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의 대외관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송의 대외관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북송 - 요와 서하의 대두
(1) 요
(2) 서하
(3) 대고려 정책
(4) 대서역 정책

3. 남송과 금 - 남북조의 재현
(1) 금
(2) 고려와의 관계

4. 몽고제국과 남송의 멸망
(1) 몽고제국의 성립과 남송의 멸망
(2) 몽고제국과 남송의 외교접촉과정

5. 맺음말

본문내용

반신불수의 상태에 빠져버리기 때문에 남송측에서도 정예군사를 결집시켜 방어선을 구축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양측의 군대는 이 곳에서 5년간에 걸쳐 격렬한 공방전을 전개했다. 오랜 공방전에 결말을 지은 것은 원군의 신병기, 회회포(回回砲)의 위력이었다. 그토록 견고했던 요새도 이 신병기 앞에 무너져 1273년 마침내 수비대는 성문을 열고 원의 군대에게 항복했다.
양양이 함락되자 원군은 일거에 양자강까지 도달한 후 수상부대가 양자강 양측의 육군과 호응하여 파죽지세로 강을 따라 남하했다. 남송의 주력군은 남경인근의 무호에서 이를 맞아 일전을 벌였지만 원군의 총공격 앞에 궤멸해버렸다. 이윽고 원의 대군이 임안에 나타나자 조정은 당황하여 수습할 수 없는 혼란에 빠졌다. 그리하여 1276년 정월 마침내 남송은 무조건 항복을 했다.
3. 맺음말
지금까지 송의 대외관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송대는 그 전 수당시기에 비하면 중원의 힘이 매우 약화되고 북방의 각 민족들과의 대외관계에 있어서 불리한 위치로 밀리기도 한 시기였으며 공세적 입장에서 수세적 입장으로 몰리기도 하였다. 북송은 오대십국의 분열 형국을 종식시켜 하나의 통치권으로 수렴하는 데에는 일단 성공하였으나 각 북방민족의 흥기에 발 빠르게 대응해야했고 북방 민족에 밀려 남송으로 쫓겨나고 멸망에 이르기까지 하였다. 송대는 소위 정복왕조의 시대와도 맞물리는 시기로 변화하는 정세에 대응하기 위하여 송은 각국과 우방관계를 형성하거나 전투태세로 들어가는 등 이 시기에는 복잡 다양한 대외관계가 형성되었다. 따라서 송은 다양한 대외정책을 전개하는데 이 정책들의 성공여부는 한마디로 단정하기는 힘들다. 대요정책에 있어서는 지속적인 평화를 위해 맹을 맺고 화평을 유지하기는 하나 연운 16주를 탈환하지 못하고 공세적 입장에서 수세적이며 소극적인 자세로 바뀌었다. 또 금과 동맹하여 평화관계에 있던 요를 공략하는 군사외교적 실수를 범하기도 했고 결과적으로 이민족에 의해 북송, 남송이 멸망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북방 민족과의 갈등을 다른 여러 국가와 우호관계를 유지함으로써 만회하고자 대고려, 서역 정책을 펼쳤고 이 정책들이 비록 모두 성공하지는 못하였다고 하나 부단히 세력균형관계를 유지하며 활발한 무역 관계를 이끌어갔던 것은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강길중, <南宋과 高麗의 政治外交와 貿易關係에 대한 고찰>, <<慶熙史學>>16 ,慶熙大學校 史學會, 1991.
김위현, <北宋의 對西域 政策>,<<明知史論>> 2, 明知大學校 人文大學 史學會, 1998.
박원길 ,<대몽골제국과 南宋의 외교관계 분석 : 칭기스칸 시대를 중심으로>, <<中央史論>>, 中央大學校 史學硏究會, 1999.
신태광, <北宋 變法期의 對高麗政策>, <<東國史學>> 37, 東國大學校 史學會, 2002.
안준광, <北宋初期 對外政策의 基調>, <<渭堂申採湜敎授停年紀念, 一名, 宋代史硏究論叢>>, 三知院, 2000.
신채호, <<동양사개론>>, 삼영사, 1993.
중국사연구회, 『中國歷史』下, 신서원, 1993.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6.16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53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