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주체사상의 내용
* 주체사상의 실천적 문제점
○ 주체사상의 역사(형성과 전개 과정)
제3장 주체사상과 유일체제
* 주체사상의 실천적 문제점
○ 주체사상의 역사(형성과 전개 과정)
제3장 주체사상과 유일체제
본문내용
명적 의리와 동지애가 가장 숭고한 높이에서 표현되는 것도 “수령과 전사들 사이의 관계”라고 주장한다. 즉 개인들 사이에서도 혁명적 의리와 동지애가 작용하지만 그 어느 개별적인 성원도 사회정치적 집단의 생명의 중심으로 될 수 없기 때문에 그들 사이의 혁명적 의리와 동지애는 절대적인 것으로는 될 수 없으며 오직 사회정치적 생명체의 최고 뇌수로서 집단의 생명을 대표하r 있는 수령에 대한 혁명적 의리(충실성)와 동지애만이 절대적이고 무조건적이라는 것이다.
결국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은 자기체제를 유지하기 위해서 혁명적 의리와 동지애라는 그들만의 도덕률을 창출해내고 있는 것이다.
(2) 문제점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은 수령에 대한 충실성, 혁명적 동지애, 혁명적 의리, 수령에의 충성과 효성 등이 보여주듯이 새로운 것이라깁다는 전통적 봉건적 개념과 사회주의적 도덕률을 착종시킨 것이다. 명백하게 봉건과 현대를 착종해놓은 이러한 개념들은 오늘날 북한사회라는 ‘사회주의 대가정’의 도덕률로서 학습, 선전, 교육 등을 통해서 전체사회에 주입되고 있다. 그리고 공동운명체를 구실로 수령지도의 오류 문제가 제기될 수 있는 여지를 봉쇄하고 있으며 지도에 대한 대중적 평가를 이론 구성에서 배제함으로써 이를 원천적으로 막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제2절 주체사상과 유일체제
1. 주체사상과 유일체제의 관계
우리는 흔히 주체사상이 북한의 유일체제를 규정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인과론적으로 볼 때 통치이데올로기로서 주체사상은 그것이 현재의 체제를 규정하기 전에 유일체제가 이 사상을 자신에게 복무하도록 굴절시킨 것이 선행되었다. 다시 말해서 주어진 권려과 제도가 자신을 합리화하기 위해서 주체사상을 변화시켜온 것이다. 즉, “주체사상의 담론으로서의 유일체제”가 아니라 “유일체제의 담론으로서 주체사상”이 선행된 것이다. 그러나 유일체제의 합리화 담론으로 굴절된 주체사상은 체제를 또 역으로 규정해왔다. 이로써 주체사상은 체제 도구의 사상에서 체제 목저으로의 사상으로 상승해왔다.
2. 주체사상의 체제 규정성
1) ‘자주적 테제’
주체사상의 자주성 테제는 유일체제의 자기정체성 확보와 대내적 단결력 증대의 중요한 사상적 동인이 되고 있다.
주체사상의 핵심테제인 ‘자주적 입장의 견지’는 당과 국가활동의 기본적인 지도원칙으로 작용하고 있다. 자주적 입장은 “매개 나라 당과 국가가 혁명과 건설에서 나서는 모든 문제를 자신의 독자적인 판단과 결심에 따라 자기 인민의 이익에 맞게 처리하며 자기의 문제는 어디까지나 자신이 책임지고 자체의 힘으로 해결해나가는 입장”을 말하는 것으로 북한사회의 최고 명제라고 할 수 있다.
주체사사의 지도적 원칙에 나타나는 경제에서 자립은 자력갱생의 기치하에 정치에서 자주와 밀접히 연관되면서 북한 경제의 기본노선이 되고 있다. 그렇지만 전반적으로 볼 때, 북한 경제는 자기완결성을 가지는 자립경제구조를 지향하였고, 그 결과 자력갱생의 기초인 중공업 분야를 집중 육성해왔다. 그러다 보니 북한경제에서 국제분업은 부차적인 관심에 그쳐왔다.
주체사상에 기초한 자주성 테제는 다음과 같은
결국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은 자기체제를 유지하기 위해서 혁명적 의리와 동지애라는 그들만의 도덕률을 창출해내고 있는 것이다.
(2) 문제점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은 수령에 대한 충실성, 혁명적 동지애, 혁명적 의리, 수령에의 충성과 효성 등이 보여주듯이 새로운 것이라깁다는 전통적 봉건적 개념과 사회주의적 도덕률을 착종시킨 것이다. 명백하게 봉건과 현대를 착종해놓은 이러한 개념들은 오늘날 북한사회라는 ‘사회주의 대가정’의 도덕률로서 학습, 선전, 교육 등을 통해서 전체사회에 주입되고 있다. 그리고 공동운명체를 구실로 수령지도의 오류 문제가 제기될 수 있는 여지를 봉쇄하고 있으며 지도에 대한 대중적 평가를 이론 구성에서 배제함으로써 이를 원천적으로 막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제2절 주체사상과 유일체제
1. 주체사상과 유일체제의 관계
우리는 흔히 주체사상이 북한의 유일체제를 규정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인과론적으로 볼 때 통치이데올로기로서 주체사상은 그것이 현재의 체제를 규정하기 전에 유일체제가 이 사상을 자신에게 복무하도록 굴절시킨 것이 선행되었다. 다시 말해서 주어진 권려과 제도가 자신을 합리화하기 위해서 주체사상을 변화시켜온 것이다. 즉, “주체사상의 담론으로서의 유일체제”가 아니라 “유일체제의 담론으로서 주체사상”이 선행된 것이다. 그러나 유일체제의 합리화 담론으로 굴절된 주체사상은 체제를 또 역으로 규정해왔다. 이로써 주체사상은 체제 도구의 사상에서 체제 목저으로의 사상으로 상승해왔다.
2. 주체사상의 체제 규정성
1) ‘자주적 테제’
주체사상의 자주성 테제는 유일체제의 자기정체성 확보와 대내적 단결력 증대의 중요한 사상적 동인이 되고 있다.
주체사상의 핵심테제인 ‘자주적 입장의 견지’는 당과 국가활동의 기본적인 지도원칙으로 작용하고 있다. 자주적 입장은 “매개 나라 당과 국가가 혁명과 건설에서 나서는 모든 문제를 자신의 독자적인 판단과 결심에 따라 자기 인민의 이익에 맞게 처리하며 자기의 문제는 어디까지나 자신이 책임지고 자체의 힘으로 해결해나가는 입장”을 말하는 것으로 북한사회의 최고 명제라고 할 수 있다.
주체사사의 지도적 원칙에 나타나는 경제에서 자립은 자력갱생의 기치하에 정치에서 자주와 밀접히 연관되면서 북한 경제의 기본노선이 되고 있다. 그렇지만 전반적으로 볼 때, 북한 경제는 자기완결성을 가지는 자립경제구조를 지향하였고, 그 결과 자력갱생의 기초인 중공업 분야를 집중 육성해왔다. 그러다 보니 북한경제에서 국제분업은 부차적인 관심에 그쳐왔다.
주체사상에 기초한 자주성 테제는 다음과 같은
추천자료
신약성경 로마서의 중심사상과 내용기술
박정희의 행보와 사상에 대해 살펴보고, 그의 경제정책이 현 경제시점의 주요 문제점과 유기...
[교육사] 루소에 대하여 - 생애, 사상, 교육방법, 문제점, 영향
[불교][불교사상][연기사상][연기][불교 연기사상의 분류][불교 연기사상의 내용][초기불교의...
에라스무스와 루터의 교육 사상과 내용 및 방법
실학사상의 내용과 특징
듀이 교육 사상 내용 요약
[경국대전, 경국대전 의미, 경국대전 역사, 경국대전 의의, 경국대전 사상적 기초]경국대전의...
[사회보장기본법] 사회보장기본법의 의미·입법배경과 연혁·개정 & 사회보장기본법의 개...
[보육학개론]보육의 유형 - 설립 및 운영주체에 따른 유형, 운영형태별 유형, 보육내용에 따...
[프뢰벨의 교육사상] 프뢰벨(Frobel)의 교육원리와 은물(1-10)의 내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론] 평생교육 프로그램(Lifelong Education Program)의 개념과 유형 ...
[평가우수자료] 국민연금 [연금제도 분석] 연금제도 분류, 연금 재원 운용방식, 연금운영 주...
교육사상가 코메니우스,리얼리즘 시대 코메니우스,코메니우스의 교육적 저술,코메니우스의 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