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야(古夜)
2) 나와 나타샤와 힌 당나귀
2) 나와 나타샤와 힌 당나귀
본문내용
없는 것은 아니나 백석의 「古夜」는 미웁지 않은 사투리로 별로 흠없이 놓은 산문시다. 공포와 신비에 가득찬 동심을 표현하기에는 알맞은 수법이라 할 것이나 일반적으로 이같은 시작은 극히 성공하기 어려울 것이니 섣불리 본뜨지 못할 것이다.』
아베는 타관 가서 오지 않고 산비탈 외따른 집에 엄매와 나와 단둘이서 누가 죽이는 듯이 무서운 밤 집 뒤로는 어느 산골짜기에서 소를 잡어먹는 노나리꾼 소 밀도살꾼
들이 도적놈들같이 쿵쿵거리며 다닌다
날기멍석 곡식을 말릴 때 밑자리로 까는 멍석
을 져간다는 닭보는 할미를 차 굴린다는 땅 아래 고래 같은 기와집에는 언제나 니차떡에 청밀에 은금보화가 그득하다는 외발 가진 조마구 옛 이야기 속에 나오는 난쟁이
뒷산 어느메도 조마구네 나라가 있어서 오줌 누러 깨는 재밤 깊은 밤
머리
아베는 타관 가서 오지 않고 산비탈 외따른 집에 엄매와 나와 단둘이서 누가 죽이는 듯이 무서운 밤 집 뒤로는 어느 산골짜기에서 소를 잡어먹는 노나리꾼 소 밀도살꾼
들이 도적놈들같이 쿵쿵거리며 다닌다
날기멍석 곡식을 말릴 때 밑자리로 까는 멍석
을 져간다는 닭보는 할미를 차 굴린다는 땅 아래 고래 같은 기와집에는 언제나 니차떡에 청밀에 은금보화가 그득하다는 외발 가진 조마구 옛 이야기 속에 나오는 난쟁이
뒷산 어느메도 조마구네 나라가 있어서 오줌 누러 깨는 재밤 깊은 밤
머리
추천자료
현대시 교육론의 반성과 전망
한국 현대시에서 50년대 시의의미
현대시 자화상 분석
현대시(서정주 국화옆에서)의 상징의 변화
[과외]고등 국어 현대시 기출 04
한국현대시의 이해-《 의미의 전이에 따른 수사법 》은유와역설,아이러니
현대시의 이해1
[현대시론-시분석] 사평역에서 _ 곽재구
[현대시교육] 교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시 수업의 문제점(교생실습과제)
[현대시교육] 지금까지의 시교육의 문제점과 그 해결 방안
[현대시교육] 사이버 시대와 시의 확장(새로운 시대의 미디어와 문학)
[현대시교육] 시 교육 현장에서의 문제점에 관하여(교생실습 과제)
[현대시교육] '시의 언어'에 대한 교수-학습방안 (유치환의 '깃발'을 제재로)
[현대시론] 제 7 장 현대시의 흐름과 미학 - 6, 7 절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