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염색체의 배수성과 이수성
2. 반수체의 작성과 이용
3. 동질배수체의 작성과 이용
4. 이질배수체의 작성과 이용
2. 반수체의 작성과 이용
3. 동질배수체의 작성과 이용
4. 이질배수체의 작성과 이용
본문내용
다른 2종을 교잡한 후 그 F1의 염색체를 배가하여 복 2배체를 만드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이다. 즉 AA x BB → AB 콜히친 처리로 염색체 배 가 → AABB.
복2배체는 양친의 유전자군을 그대로 함유하고 있으므로 형질은 양친의 중간형을 나타내 지만 때로는 양친의 유전자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양친과 매우 다른 변이를 나타내 는 수도 있다. 감수분열에 있어서도 정상적이므로 임성도 있어서 새로운 종이라고 할 수 있다.
(나). 복2배체의 육종적 이용
이질배수체는 화훼류의 육종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복이배체로 신식물이 창성되기도 한다. 밀*호밀→트리티케일, 배추*양배추→하쿠란, 백람,
* triticale *
* 씨없는 수박 *
4배체 수박(♀) 보통 수박(2배체,♂)
3배체 수박(씨 없는 수박)
복2배체는 양친의 유전자군을 그대로 함유하고 있으므로 형질은 양친의 중간형을 나타내 지만 때로는 양친의 유전자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양친과 매우 다른 변이를 나타내 는 수도 있다. 감수분열에 있어서도 정상적이므로 임성도 있어서 새로운 종이라고 할 수 있다.
(나). 복2배체의 육종적 이용
이질배수체는 화훼류의 육종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복이배체로 신식물이 창성되기도 한다. 밀*호밀→트리티케일, 배추*양배추→하쿠란, 백람,
* triticale *
* 씨없는 수박 *
4배체 수박(♀) 보통 수박(2배체,♂)
3배체 수박(씨 없는 수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