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① 줄기세포의 정의
② 줄기세포의 가치
③ 줄기세포의 문제점
④ 줄기세포 연구의 가치와 문제점의 비교 및 올바른 해결 방법
① 살아있는 생명의 중요성 vs 잠재적 생명의 중요성
② 질병 치료의 가치 vs 인간 복제 악용의 우려
③ 과학적 가치 vs 종교적 가치
3. 올바른 방향의 제시 및 결론
느낀 점
참고 문헌
관련 사이트
2. 본론
① 줄기세포의 정의
② 줄기세포의 가치
③ 줄기세포의 문제점
④ 줄기세포 연구의 가치와 문제점의 비교 및 올바른 해결 방법
① 살아있는 생명의 중요성 vs 잠재적 생명의 중요성
② 질병 치료의 가치 vs 인간 복제 악용의 우려
③ 과학적 가치 vs 종교적 가치
3. 올바른 방향의 제시 및 결론
느낀 점
참고 문헌
관련 사이트
본문내용
성이 훼손될 뿐만 아니라 생명 경시 풍조가 만연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③ 과학적 가치 vs 종교적 가치
줄기세포 연구를 통하여 과학은 더욱 진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순히 생명과학의 진보로만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난치병 치료라는 의료적 목적까지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볼 때, 그 과학적 가치는 엄청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줄기세포 연구를 반대하는 집단에서 내세우는 종교, 윤리적 가치의 입장에서 보면 하나의 잠재적 생명체인 배아를 파괴하면서 살아있는 생명을 살리는 것은 큰 의미가 없을뿐더러 윤리적으로도 올바른 방법이 아닌 것이다.
이 외에도 줄기세포 연구의 가치와 문제점은 여러 가지 범주를 통하여 비교해볼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단순히 비교하는 데 까지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두 가지 가치의 비교를 통해 그 장점을 최대로 하고 단점을 최소화하는 방안에 대하여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점에 대한 충분한 논의는 ‘줄기세포 연구가 과연 먼 미래에도 인류의 희망이 될 수 있을 것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그럴싸한 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3. 올바른 방향의 제시 및 결론
줄기세포 연구는 인류의 밝은 미래를 위해서 불가피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눈앞의 미래가 아닌 더 먼 미래를 생각해보면 줄기세포 연구가 오히려 인류의 재앙이 될 수도 있다. 가까운 미래에는 난치병 치료에의 이용 등으로 인류의 희망이 될 수 있지만, 인간 복제에 이용되는 등의 사회적 악용 가능성에 대하여 생각해보면 오히려 먼 훗날에는 인류의 재앙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이를 무조건 찬성하거나 또는 그 문제점만을 들어 무조건 반대할 수는 없다. 따라서 이에 대한 올바른 해결을 위해서는 무작정 줄기세포 연구를 진행하기 전에 선행되어야 할 것들이 있다. 우선 체계적이고 엄격한 법률을 제정하는 등의 방안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는 과학자들을 감시하는 도구를 마련해야 한다. 이를 통해 인간 복제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구를 진행하기 전에 분열되어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통합시키기 위하여 연구를 반대하는 종교계나 윤리적 입장을 고수하는 사람들을 설득하는 작업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앞에서 줄기세포의 정의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뒤, 그 가치와 문제점에 대하여 알아보고 그것을 비교함으로써 ‘줄기세포 연구가 과연 먼 미래에도 인류의 희망이 될 수 있을 것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올바른 방향을 제시해 보려고 했다. 물론 깊이 있는 논의로 이어지지는 못했지만 줄기세포 연구에 대하여 작은 지식이라도 쌓고, 연구가 향해야 하는 올바른 방향을 제시해보려고 노력했다는 데 그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팀플을 하면서 느낀 점>-
김수진 : 굉장히 힘들었다. 조원들 간의 의견 차이를 좁혀가는 문제부터 보고서를 작성하는 과정까지 절대 쉽게 이루어 진 작업이 없었다. 그래도 이렇게 완성된 보고서를 보니 기분이 뿌듯하다.
김은호 : 평소에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고, 더 이상 어떠한 논의가 필요하지 않다고까지 생각했었던 줄기세포에 대하여 팀원들과 다시 한 번 짚어 보면서 전보다 많은 걸 배우고 느꼈습니다. 처음 보는 사람들과 일을 누고 자료를 공유하면서 부딪치는 점도 도움이 큰 점도 있었기에 팀플의 또 다른 묘미를 다시 한 번 느꼈습니다. 좋은 험을 할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유리나 : 전공과 상관없는 줄기세포 분야에 관심을 가질 수 있게 되었고, 줄기세포 연구가 단순히 과학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종교 윤리적인 관점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유진아 : 무엇하나 쉬운 것이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가 좀 더 살기 위해서는 그렇게 위험한 일, 그리고 희생을 감수해야 하는 것일까. 연구와 윤리가 대립되는 현실이 조금 슬프게 느껴졌다.
장인지 : 원래 팀플이라는 것이 여러 사람이 모여서 합의점을 찾고, 또 그만큼 서로의 시간을 할애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렵기도 하고 힘든 점이 많았지만, 끝나고 나면 언제나 그렇듯 배운 점도 많았다는 생각이 듭니다.
< 참고 문헌 >
1. 톰슨이 들려주는 줄기세포 이야기 (지은이: 황신영)
2. 줄기세포, 생명공학의 위대한 도전 ( 지은이: 박세필 외 5명 )
3. 줄기세포(세계를 놀라게 한 실험부터 새로운 생명 정치학까지) ( 지은이: 크리스토퍼 토머스 스콧 )
- 관련 사이트
http://bric.postech.ac.kr/issue/stemcell.html
③ 과학적 가치 vs 종교적 가치
줄기세포 연구를 통하여 과학은 더욱 진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순히 생명과학의 진보로만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난치병 치료라는 의료적 목적까지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볼 때, 그 과학적 가치는 엄청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줄기세포 연구를 반대하는 집단에서 내세우는 종교, 윤리적 가치의 입장에서 보면 하나의 잠재적 생명체인 배아를 파괴하면서 살아있는 생명을 살리는 것은 큰 의미가 없을뿐더러 윤리적으로도 올바른 방법이 아닌 것이다.
이 외에도 줄기세포 연구의 가치와 문제점은 여러 가지 범주를 통하여 비교해볼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단순히 비교하는 데 까지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두 가지 가치의 비교를 통해 그 장점을 최대로 하고 단점을 최소화하는 방안에 대하여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점에 대한 충분한 논의는 ‘줄기세포 연구가 과연 먼 미래에도 인류의 희망이 될 수 있을 것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그럴싸한 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3. 올바른 방향의 제시 및 결론
줄기세포 연구는 인류의 밝은 미래를 위해서 불가피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눈앞의 미래가 아닌 더 먼 미래를 생각해보면 줄기세포 연구가 오히려 인류의 재앙이 될 수도 있다. 가까운 미래에는 난치병 치료에의 이용 등으로 인류의 희망이 될 수 있지만, 인간 복제에 이용되는 등의 사회적 악용 가능성에 대하여 생각해보면 오히려 먼 훗날에는 인류의 재앙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이를 무조건 찬성하거나 또는 그 문제점만을 들어 무조건 반대할 수는 없다. 따라서 이에 대한 올바른 해결을 위해서는 무작정 줄기세포 연구를 진행하기 전에 선행되어야 할 것들이 있다. 우선 체계적이고 엄격한 법률을 제정하는 등의 방안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는 과학자들을 감시하는 도구를 마련해야 한다. 이를 통해 인간 복제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구를 진행하기 전에 분열되어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통합시키기 위하여 연구를 반대하는 종교계나 윤리적 입장을 고수하는 사람들을 설득하는 작업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앞에서 줄기세포의 정의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뒤, 그 가치와 문제점에 대하여 알아보고 그것을 비교함으로써 ‘줄기세포 연구가 과연 먼 미래에도 인류의 희망이 될 수 있을 것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올바른 방향을 제시해 보려고 했다. 물론 깊이 있는 논의로 이어지지는 못했지만 줄기세포 연구에 대하여 작은 지식이라도 쌓고, 연구가 향해야 하는 올바른 방향을 제시해보려고 노력했다는 데 그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팀플을 하면서 느낀 점>-
김수진 : 굉장히 힘들었다. 조원들 간의 의견 차이를 좁혀가는 문제부터 보고서를 작성하는 과정까지 절대 쉽게 이루어 진 작업이 없었다. 그래도 이렇게 완성된 보고서를 보니 기분이 뿌듯하다.
김은호 : 평소에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고, 더 이상 어떠한 논의가 필요하지 않다고까지 생각했었던 줄기세포에 대하여 팀원들과 다시 한 번 짚어 보면서 전보다 많은 걸 배우고 느꼈습니다. 처음 보는 사람들과 일을 누고 자료를 공유하면서 부딪치는 점도 도움이 큰 점도 있었기에 팀플의 또 다른 묘미를 다시 한 번 느꼈습니다. 좋은 험을 할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유리나 : 전공과 상관없는 줄기세포 분야에 관심을 가질 수 있게 되었고, 줄기세포 연구가 단순히 과학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종교 윤리적인 관점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유진아 : 무엇하나 쉬운 것이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가 좀 더 살기 위해서는 그렇게 위험한 일, 그리고 희생을 감수해야 하는 것일까. 연구와 윤리가 대립되는 현실이 조금 슬프게 느껴졌다.
장인지 : 원래 팀플이라는 것이 여러 사람이 모여서 합의점을 찾고, 또 그만큼 서로의 시간을 할애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렵기도 하고 힘든 점이 많았지만, 끝나고 나면 언제나 그렇듯 배운 점도 많았다는 생각이 듭니다.
< 참고 문헌 >
1. 톰슨이 들려주는 줄기세포 이야기 (지은이: 황신영)
2. 줄기세포, 생명공학의 위대한 도전 ( 지은이: 박세필 외 5명 )
3. 줄기세포(세계를 놀라게 한 실험부터 새로운 생명 정치학까지) ( 지은이: 크리스토퍼 토머스 스콧 )
- 관련 사이트
http://bric.postech.ac.kr/issue/stemcell.html
추천자료
MPTP 투여 마우스에서 도파민신경세포의 퇴행에 관한 연구
[인간복제]배아줄기연구의 가능성과 한계(잉여배아 활용과 배아복제의 비교)
줄기 세포의 의학적 중요성 및 활용 예 사회적 의미
황우석 교수의 인간 체세포 복제연구의 사회,윤리적 문제점에 대한 고찰 및 방안
[생명공학]체세포핵이식 연구에 대한 국제적 동향분석
뇌내 substantia nigra의 신경세포 및 신경망에 미치는 zinc 이온의 조절 메커니즘에 대한 전...
양파 표피 세포 관찰을 통한 연구
줄기 세포란?
생물의 특성과 세포의 연구
간세포암 사례연구
비소세포암(NSCLCa) 사례연구보고서, 케이스스터디
황우석 박사의 인간체세포 배아복제 연구의 문제점 및 나아갈 방향 (생명과 환경)
[식물, 식물 식물세포 구조, 식물 꽃 구조, 식물 줄기 구조, 식물 잎 구조, 식물 뿌리 구조, ...
현미경을 이용한 세포연구에 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