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1. 서론
1.1 정의------------------------------------------------------------
1.2 실험목적 및 방법---------------------------------------------
2.이론
2.1 액체의 증기압----------------------------------------------------
2.2 증기압 측정방법---------------------------------------------
2.3 증기압 방정식-----------------------------------------------
2.4 증발열-----------------------------------------------------------
2.5 Clapyeron식------------------------------------------------------
2.6 Clausius-clapeyron식---------------------------------------
2.7 최소자승법-------------------------------------------------------
2.8 유효숫자--------------------------------------------------------
2.9 클라지우스((Rudolf Julius Emanuel Clausius 1822~1888)-------
3. 실험
3.1 실험재료--------------------------------------------------------
3.2 실험장치--------------------------------------------------------
3.3 장치 설명 및 사용시 유의점---------------------------------
4. 실험절차
4.1 실험방법--------------------------------------------------------
4.2 다른 실험방법----------------------------------------------------
5. 결과
5.1 실험결과--------------------------------------------------------
5.2 계산-----------------------------------------------------------
6. 결론-------------------------------------------------
7. 주의사항----------------------------------------------
8. 고찰-------------------------------------------------
9. 사용식과 부호
9.1 사용식----------------------------------------------------------
9.2 사용부호--------------------------------------------------------
10. 참고문헌---------------------------------------------
1. 서론
1.1 정의------------------------------------------------------------
1.2 실험목적 및 방법---------------------------------------------
2.이론
2.1 액체의 증기압----------------------------------------------------
2.2 증기압 측정방법---------------------------------------------
2.3 증기압 방정식-----------------------------------------------
2.4 증발열-----------------------------------------------------------
2.5 Clapyeron식------------------------------------------------------
2.6 Clausius-clapeyron식---------------------------------------
2.7 최소자승법-------------------------------------------------------
2.8 유효숫자--------------------------------------------------------
2.9 클라지우스((Rudolf Julius Emanuel Clausius 1822~1888)-------
3. 실험
3.1 실험재료--------------------------------------------------------
3.2 실험장치--------------------------------------------------------
3.3 장치 설명 및 사용시 유의점---------------------------------
4. 실험절차
4.1 실험방법--------------------------------------------------------
4.2 다른 실험방법----------------------------------------------------
5. 결과
5.1 실험결과--------------------------------------------------------
5.2 계산-----------------------------------------------------------
6. 결론-------------------------------------------------
7. 주의사항----------------------------------------------
8. 고찰-------------------------------------------------
9. 사용식과 부호
9.1 사용식----------------------------------------------------------
9.2 사용부호--------------------------------------------------------
10. 참고문헌---------------------------------------------
본문내용
만일 과냉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그 범위 내에서 가장 낮은 온도가 액체의 빙점이 된다. 비점의 의의에서 보면 앞에서 말한바와 같이 비점에 주는 압력의 영향을 같은 모양의 곡선으로써 나타낼 수 있다.
온도에 따르는 증기압의 변화는 처음에 클라페이론(1834)에 의하여 열역학적 방법으로 유도되고 후에 클라우지우스(1850)에 의하여 발전된 식에 넣어 생각하는 것이 제일 좋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써 클라페이론의 방정식(Cyapeyron equation)을 쓰면 다음과 같다.
= = (2.1)
여기서 dp/dT는 온도에 따르는 증기압의 변화율을 말하는데 이것은 온도에 대한 증기압 곡선이다.
Lv는 액체의 몰 증발열이고 Vv와 Vl은 증기와 액체의 몰 용적이므로 절대온도 T에서는 dp/dt는 정하여져 버린다. 분자량을 M라 하고 액체 1그람에 대한 증발열을 lv라고 하면 몰 증발열 Lv는 M×lv 이다. 그리고 몰 용적 Vv와 Vl은 증기와 액체 각 그림의 용적 vv와 vl에 분자량 M을 곱한 값과 같다. 따라서 식(2.1)은 다음과 같이 쓰여진다.
= (2.2)
클라페이론의 방정식은 여러 가지의 관련성이 있다는 것에 중요성이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온도에 따르는 증기압의 변화율을 알면 그 온도 때의 액체의 증발열을 계산할 수 있다. 반대로 잠열(증발열)을 알면 온도에 따르는 증기압의 변화율 다시 말하면 압력에 따르는 비점의 변화를 계산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실험에서는 액체의 증기압을 여러 가지 온도에서 측정한다. 증발열을 Clausius - Clapeyron 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온도가 올라가면 많은 분자들이 충분한 에너지를 얻어 액체 표면으로부터 이탈함으로 액체의 증기압은 증가한다. 증기압이 액체의 외압과 같을 때 액체는 끓는다. 증기압이 760㎜Hg일 때의 온도가 표준 끓는점이다.
Clapeyron 방정식에 의하면 액체의 증기압의 온도계수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2.3)
ΔHVAP : 온도 T에서의 증발 엔탈피
Vv, Vt : 증기 및 액체의 몰부피
2.6 Clausius - Clapeyron 식
ln P = - + constant (3.1)
은 다음 세 가정에 의하여 식 (2.3)에서 유도된다.
(a) 1몰의 액체의 부피는 포화압에서는 1몰의 증기의 부피에 비하여
무시될 수 있다.
(b) 증기는 이상기체로 행동한다.
(c) 증발엔탈피는 온도에 무관하다.
식(2)로 실험자료를 쉽게 해석할 수 있지만, 이 식으로 계산된 ΔHVAP의 값은 직접 열용계로 측정된 갑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더욱 정확한 값은 다음과 같이 유도된 보다 정확한 식을 써서 구할 수 있다.
Clapeyron 식의 부피요소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는데
Vv - Vt = Vv(1-) = (3.2)
여기의 Z는 증기의 압축률인자이다. 우변은 Clapeyron 식으로 유도되고 다음과 같이 변경된다.
= - (3.3)
또는
ln P = - + constant (3.4)
이 식은 완전식이나. 온도의 함수인 세 항, 즉 ΔHVAP, Z 및 (1-Vt/Vv)을 가지고 있다. 실험하려는 화합물의 P-V-T 자료를 가지고 있다면, 증발열은 식 (5)을 이용하여 lnP 대 1/T 곡선의 기울기로부터 계산된다. P-V-T 자료가 없더라도 임계상수만을 알고 있다면 Berthelot 식을 이용하여 상당히 정확한 양을 알 수 있다.
2.7 최소자승법
보간법에서는 자료점으로 주어진 값에오차가 없다는 가정하에서 모든 자료점을 지나는 보간 다항식을 구했다. 하지만 각각의 측정자료에 오차를 포함하고 있다면 측정 자료를 가장 잘 대표하는 함수를 구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만일 이 경우에도 측정 자료점을 모두 통과하는 함수를 찾으려하면 있어서는 안될 진동이 들어오게 된다.
측정한 실험자료로 그 자료 값들을 가장 잘 대표할 수 있는 함수를 구하는 방법 중 하나인 최소 자승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에서 함수치가 주어져있고 를 함수에 대한 근사함수라 하면, 이때 근사함수와 함수는 의 차이를 갖게 되는데 최소 자승법은 이들 차이의 제곱의 합,
(4.1)
을 최소가 되게 하는 근사함수를 구하는 방법이다.
만약 주어진 함수치 의 정확도가 서로 다를 때에 최소 자승법은
(4.2)
와 같이 에 가중인자 을 곱하여 계산한 을 최소가 되게 하는 를 찾는 문제로 수정할 수 있는데 이를 가중 최소 자승법이라 한다.
(4.3)
최소 자승법은 가 구간 에서 정의된 연속함수일 경우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최소 자승법은
를 최소되게 하는 를 구하는 문제이며, 여기서 는 구간 에서 인 가중함수이다. 대부분의 경우 취한다.
2.8 유효숫자
유효숫자(significant figure) 의 개수는 측정된 또는 계산된 양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숫자의 개수로, 첫 번째로 0이 아닌 숫자의 앞에 놓인 0은 제외한다. 염화나트륨 시료의 질량이 8.241g 으로 측정 되었고 불확실성은 0.001g으로 평가된다고 가정하자. 시료의 질량은 4개의 유효숫자를 갖는다고 말하는데 왜냐하면 처음의 세 숫자 (8, 2, 4)는 확실하고 네 번째 숫자 1에는 불확실성이 있지만 그래도 여전히 의미가 있다. 그렇지만 1다음에 추가로 더 숫자를 적는 것은 질량의 정확성을 향상시키지 않는다면 의미가 없다. 부피가 22.4ℓ로 기록될 때, 측정에서의 불확실성은 마지막 숫자에 있다. 예를 들면 V=(22.40.3)ℓ와 같은 신뢰한계의 의미를 지닌다. 반면에 22.43ℓ로 쓰여진 부피는 불확실성이 훨씬 작음을 암시하고 불확실성은 네 번째 유효숫자에서 나타난다.
같은 방식으로 20.000m로 적은 것은 20.0m로 적는 것과 매우 다르다. 세 개의 유효숫자를 갖는 두 번째의 측정값은 보통 미터자로 쉽게 얻을 수 있다. 다섯 개의 유효숫자를 갖는 첫 번째 측정값은 더욱 정밀한 방법을 필요로 한다. 그렇지만 결과 보고를 “700m”와 같이 하는 것을 피하도록 한다. 왜냐하면 뒤에 오는 두 개의 0이 유효할 수도 있고 유효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위의 값에서 불확실성은 1m 또는 10m 또는 100m일 수도 있다. 더 이상의 정보가 없이 불확실성을
온도에 따르는 증기압의 변화는 처음에 클라페이론(1834)에 의하여 열역학적 방법으로 유도되고 후에 클라우지우스(1850)에 의하여 발전된 식에 넣어 생각하는 것이 제일 좋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써 클라페이론의 방정식(Cyapeyron equation)을 쓰면 다음과 같다.
= = (2.1)
여기서 dp/dT는 온도에 따르는 증기압의 변화율을 말하는데 이것은 온도에 대한 증기압 곡선이다.
Lv는 액체의 몰 증발열이고 Vv와 Vl은 증기와 액체의 몰 용적이므로 절대온도 T에서는 dp/dt는 정하여져 버린다. 분자량을 M라 하고 액체 1그람에 대한 증발열을 lv라고 하면 몰 증발열 Lv는 M×lv 이다. 그리고 몰 용적 Vv와 Vl은 증기와 액체 각 그림의 용적 vv와 vl에 분자량 M을 곱한 값과 같다. 따라서 식(2.1)은 다음과 같이 쓰여진다.
= (2.2)
클라페이론의 방정식은 여러 가지의 관련성이 있다는 것에 중요성이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온도에 따르는 증기압의 변화율을 알면 그 온도 때의 액체의 증발열을 계산할 수 있다. 반대로 잠열(증발열)을 알면 온도에 따르는 증기압의 변화율 다시 말하면 압력에 따르는 비점의 변화를 계산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실험에서는 액체의 증기압을 여러 가지 온도에서 측정한다. 증발열을 Clausius - Clapeyron 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온도가 올라가면 많은 분자들이 충분한 에너지를 얻어 액체 표면으로부터 이탈함으로 액체의 증기압은 증가한다. 증기압이 액체의 외압과 같을 때 액체는 끓는다. 증기압이 760㎜Hg일 때의 온도가 표준 끓는점이다.
Clapeyron 방정식에 의하면 액체의 증기압의 온도계수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2.3)
ΔHVAP : 온도 T에서의 증발 엔탈피
Vv, Vt : 증기 및 액체의 몰부피
2.6 Clausius - Clapeyron 식
ln P = - + constant (3.1)
은 다음 세 가정에 의하여 식 (2.3)에서 유도된다.
(a) 1몰의 액체의 부피는 포화압에서는 1몰의 증기의 부피에 비하여
무시될 수 있다.
(b) 증기는 이상기체로 행동한다.
(c) 증발엔탈피는 온도에 무관하다.
식(2)로 실험자료를 쉽게 해석할 수 있지만, 이 식으로 계산된 ΔHVAP의 값은 직접 열용계로 측정된 갑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더욱 정확한 값은 다음과 같이 유도된 보다 정확한 식을 써서 구할 수 있다.
Clapeyron 식의 부피요소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는데
Vv - Vt = Vv(1-) = (3.2)
여기의 Z는 증기의 압축률인자이다. 우변은 Clapeyron 식으로 유도되고 다음과 같이 변경된다.
= - (3.3)
또는
ln P = - + constant (3.4)
이 식은 완전식이나. 온도의 함수인 세 항, 즉 ΔHVAP, Z 및 (1-Vt/Vv)을 가지고 있다. 실험하려는 화합물의 P-V-T 자료를 가지고 있다면, 증발열은 식 (5)을 이용하여 lnP 대 1/T 곡선의 기울기로부터 계산된다. P-V-T 자료가 없더라도 임계상수만을 알고 있다면 Berthelot 식을 이용하여 상당히 정확한 양을 알 수 있다.
2.7 최소자승법
보간법에서는 자료점으로 주어진 값에오차가 없다는 가정하에서 모든 자료점을 지나는 보간 다항식을 구했다. 하지만 각각의 측정자료에 오차를 포함하고 있다면 측정 자료를 가장 잘 대표하는 함수를 구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만일 이 경우에도 측정 자료점을 모두 통과하는 함수를 찾으려하면 있어서는 안될 진동이 들어오게 된다.
측정한 실험자료로 그 자료 값들을 가장 잘 대표할 수 있는 함수를 구하는 방법 중 하나인 최소 자승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에서 함수치가 주어져있고 를 함수에 대한 근사함수라 하면, 이때 근사함수와 함수는 의 차이를 갖게 되는데 최소 자승법은 이들 차이의 제곱의 합,
(4.1)
을 최소가 되게 하는 근사함수를 구하는 방법이다.
만약 주어진 함수치 의 정확도가 서로 다를 때에 최소 자승법은
(4.2)
와 같이 에 가중인자 을 곱하여 계산한 을 최소가 되게 하는 를 찾는 문제로 수정할 수 있는데 이를 가중 최소 자승법이라 한다.
(4.3)
최소 자승법은 가 구간 에서 정의된 연속함수일 경우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최소 자승법은
를 최소되게 하는 를 구하는 문제이며, 여기서 는 구간 에서 인 가중함수이다. 대부분의 경우 취한다.
2.8 유효숫자
유효숫자(significant figure) 의 개수는 측정된 또는 계산된 양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숫자의 개수로, 첫 번째로 0이 아닌 숫자의 앞에 놓인 0은 제외한다. 염화나트륨 시료의 질량이 8.241g 으로 측정 되었고 불확실성은 0.001g으로 평가된다고 가정하자. 시료의 질량은 4개의 유효숫자를 갖는다고 말하는데 왜냐하면 처음의 세 숫자 (8, 2, 4)는 확실하고 네 번째 숫자 1에는 불확실성이 있지만 그래도 여전히 의미가 있다. 그렇지만 1다음에 추가로 더 숫자를 적는 것은 질량의 정확성을 향상시키지 않는다면 의미가 없다. 부피가 22.4ℓ로 기록될 때, 측정에서의 불확실성은 마지막 숫자에 있다. 예를 들면 V=(22.40.3)ℓ와 같은 신뢰한계의 의미를 지닌다. 반면에 22.43ℓ로 쓰여진 부피는 불확실성이 훨씬 작음을 암시하고 불확실성은 네 번째 유효숫자에서 나타난다.
같은 방식으로 20.000m로 적은 것은 20.0m로 적는 것과 매우 다르다. 세 개의 유효숫자를 갖는 두 번째의 측정값은 보통 미터자로 쉽게 얻을 수 있다. 다섯 개의 유효숫자를 갖는 첫 번째 측정값은 더욱 정밀한 방법을 필요로 한다. 그렇지만 결과 보고를 “700m”와 같이 하는 것을 피하도록 한다. 왜냐하면 뒤에 오는 두 개의 0이 유효할 수도 있고 유효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위의 값에서 불확실성은 1m 또는 10m 또는 100m일 수도 있다. 더 이상의 정보가 없이 불확실성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