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블루오션이란 무엇인가
1 블루오션의 정의
2 블루오션과 레드오션의 차이점
Ⅲ 사례 분석
1 넥슨 - 카트라이더
(1) 넥슨
(2) 넥슨의 비전
1) 비전(Vision)
2) 미션(Mission)
3) 가치(Value)
(3) 넥슨의 전략
1) 넥슨 유저 커뮤니티
2) 다양한 과금모델
3) PC방 사업
4) 해외 보급
5) 넥슨의 블루오션 전략
6) 넥슨의 블루오션은 영원한가
7) 넥슨의 전망
2. 미샤
(1) 에이블씨엔씨 소개
(2) 미샤의 블루오션 전략으로 형성된 새 타겟시장
(3) 미샤의 블루오션 전략
1) Elimination
2) Reduce
3) Raise
4) Create
(4) 블루오션 전략을 통한 미샤의 실적
(5) 미샤의 한계
(6) 미샤의 전망
Ⅱ 블루오션이란 무엇인가
1 블루오션의 정의
2 블루오션과 레드오션의 차이점
Ⅲ 사례 분석
1 넥슨 - 카트라이더
(1) 넥슨
(2) 넥슨의 비전
1) 비전(Vision)
2) 미션(Mission)
3) 가치(Value)
(3) 넥슨의 전략
1) 넥슨 유저 커뮤니티
2) 다양한 과금모델
3) PC방 사업
4) 해외 보급
5) 넥슨의 블루오션 전략
6) 넥슨의 블루오션은 영원한가
7) 넥슨의 전망
2. 미샤
(1) 에이블씨엔씨 소개
(2) 미샤의 블루오션 전략으로 형성된 새 타겟시장
(3) 미샤의 블루오션 전략
1) Elimination
2) Reduce
3) Raise
4) Create
(4) 블루오션 전략을 통한 미샤의 실적
(5) 미샤의 한계
(6) 미샤의 전망
본문내용
회원이 100만명을 돌파하였고, 그해 첫 오프라인 매장인 이화여대점을 시작으로 지난 2003년 7월 본격적인 가맹점 모집을 시작하여 불과 2년여만에 국내에만 302개 매장을 운영 중이며 호주 홍콩대만싱가포르미국 등 총 9개국(43개 매장)에 진출, 해외 시장 개척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1114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단번에 업계 4위에 오른 에이블씨엔씨의 올해 목표 매출액은 1500억원, 올 하반기 중국 일본 유럽 등에도 추가 진출, 연내 최소 80개의 해외 매장을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2) 미샤의 블루오션 전략으로 형성된 새 타겟시장
미샤는 기존 화장품시장의 불합리한 구조를 완전 개선하여 250가지의 제품을 3300원에 제공할 수 있는 가격경쟁력으로 판매자의 이익과 소비자의 만족을 감동적으로 극대화하며 기존의 20~3,40대의 시장 타겟에서 10대라는 새로는 소비자 층을 창출하였다.
실용성을 중시하는 젊은 여성들에게 고가제품이 질 좋은 제품이라는 고정관념을 깨뜨려 화장품은 사치품이 아닌 생활용품임을 어필하며 그 대표주자가 저가의 질 좋은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미샤라는 것을 각인시켰다.
유명모델을 내세워 인터넷과 TV, 라디오, 신문, 잡지 등 모든 대중매체를 이용하여 브랜드 파워 및 인지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중 고등학생과 대학생에게 또래집단의 집단심리를 유발시켜 시대적 유행으로 자리매김하였다. 거품을 제거한 합리적인 가격과 제품의 다양성, 가격에 비해 품질이 뒤떨어지지 않음을 내세워 미샤의 새로운 10대 시장 창출 및 공략이 성공적이라고 볼 수 있다.
(3) 미샤의 블루오션전략
1) Elimination
기존 화장품업체의 유통경로는 화장품을 제조, 생산하여 대리점에서 20~30% 마진을 남기고 그 후 소매점에서 40~50%의 마진을 남기고 소비자들이 비싼 가격에 화장품을 구입하였다. 이 경로를 통하여 나타난 화장품의 일반적인 가격은 스킨, 로션은 15000~30000원의 가격이 보통이었고, 파우더의 가격은 12000~30000원대에 이르는 가격이었다. 미샤는 생산과 소비자 사이에 가맹점이라는 단 하나의 중간판매상을 두어 기존의 유통경로에서 생기는 중간마진을 최소화하여 기존의 유통경로에서 생기는 중간마진을 제거하였다.
2) Reduce
화장품업계에서 일반적으로 화장품의 특성상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는 데 쓰이는 광고홍보 비용이 제조원가를 초과하는 것은 기본이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미샤는 차별화된 가격 절감을 위해 과도한 포장과 특별한 광고 또는 마케팅 비용을 최소화하였다.
3) Raise
가맹점을 통한 유통채널의 변화와 포장 및 용기 비용의 절감, 마케팅 비용을 줄이고 생산원가의 대부분을 내용물 및 연구개발비 2004년 기준 직원의 60%이상이 연구개발팀
에 투자하였다. 그 결과로 화장품 제품의 종류가 기존의 비하여 많이 늘어났다.
또한 에이블씨엔씨는 고객과의 관계를 강화를 하였다. 가격결정에 있어서도 품평단의 제품력 평가 후에 소비자가 가격을 제시하고 미샤에서 원가와 비교한 후 최적의 가격의 결정을제거(elimination)
복잡한 유통경로
감소(reduce)
포장 및 용기비용, 광고비용 및 촉진비용 등의 마케팅 비용
증가(raise)
상품의 다양성, 고객관계의 강화
창출(create)
온라인 커뮤니티, 새로운 가치 창조, 대중 친숙성
하는 등 고객과의 관계를 강화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4) Create
기존의 화장품 업계가 오프라인을 기반으로 운영되었으나 미샤는 뷰티넷을 기반으로 온라인을 거점으로 오프라인을 연계하는 새로운 수익창출 모델을 창출 하였고, 처음에 온라인을 기반으로 설립한 것을 장점으로 뷰티넷에서는 온라인을 통한 커뮤니티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화장품의 주된 가치인 이미지에서 벗어나 ‘기능성’ 및 ‘실용성’을 강조하면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였다. 각 매장에 체험공간을 두어 누구나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대중 친화적인 공간을 창출 하였다.
(4) 블루오션 전략을 통한 미샤의 실적
(5) 미샤의 한계
미샤는 첫 매장을 낸지 3년만인 지난해 1000억원이 넘는 연 매출을 올리며 단숨에 화장품 업계 4위 매출액 순위(2004년 기준) 1위 태평양, 2위 LG생활건강, 3위 코리아나 4위 에이블씨엔씨(미샤) 5위 더페 이스샵
로 올라서고 올 초 코스닥 등록에도 성공하는 등 승승장구했다. 하지만 최근 업계 1위 자리를 후발업체인 더페이스샵에 내준 데 이어 6만원대에 육박하던 주가도 몇 달 사이에 반 토막이 났다.
그리고 광고 및 홍보비용을 최소화하여 생산원가의 대부분을 연구개발에 투자하여 내용물 및 상품의 다양성으로 확보하였지만 더페이스샵 등의 후발업체의 등장으로 경쟁구도가 치열해지자 마케팅 및 홍보비용이 증가하여 마케팅 비용의 증가 에이블씨엔씨의 지난해 광고 선전비 비중은 매출액 대비 12.26%로 나타나 태평양 11.71%, LG생활건강 7.14%, 코리아나 5.02%, 한국화장품 11.34% 등에 비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로 기존의 소비자들이 화장품질에 대한 염려 및 기존의 방침인 광고를 하지 않고 구전효과에 의존한다는 방침을 바꾼 것에 대하여 클레임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6) 미샤의 전망
기존의 ‘감성’상품으로 여겨졌던 화장품을 ‘기능’ 중심의 생활필수품으로 접근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여 기존의 시장을 10대 연령까지 확장하고 단숨에 업계 4위(2004년 기준)로 올랐으나 더페이스샵 등의 저가화장품 업체의 등장으로 경쟁구도가 치열해 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에는 블루오션을 통하여 시장을 창출 후에도 훗날 시장이 레드오션이 될 경우를 대비하여 끝없이 새로운 전략을 세우며 레드오션 시장에서 새로운 블루오션 전략을 수립할 때 그 블루오션 전략이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 문헌
1. 김위찬 르네 마보안, 블루오션 전략, 교보문고,
2. 박두규, Blue Ocean Strategy, G경영연구소,
3. 이해석, ㅖ은 글 긴 생각: 블루오션과 구글어스,국토 연구원,
4. http://www.beautynet.co.kr(뷰티넷)
5. http://www.nexon.com(넥슨)
6. http://www.chosun.com(조선일보)
(2) 미샤의 블루오션 전략으로 형성된 새 타겟시장
미샤는 기존 화장품시장의 불합리한 구조를 완전 개선하여 250가지의 제품을 3300원에 제공할 수 있는 가격경쟁력으로 판매자의 이익과 소비자의 만족을 감동적으로 극대화하며 기존의 20~3,40대의 시장 타겟에서 10대라는 새로는 소비자 층을 창출하였다.
실용성을 중시하는 젊은 여성들에게 고가제품이 질 좋은 제품이라는 고정관념을 깨뜨려 화장품은 사치품이 아닌 생활용품임을 어필하며 그 대표주자가 저가의 질 좋은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미샤라는 것을 각인시켰다.
유명모델을 내세워 인터넷과 TV, 라디오, 신문, 잡지 등 모든 대중매체를 이용하여 브랜드 파워 및 인지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중 고등학생과 대학생에게 또래집단의 집단심리를 유발시켜 시대적 유행으로 자리매김하였다. 거품을 제거한 합리적인 가격과 제품의 다양성, 가격에 비해 품질이 뒤떨어지지 않음을 내세워 미샤의 새로운 10대 시장 창출 및 공략이 성공적이라고 볼 수 있다.
(3) 미샤의 블루오션전략
1) Elimination
기존 화장품업체의 유통경로는 화장품을 제조, 생산하여 대리점에서 20~30% 마진을 남기고 그 후 소매점에서 40~50%의 마진을 남기고 소비자들이 비싼 가격에 화장품을 구입하였다. 이 경로를 통하여 나타난 화장품의 일반적인 가격은 스킨, 로션은 15000~30000원의 가격이 보통이었고, 파우더의 가격은 12000~30000원대에 이르는 가격이었다. 미샤는 생산과 소비자 사이에 가맹점이라는 단 하나의 중간판매상을 두어 기존의 유통경로에서 생기는 중간마진을 최소화하여 기존의 유통경로에서 생기는 중간마진을 제거하였다.
2) Reduce
화장품업계에서 일반적으로 화장품의 특성상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는 데 쓰이는 광고홍보 비용이 제조원가를 초과하는 것은 기본이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미샤는 차별화된 가격 절감을 위해 과도한 포장과 특별한 광고 또는 마케팅 비용을 최소화하였다.
3) Raise
가맹점을 통한 유통채널의 변화와 포장 및 용기 비용의 절감, 마케팅 비용을 줄이고 생산원가의 대부분을 내용물 및 연구개발비 2004년 기준 직원의 60%이상이 연구개발팀
에 투자하였다. 그 결과로 화장품 제품의 종류가 기존의 비하여 많이 늘어났다.
또한 에이블씨엔씨는 고객과의 관계를 강화를 하였다. 가격결정에 있어서도 품평단의 제품력 평가 후에 소비자가 가격을 제시하고 미샤에서 원가와 비교한 후 최적의 가격의 결정을제거(elimination)
복잡한 유통경로
감소(reduce)
포장 및 용기비용, 광고비용 및 촉진비용 등의 마케팅 비용
증가(raise)
상품의 다양성, 고객관계의 강화
창출(create)
온라인 커뮤니티, 새로운 가치 창조, 대중 친숙성
하는 등 고객과의 관계를 강화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4) Create
기존의 화장품 업계가 오프라인을 기반으로 운영되었으나 미샤는 뷰티넷을 기반으로 온라인을 거점으로 오프라인을 연계하는 새로운 수익창출 모델을 창출 하였고, 처음에 온라인을 기반으로 설립한 것을 장점으로 뷰티넷에서는 온라인을 통한 커뮤니티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화장품의 주된 가치인 이미지에서 벗어나 ‘기능성’ 및 ‘실용성’을 강조하면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였다. 각 매장에 체험공간을 두어 누구나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대중 친화적인 공간을 창출 하였다.
(4) 블루오션 전략을 통한 미샤의 실적
(5) 미샤의 한계
미샤는 첫 매장을 낸지 3년만인 지난해 1000억원이 넘는 연 매출을 올리며 단숨에 화장품 업계 4위 매출액 순위(2004년 기준) 1위 태평양, 2위 LG생활건강, 3위 코리아나 4위 에이블씨엔씨(미샤) 5위 더페 이스샵
로 올라서고 올 초 코스닥 등록에도 성공하는 등 승승장구했다. 하지만 최근 업계 1위 자리를 후발업체인 더페이스샵에 내준 데 이어 6만원대에 육박하던 주가도 몇 달 사이에 반 토막이 났다.
그리고 광고 및 홍보비용을 최소화하여 생산원가의 대부분을 연구개발에 투자하여 내용물 및 상품의 다양성으로 확보하였지만 더페이스샵 등의 후발업체의 등장으로 경쟁구도가 치열해지자 마케팅 및 홍보비용이 증가하여 마케팅 비용의 증가 에이블씨엔씨의 지난해 광고 선전비 비중은 매출액 대비 12.26%로 나타나 태평양 11.71%, LG생활건강 7.14%, 코리아나 5.02%, 한국화장품 11.34% 등에 비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로 기존의 소비자들이 화장품질에 대한 염려 및 기존의 방침인 광고를 하지 않고 구전효과에 의존한다는 방침을 바꾼 것에 대하여 클레임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6) 미샤의 전망
기존의 ‘감성’상품으로 여겨졌던 화장품을 ‘기능’ 중심의 생활필수품으로 접근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여 기존의 시장을 10대 연령까지 확장하고 단숨에 업계 4위(2004년 기준)로 올랐으나 더페이스샵 등의 저가화장품 업체의 등장으로 경쟁구도가 치열해 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에는 블루오션을 통하여 시장을 창출 후에도 훗날 시장이 레드오션이 될 경우를 대비하여 끝없이 새로운 전략을 세우며 레드오션 시장에서 새로운 블루오션 전략을 수립할 때 그 블루오션 전략이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 문헌
1. 김위찬 르네 마보안, 블루오션 전략, 교보문고,
2. 박두규, Blue Ocean Strategy, G경영연구소,
3. 이해석, ㅖ은 글 긴 생각: 블루오션과 구글어스,국토 연구원,
4. http://www.beautynet.co.kr(뷰티넷)
5. http://www.nexon.com(넥슨)
6. http://www.chosun.com(조선일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