌와 언어사용
013. 지층 연구 , 지구연대측정방법 (화석의 연대측정법?)
014. Small group thinking = 행동제약
015. 비누역사(완벽)
016. 뿌리이야기
017. 콘크리트 이야기
018. 미국의 동부의 숲 이야기
019. 종의 다양성(다윈의 진화론)
020. 대공황 이후 후버 대통령의 실정
021. 남극 해양동물 멸종 -자료부족
022. 스테인드 글라스(Stain Glass)후기 2종류 (확인바람)
023. 사진의 예술로써의 발전 (Kodak)
024. Correlation (상관관계)
025. Sugarcane
026. 진화의 과정 (양서류 파충류)
027. 참치의 이동
028. Informal economy
029. Fish's nest
030. Peat moss (렉쳐 자료)
031. Wheat production
032. 심리학자들의 experimental method 장점 단점
033. 산업혁명이후 craft
034. 인간과 동물의 차이 (침팬지의 도구사용)
035. Selective awareness-선택적인식(칵테일파티)
036. Chemistry-Material development- Plastic
037. 새의 nest (완벽)
038. Carbon fuel
039. Wild Bee가 사라지는 이유 (완벽)
040. 멸종하는 새 Condor
041. 미국의 레저문화의 발달(완벽)
042. Rock의 형질변화(화성암, 변성암, 퇴적암)(내용부족)
043. 잡지
044. 동물과 식물의 영양공급의 차이
045. 유리세공업자의 어려움
046. 미국 초기 집짓기 1. Sod House, 2. Wig-Wam (2번출제중)
047. Spatial orientation(동물, 새, 물고기, 사람의 공간적 배향)
048. 이집트의 예술재료
049. 미국식민지 시대의 초기예술(fine arts)
050. Rational adaptation (수배중!!)
051. 대도시 형성의 배경과 원인 (수배중)
052. 아인슈타인의 Atom에 관한 이야기
053. 루즈벨트 대통령의 artist 지원 프로그램 (WPA)
054. 아이들의 웃음
055. 판화
056. 남극 대륙의 기후
057. 펜실베니아 석탄
058. Windmill (Windturbine)
059. 시조새 (완벽)
060. Glass painting
061. Crest pole 만드는 과정
062. 노르웨이사람(거의완벽)
063. 산업혁명이 마케팅에 미친 영향
064. Soil
065. Typewriter
066. 미국의 표준시간
067. 미국 정부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068. 도자기의 역사, 발전
069. Post card
070. 미시시피강과 댐
071. Frank Loyd Wright의 의자 디자인 (거의 정확)
072. Life length & evolution
073. 미국 인형의 발달
074. 정온동물인 공룡
075. Cellar (지하창고이야기)
076. 미국식민시대의 Printing (내용빈약)
077. Sensation & perception (내용빈약)
078. 16세기의 Printing
079. insect botanist
080. 태양계의 행성이 온도에 미치는 영향
081. 비행기의 발전과정
082. Microbe
083. Skyscraper
084. natural selection
085. 프에블로
086. 풍향계
087. 바닷가 생물(수배중, 내용빈약)
088. symmetry
089. 지진파
090. 1940~60년대 미국의 경제
091. 미국 small타운의 부흥운동
092. musician의 reading 능력 (수배중!!!)
093. 미국 목화재배의 활성화
094. 링컨의 홈스테이크 액트
095. 18세기 의류의 변천
096. Makah족의 거주지의 발견
097. 미국 자동차 산업-포드(완벽)
098. 비타민<완벽>
099. 미국의 folk art
100. Glass woker
101. 미국의 도시발전 계획
102. 화강암
103. 도자기 전시회 (세라믹 아트)
104. 인디언 부족의 예술품
본문내용
c30님정보:Q9)-Q10))
Q9) 파랑새 색깔 supported된 문장은?
-> the color of bluebirds can be affected by the time of day.
Q10) 파랑새 날개 색깔에 영향 주는거?
(intensity of the color of a bluebird\'s feathers?)
-> The angle of sun, brightness of sunlight
012. 인간의 뇌와 언어
뇌의 구조 추적에 의한 언어 사용의 시작
인간의 언어를 담당하는 뇌의 부분은broca area입니다. 이 부분은 좌뇌쪽에 치우쳐저 있습니다. 때문에 언어를 사용하는 인간은 좌뇌가 더 우뇌보다 크죠. 게다가, 대부분의 인간이 오른손 잡이이기 때문에, 좌뇌가 더 큰데 영향을 미칩니다. (참고적으로 좌뇌는 오른쪽몸의 사용을 담당하고 우뇌는 왼쪽몸의 사용을 담당하죠. 그래서 오른손잡이는 좌뇌가 더 큽니다.)
보통 오른손잡이가 많은데 원시시대에도 그래왔고 동물들도 그러하다. (문: 왜 이예시를 제시하는가?예전에도 오른손잡이가 우세하다는 주장을 support 하려고..) 뇌랑 연구해보면 오른손잡이 언어능력은 왼쪽 뇌반구를 사용하는 건데 왼손잡이는 좀 특이하다. 왜냐믄, 70%정도는 오른쪽 뇌반구를 사용하지만 15%는 왼쪽 뇌반구를 나머지 15%는 양쪽 다 사용하기 때문이다. (문:그 연결부위에 대한 설명을 하면서 이것으로 인퍼할수 있는것을 묻습니다. 전 크기다 다르다고 했습니다) 왼손잡이 뇌 연구 해보니깐 뇌의 양반구를 이어주는 무언가가 (알수 없는 단어가
이탤릭체로나옴) 좀 굵다. 이로써 얘네들은 양쪽 반구간에 이동이 많다. (뇌의 전문화가 이루어지지 않음) 이 사실은 오른손잡이 애들은 거의 맨날 오른손을 쓰는데 왜 왼손잡이 애들이 어떨때는 왼손을 쓰고 어떨때는 오른손을 쓰는지 알수 있다.
고고학자들은 인간이 언제부터 언어를 사용했나를 궁금해 했지만, 발굴된 시신의 내부의 뇌를 볼 수 없어 알수 없었는데, 이 뇌의 비대칭이 언어사용의 clue라는 점을 이용해 언제부터 인간이 언어사용을 하게 되었냐를 논의하게 됩니다. 한 고고학자의 이름이 언급되는데,Holloway 이 고고학자가 homo habilis를 발견하는데 이 발굴된 시신의 뇌가 비대칭적이었던거죠. 어디에서 인간 (호모에렉투스)의 두개골이 발견되었는데 두개골 안쪽 표면에 언어능력을 컨트롤하는 부분이 있다는 증거가 있다.(?) 이 고고학자는 인간이 아주 옛날부터 현재의 원숭이보다 발달된 언어생활을 하였다라고 한 고고학 잡지에 기재를 하죠. 그러면서 아마 오스트랄로피테쿠스때부터 언어생활이 시작되었을거라고 말을 했답니다. 그러나,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내 생각으로는, 호미니드(오스트랄로피테쿠스, 호모 하빌리스, 호모 에렉투스, 호모 사피엔스 등을 총칭하는 말)의 진정한 언어능력은 호모에 있어서 비로소 가능해졌다
문) 홀로웨이의 연구에서 1470화석이 뒷받침하는 것은?
-> 호모 하빌리스가 침팬지보다 발달된 언어능력을 가졌다는 점
문) 아마도 오른손잡이, 왼손잡이 이야기를 왜 하고 있나? 하는 거였던 것 같은데..
-> 도구사용능력(언어능력?) 외에 뇌반구의 크기차이와 관계있는 다른 예(아마도 1번??).. 뭐 그 비슷한 거였던 것 같음.. 하여간 해석한 내용 자체가 헷갈릴만큼 말을 꼬아놨음
문) 저자는 왜 침팬지를 언급했나?
-> 호모에렉투스가 오늘날의 침팬지들보다 더 발전된 언어능력이있었다는 것을 주장하려고
문) 마지막에 끼워넣기?
한 예가 나옵니다. 누구는 글씨 쓸때는 왼손, 무슨 일할때는 오른손..
문) 담에 나올 내용은?
-> 글쓴이(author)의 생각이나 의견
문) architecture=structure
문) configuration=arrangement
문) while = although
(다른 후기)
뇌의 양쪽 부분이 비슷해 보일 지라도 얘네들이 하는 일은 서로 다르다 왼쪽은 책을 읽을때 단어를 이해하거나 해석할때 쓰거나 ...따위의 논리적인 일에 쓰인다. 특히 과학자 수학자 애들이 많이 쓴다. 그럼 오른쪽은? 오른쪽은 그림을 그리고 음악을 듣고 하는 일에 쓰인다. 또 얼굴을 보면 이름을 알게 되는데 이것도 오른쪽 뇌의 역할이다. 이게 어케 발견됐는가? 무슨 병을 연구하다가 알게됐다. 우뇌와 좌뇌를 연결하는 신경다발을끊으면 이 병을 occur를 막을 수 있다.글구 계속 설명나오다가.. 왼쪽뇌는 오른쪽운동을 맡고 오른쪽은 왼쪽운동을맡죠.
문) 좌뇌를 쓰는 설명? 책 읽을때 (언어 및 논리능력?)
문) 얼굴을 보고 이름을 아는건 무슨 뇌가 하냐?? 우뇌
문) 이 병은 뭐와 연결이 있냐? 좌뇌와 우뇌를 잇는 신경다발
문) 뇌의 양쪽 부분이 비슷해 보일 지라도 얘네들이 하는 일은 서로 다르죠(fact 문제:
왼쪽은 오른쪽 운동을 맡고 오른쪽은 왼쪽운동을 맡죠.
문) B~에서의 화석으로 알수있는 내용은?
첫번째화석은 인간의 언어발달뿐만아니라 인간의 도구사용까지도 알려주더라는 내용. (B~로 시작하는 어디에서 발굴됨)
문)MI? Hemisphere(반구)
문) 원시시대의 예를 주는데 동굴에 그려진 벽화를 보더라도 예전부터 오른손잡이가 훨씬 우세했다고 합니다. 왜 이 예시를 제시하는가?
예전에도 오른손잡이가 우세하다는 주장을 support 하려고.
문) 손을 못쓰는 사람의 경우에도 우뇌의 크기가 더 크다는 이야기 하면서 왜 손을 못쓰는 사람을 언급했는가라는 문제?
문) monotonous = boring
문) understand = comprehend
문) a great deal = a lot
문) nevertheless = in spite of
013. 지층연구, 지구연대측정법 (화석의 연대측정법?)
화석을 이용해서 지층의 연대를 아는 방법에는 크게 두가지가 있다. 상대적 방법과 절대적 방법이다. 첫 문단에는 이렇게 소개를 해놓고는 다음 문단들에서 상대적 방법을 설명합니다.
화석(fossil) 하고 암석(rock) 나이 재는거 나왔습니다 고생물학자들은 화석의 나이를 잰다. 즉 쌓인 순서대로 제는거죠. 아래지층은 위 지층보다 오래
Q9) 파랑새 색깔 supported된 문장은?
-> the color of bluebirds can be affected by the time of day.
Q10) 파랑새 날개 색깔에 영향 주는거?
(intensity of the color of a bluebird\'s feathers?)
-> The angle of sun, brightness of sunlight
012. 인간의 뇌와 언어
뇌의 구조 추적에 의한 언어 사용의 시작
인간의 언어를 담당하는 뇌의 부분은broca area입니다. 이 부분은 좌뇌쪽에 치우쳐저 있습니다. 때문에 언어를 사용하는 인간은 좌뇌가 더 우뇌보다 크죠. 게다가, 대부분의 인간이 오른손 잡이이기 때문에, 좌뇌가 더 큰데 영향을 미칩니다. (참고적으로 좌뇌는 오른쪽몸의 사용을 담당하고 우뇌는 왼쪽몸의 사용을 담당하죠. 그래서 오른손잡이는 좌뇌가 더 큽니다.)
보통 오른손잡이가 많은데 원시시대에도 그래왔고 동물들도 그러하다. (문: 왜 이예시를 제시하는가?예전에도 오른손잡이가 우세하다는 주장을 support 하려고..) 뇌랑 연구해보면 오른손잡이 언어능력은 왼쪽 뇌반구를 사용하는 건데 왼손잡이는 좀 특이하다. 왜냐믄, 70%정도는 오른쪽 뇌반구를 사용하지만 15%는 왼쪽 뇌반구를 나머지 15%는 양쪽 다 사용하기 때문이다. (문:그 연결부위에 대한 설명을 하면서 이것으로 인퍼할수 있는것을 묻습니다. 전 크기다 다르다고 했습니다) 왼손잡이 뇌 연구 해보니깐 뇌의 양반구를 이어주는 무언가가 (알수 없는 단어가
이탤릭체로나옴) 좀 굵다. 이로써 얘네들은 양쪽 반구간에 이동이 많다. (뇌의 전문화가 이루어지지 않음) 이 사실은 오른손잡이 애들은 거의 맨날 오른손을 쓰는데 왜 왼손잡이 애들이 어떨때는 왼손을 쓰고 어떨때는 오른손을 쓰는지 알수 있다.
고고학자들은 인간이 언제부터 언어를 사용했나를 궁금해 했지만, 발굴된 시신의 내부의 뇌를 볼 수 없어 알수 없었는데, 이 뇌의 비대칭이 언어사용의 clue라는 점을 이용해 언제부터 인간이 언어사용을 하게 되었냐를 논의하게 됩니다. 한 고고학자의 이름이 언급되는데,Holloway 이 고고학자가 homo habilis를 발견하는데 이 발굴된 시신의 뇌가 비대칭적이었던거죠. 어디에서 인간 (호모에렉투스)의 두개골이 발견되었는데 두개골 안쪽 표면에 언어능력을 컨트롤하는 부분이 있다는 증거가 있다.(?) 이 고고학자는 인간이 아주 옛날부터 현재의 원숭이보다 발달된 언어생활을 하였다라고 한 고고학 잡지에 기재를 하죠. 그러면서 아마 오스트랄로피테쿠스때부터 언어생활이 시작되었을거라고 말을 했답니다. 그러나,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내 생각으로는, 호미니드(오스트랄로피테쿠스, 호모 하빌리스, 호모 에렉투스, 호모 사피엔스 등을 총칭하는 말)의 진정한 언어능력은 호모에 있어서 비로소 가능해졌다
문) 홀로웨이의 연구에서 1470화석이 뒷받침하는 것은?
-> 호모 하빌리스가 침팬지보다 발달된 언어능력을 가졌다는 점
문) 아마도 오른손잡이, 왼손잡이 이야기를 왜 하고 있나? 하는 거였던 것 같은데..
-> 도구사용능력(언어능력?) 외에 뇌반구의 크기차이와 관계있는 다른 예(아마도 1번??).. 뭐 그 비슷한 거였던 것 같음.. 하여간 해석한 내용 자체가 헷갈릴만큼 말을 꼬아놨음
문) 저자는 왜 침팬지를 언급했나?
-> 호모에렉투스가 오늘날의 침팬지들보다 더 발전된 언어능력이있었다는 것을 주장하려고
문) 마지막에 끼워넣기?
한 예가 나옵니다. 누구는 글씨 쓸때는 왼손, 무슨 일할때는 오른손..
문) 담에 나올 내용은?
-> 글쓴이(author)의 생각이나 의견
문) architecture=structure
문) configuration=arrangement
문) while = although
(다른 후기)
뇌의 양쪽 부분이 비슷해 보일 지라도 얘네들이 하는 일은 서로 다르다 왼쪽은 책을 읽을때 단어를 이해하거나 해석할때 쓰거나 ...따위의 논리적인 일에 쓰인다. 특히 과학자 수학자 애들이 많이 쓴다. 그럼 오른쪽은? 오른쪽은 그림을 그리고 음악을 듣고 하는 일에 쓰인다. 또 얼굴을 보면 이름을 알게 되는데 이것도 오른쪽 뇌의 역할이다. 이게 어케 발견됐는가? 무슨 병을 연구하다가 알게됐다. 우뇌와 좌뇌를 연결하는 신경다발을끊으면 이 병을 occur를 막을 수 있다.글구 계속 설명나오다가.. 왼쪽뇌는 오른쪽운동을 맡고 오른쪽은 왼쪽운동을맡죠.
문) 좌뇌를 쓰는 설명? 책 읽을때 (언어 및 논리능력?)
문) 얼굴을 보고 이름을 아는건 무슨 뇌가 하냐?? 우뇌
문) 이 병은 뭐와 연결이 있냐? 좌뇌와 우뇌를 잇는 신경다발
문) 뇌의 양쪽 부분이 비슷해 보일 지라도 얘네들이 하는 일은 서로 다르죠(fact 문제:
왼쪽은 오른쪽 운동을 맡고 오른쪽은 왼쪽운동을 맡죠.
문) B~에서의 화석으로 알수있는 내용은?
첫번째화석은 인간의 언어발달뿐만아니라 인간의 도구사용까지도 알려주더라는 내용. (B~로 시작하는 어디에서 발굴됨)
문)MI? Hemisphere(반구)
문) 원시시대의 예를 주는데 동굴에 그려진 벽화를 보더라도 예전부터 오른손잡이가 훨씬 우세했다고 합니다. 왜 이 예시를 제시하는가?
예전에도 오른손잡이가 우세하다는 주장을 support 하려고.
문) 손을 못쓰는 사람의 경우에도 우뇌의 크기가 더 크다는 이야기 하면서 왜 손을 못쓰는 사람을 언급했는가라는 문제?
문) monotonous = boring
문) understand = comprehend
문) a great deal = a lot
문) nevertheless = in spite of
013. 지층연구, 지구연대측정법 (화석의 연대측정법?)
화석을 이용해서 지층의 연대를 아는 방법에는 크게 두가지가 있다. 상대적 방법과 절대적 방법이다. 첫 문단에는 이렇게 소개를 해놓고는 다음 문단들에서 상대적 방법을 설명합니다.
화석(fossil) 하고 암석(rock) 나이 재는거 나왔습니다 고생물학자들은 화석의 나이를 잰다. 즉 쌓인 순서대로 제는거죠. 아래지층은 위 지층보다 오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