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열섬현상과 해결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시 열섬현상과 해결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 론
1.도시화로 인한 환경변화
2.열섬현상 (heat island)이란 ?

본 론
1.열섬의 원인
2.열섬의 문제점
3.도시 기온의 변화
4.열섬현상에 대한 정량적 산정에 의한 완화방안
1)옥상녹화 방안
2)열섬현상을 방지하는 새로운 포장 기술
3)알베도 값의 증가 방안
4)도시의 녹화에 의한 방안
4.미국의 열섬 연구 사례
(ATLAS를 이용한 열섬현상의 정량적 연구계획)

결 론

본문내용

상이 반복되면 해가 진 후에도 대기의 기온이 떨어지지 않아서 열대야 현상이 초래되기도 한다. 물론 보건상의 문제가 일어나는 것은 당연하다. 도시 상공에는 기후조건에 따라서 뜨거운 공기가 지붕을 형성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도시 주변이 시골 지역보다 몇 도 이상 높은 기온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특별히 고안된 열-감지 기구인 ATLAS(Airborne Terrestrial and Land Acquisition Sensor)를 사용할 예정인데, ATLAS를 사용해서 화상을 만들 경우 콘크리트와 아스팔트는 밝은 색을 띠는 반면 나무와 수풀 지대는 어두운 색을 띠기 때문에 쉽게 구분이 가능하다. 수풀 지대에서 식물에 의해 방출되는 수분이 열 에너지를 분산시키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타난다. ATLAS를 사용할 경우 서로 다른 15개의 파장의 빛으로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갈릴레오 우주선에 탑재한 카메라와 동일한 것이다.
ATLAS를 사용하면 열이 어떤 식으로 흡수되고 다시 방출되는가를 구분할 수 있다. 열의 흡수 및 방출은 온실효과와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온실 효과에 대한 정보도 상당량 수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열섬 효과(heat island effect)가 알려진 것은 매우 오래 전이지만, 도시를 계획하거나 관련 정책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열섬 효과를 고려하기 위해 이를 정량화하려는 연구는 거의 수행된 것이 없다. 이번 연구의 의미는 이 점에 있다고 하겠다.
-결 론-
“공공기관이 짓는 건축물 녹지 30%이상 확보해야”
7월부터 공공기관이 서울에 건축물을 지을 때는 30% 이상의 녹지를 확보해야만 한다. 만약 녹지를 확보할 만한 공간이 없으면 벽면이나 지붕을 녹화하거나 물과 공기가 통하는 포장재를 써서라도 이 비율을 맞춰야 한다. 또 내년 9월부터는 민간 사업자가 서울시내에 아파트나 단독주택 등을 지을 때도 이런 방식으로 일정 비율 이상의 녹지를 반드시 확보해야 건축허가를 받을 수 있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의 ‘생태면적률 확보에 대한 조례’를 내년 9월 전면 시행하기에 앞서 공공기관에 대해 올해 7월부터 우선 적용한다고 30일 밝혔다. 생태면적률이란 건축 대상지의 면적 중 자연 순환 기능을 가진 토양 면적의 비율을 수치화한 것으로 국내에서는 서울시가 처음 도입한 것.
예컨대 서울시청 주변의 경우 서울광장이 조성되기 전 이 일대 생태면적률은 3.9%였지만 잔디광장이 조성된 지금은 31.7%로 높아졌다. 시가 지난해 5월부터 6개월간 시내 19개 자치구의 43곳을 대상으로 생태면적률을 따져 본 결과 단독주택지 중 준주거지역은 0∼15%, 근린상업지역은 0∼10%에 불과했다.
시는 앞으로 일반주택 20%, 공동주택 30%, 일반건축물(업무, 판매, 공장 등) 20%, 공공시설 및 건축물 30%(도로는 20%), 초중고교 대학 등 교육시설 40%, 녹지지역 시설 및 건축물은 50% 이상의 생태면적률을 의무적으로 확보하도록 할 계획이다. 이종상 도시계획국장은 “도시가 과밀하게 개발되고 포장된 면적이 증가하면서 열섬현상과 홍수를 유발하고 대기오염이 심화되고 있다”며 “생태면적률 적용은 친환경적인 도시환경을 만들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채지영기자 동아일보 2004-05-30>
본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시화·공업화에 따른 도시구조의 변화로 개인의 생활유형을 변화시키고 무분별한 과다생산과 과다소비로 이미 대기오염, 수질오염, 폐기물 처리문제, 자연생태의 일방적인 파괴, 에너지·자원의 무분별한 낭비 등 수 많은 환경문제들이 발생되어 왔다.
이러한 환경파괴의 하나로 도시열섬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과 몇 가지 해결방안들을 본론에서 알아보았다. 열섬현상의 원인이 단순한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 구조적 문제와 다양한 원인들로부터 파생되는 것이므로 단기간에 해결하려는 안일한 생각을 버리고 시 공간적 범위를 초월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대규모 단위의 환경문제와 산업구조적인 환경문제를 정부·관계기관·관련기업과 함께 근본적인 해결점을 찾거나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기에는 장벽이 너무나 두텁다. 이미 우리나라의 도시화는 80%이상 진행된 상태이고 세계적으로도 60%이상 진행 되었고 이 후 더 급진적인 도시화가 진행될 것은 명백하다. 이렇게 주어진 상황 속에서 우리나라 도시와 농촌과 개발 대상지가 안고 있는 환경문제는 계속 될 것이고 싶게 해결되지 못할 것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열섬 현상의 다양한 해결노력들이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지만 아직 그 실적이 미미하다. 위에 제시한 서울시의 열섬해결 방안으로서의 녹지조성 사업 역시 이러한 노력의 한 예일 것이다.
앞으로의 21세기 사회에서 환경에 대한 인식 없이 예전처럼 환경을 파괴한다면 더 이상 오염된 세계에서는 우리의 존재자체가 어려울 것이다. 우리의 생존을 위해서라도 이러한 환경에 대한 인식 변화가 꼭 필요할 것이며, 열섬의 완화 또한 이러한 환경복구노력의 한 가지로 앞으로 꾸준한 노력으로 쾌적한 인간 정주공간을 확보하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목 차-
제목 :“도시열섬현상과 그 해결방안”
서 론
1.도시화로 인한 환경변화
2.열섬현상 (heat island)이란 ?
본 론
1.열섬의 원인
2.열섬의 문제점
3.도시 기온의 변화
4.열섬현상에 대한 정량적 산정에 의한 완화방안
1)옥상녹화 방안
2)열섬현상을 방지하는 새로운 포장 기술
3)알베도 값의 증가 방안
4)도시의 녹화에 의한 방안
4.미국의 열섬 연구 사례
(ATLAS를 이용한 열섬현상의 정량적 연구계획)
결 론
참 고 문 헌
-참고문헌-
♣ 서울특별시 “건물옥상녹화 학술용역“
♣ science.msfc.nasa.gov/newhome/headlines/
NASA : 1998년 05월 01일
♣ www.pwri.go.jp 일본 환경관련 사이트
♣ www.mech.tohoku.ac.jp/mech-labs/tssaitoh/heatland.html
♣ 정보화 시대의 국토와 환경 최운식 외
♣ 도시의 이해 -도시지리학적 접근- 권용우
과 목 명 : 도시환경
교 수 : 클릭!
도시공학과 2학년
학 번 :
이 름 : 클릭!
제 출 일 : 04/06/15
  • 가격1,2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6.23
  • 저작시기200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63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