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발효음식의 특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계의 발효음식의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세계 30개국의 발효음식

2. 한국의 발효음식

3. 중국의 발효음식

4. 일본의 발효음식

본문내용

수 있는데 지역에 따라서 맛, 향기, 색 등이 다름.
Wine : 와인 종주국답게 프랑스에는 유명 브랜드 와인들이 수없이 많지만 그중 보르도, 보르도 중 에서도 메독 지역은 레드 와인의 대명사 같은 곳임. 메독 외 소테른 지역에서 포도나무 한 그루에서 한 잔의 와인이 만들어진다는 샤토 디켐(Chaateau d’Yquem),샤토 쿠테(Chateau Coutet)도 유명함.
4. 그리스
Oujo : 포도주의 포도껍질을 다시 압축해 향료를 첨가하는 소주와 같은 전통적인 술로 진한 향기 가 남.
Feta cheese : 그리스의 대표적인 치즈로 조직에 작은 구멍이 있음.
Trahanas : 밀가루를 발효시키거나 양젖을 발효시켜 끓여 건조하여 비스킷 모양으로 저장시켜 저 장성을 높인 것으로 뜨거운 물이나 육즙을 넣어 스프의 형태로 먹음.
5. 스페인
Jamon : 전통적으로 공기가 맑고 수분이 적절하며 바람이 찬 스페인 산악지방에서 생산되는 대표 적인 저장육류제품으로 돼지 뒷다리를 소금에 절여 6개월가량 발효시켜 만듦.
6. 네덜란드
Gouda cheese : 수분함량이 적은 하드치즈로 담황색 또는 버터 빛깔을 뛰며 부드러운 맛이 특징.
7. 스위스
Emmentaler cheese : 에멘탈 지방에서 유래되었으며 스위스의 대표적인 치즈.
8. 이탈리아
Salammi : 마늘 양념을 하여 발효, 건조시킨 이탈리아의 소시지.
Chiabatta : 이스트를 넣고 반죽하여 올리브 오일을 발라 발효시킨 후 얇고 넓게 성형해 구워내는 빵.
balsamic vineger : \'향기가 좋다‘는 의미로 이름 그대로 향이 좋고 깊은 맛을 지닌 최고급 포도식 초.
와인 : 생산 기법에 있어서 세계에서 가장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어서 매년 질 좋은 와인이 생산.
9. 영 국
Cheddar cheese : 머싯주 남서부 체더 마을의 이름을 따서 만든 수분함량이 적은 천연치즈로 크 림색의 온화한 산미가 있고 독특한 단맛과 향을 냄.
Worcester sauce : 육류, 생선요리에 사용하는 간장색의 소스로 시고 짠 맛이 남.
10. 불가리아
요구르트 : 소나 산양의 젖을 초벌구이 항아리에서 저온 발효시켜 만든 것이 특징으로 코카스 지 방에서 오래전부터 제조하고 있는 발효유.
Butter milk : 버터 제조시에 나오는 부산물로서 지방함량은 약 0.5%로 레시틴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신맛이 나는 음료.
11. 독 일
Sauerkraut : 독일식 김치로 주로 기름기 많은 고기요리와 함께 먹음.
Beer : 독일의 대표적인 술로 보리와 호프, 물만 사용하여 제조하는 순수한 맥주.맥주는 대맥을 발아하여 이것을 당화하여 호프를 가하여 효모로 발효시킨 것으로 세계에서 가장 널리 가 장 다량으로 마시고 있는 알콜 음료임.
12. 러시아
Keffir : 카프카스의 산악지대에서 응용되는 발포성 발효유.
Koumiss : 말 젖으로 만든 발효유로 캐피어와 비슷하나 알코올 성분이 많음.
<<4>> 아시아 대륙
1. 티 벳
Chura : 낙타 젖에서 만든 발효유에 소맥분을 섞어 건조한 고형의 제품.
Chang : 우리나라의 막걸리와 같은 전통술로 곡류를 발효시켜서 만듦.
2. 인도네시아
Tempe : 대표적인 콩 발효식품으로 곰팡이에 의해 단단하게 만들어지는 특징이 있다. 생으로 먹 지 않고, 간장을 발라 굽거나 얇게 썰어서 기름에 튀기던가 스프에 넣어서 먹음. 예전에 는 자바 사람들이 먹었다고 함. 콩을 물에 불려 밟아서 껍질을 벗긴다. 껍질을 벗겨야만 템페의 발효균인 라이조프스 곰팡이가 잘 자라기 때문이다. 익힌 콩에는 템페의 종균에 해당하는 “라기”를 조금 섞어서 하이비스카나 티크나무 잎의 뒷면에 펴고 그 위에 또 하
나의 잎의 뒷면이 콩에 닿도록 덮는다. 여러 층으로 포갠 다음 30℃ 정도에서 2일간 발 효시킨다. 발효된 템페는 마치 한국의 콩떡에 비유할 수 있을 만큼 콩 사이사이에 백색 곰팡이가 꽉 들어차서 단단한 상태가 됨. 청국장류는 세균에 의해서 끈적끈적하게 만들 어진 반면, 템페는 곰팡이에 의해서 단단하게 만들어진 점이 다름.
Oncom/Ontjom : 땅콩이나 대두박 발효식품으로 적색과 회색이 있고 과일과 같은 향기가 나며 얇 게 썰어 튀기거나 볶거나 수프에 넣어 먹음. 땅콩이나 땅콩에서 기름을 짜고 남 은 박을 뉴로스포라 시토필라로 발효시킨 식품이다. 온쫌의 생산량은 템페에 비 해서는 적은 편이나 역사적으로는 템페와 마찬가지로 오래되고, 현재에도 각 가 정에서 만들어 먹음.
3. 필리핀
Puto : 찹쌀을 발효시켜 만든 찐빵
Tapuy : 쌀 양조주로 최초의 독 밑에 모인 액체를 퍼내어 마시고 다음에는 대나무 산대 미로 여과하여 마심.
Atchara : 과실산 발효식품으로 미숙과 파파야절임.
4. 터 키
Taki : 아니스(향신료)향이 나는 터키의 토속주로 물을 타면 우유빛으로 변하기 때문에 ‘사자의 젓’ 이라고도 불림.
아이란 : 양젖을 발효시켜 물과 소금을 섞어 만든 신맛이 강한 음료.
5. 네 팔
Kinema : 동부 산악지대에 사는 기라토 족들이 즐겨 먹는 청국장류의 일종. 동부 산악지대에 사는 기라토족들이 즐겨 먹는 키네마는 일종의 청국장류라고 볼 수 가 있는데, 주로 겨울에 만 들어 먹는다. 콩을 하룻밤 물에 불린 후 삶아 두들겨서 으깬 다음 소량의 재를 넣고 손으 로 잘 섞은 후 대바구니에 담아 바나나 잎으로 덮어 실온에서 하룻밤 띄우고, 햇볕에 잘 말리면 키네마가 완성됨. 식용방법을 보면 키네마는 기름과 스파이스, 소금및 채소와 함께 끓여서 이틀에 한번 정도로 자주 먹는다. 한국의 청국장찌개와 비슷하지만 키네마는 청국 장 보다 더 강력한 냄새가 남.
기타 무염대두 발효식품
: 식김의 간도 크지방의 바류.
: 부탄서부의 네팔계 부탄인들의 바다마스.
: 임빠루의 빈, 후가스.
: 비루마 접한지역의 아꾸니.
: 나가의 자야쓰.
: 비루마의 배보.
6. 베트남
Nuoc nam : 바다 생선을 몇 달 동안 소금에 삭혀서 만든 장으로 베트남의 거의 모든 요리에 들어 감.
7. 부 탄
Llibi-iba : “콩이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06.12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46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