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벚꽃축제 (4월 벚꽃개화기)
2.시민의날 축제 (10월 1일)
3.오성문화제 (10월초)
4.용왕굿 (풍어제) (매년봄 5월초나 가을)
5.아동극 축제 (5월 5일 전후 3일)
6.쭈꾸미 축제 (3월하순경 1주일)
2.시민의날 축제 (10월 1일)
3.오성문화제 (10월초)
4.용왕굿 (풍어제) (매년봄 5월초나 가을)
5.아동극 축제 (5월 5일 전후 3일)
6.쭈꾸미 축제 (3월하순경 1주일)
본문내용
된 것을 현재에 이르러 원형을 찾아 옛 모습을 재현하였습니다.
용왕굿의 진행과정은 굿의 시작인 산신말이굿에서 산신과 용왕신의 대내림굿, 농악과 신내림대가 마을을 돌며 무사태평과 수복강령을 비는 동네, 걸림굿, 용신당에 당도한 신령에게 인간의 부정함을 사하여 달라고 비는 부정굿, 배의 주인신과 유지를 지키는 각시선왕과 애기선왕, 처녀선왕, 동자선왕 등 여러형태의 선왕을 달래는 선왕굿, 굿마당에 동참한 사람들을 신에게 축원하는 축원굿, 넋을 달래는 해원굿, 모셔온 신령을 제자리에 모시고 인간의 액을 꽃배에 실어 바다에 띄우면 서 액맥이 하는 뒷풀이 굿으로 이루어집니다.
가. 부정굿과 대내림굿
제천 제신에게 비손하는 \"인간의 부정함을 사하여 달라\"는 부정풀이가 끝나면 인간들의 길흉화복을 점지하여 주는 신령님을 청배(모셔옴)하여 대나무에 강신시키는 도당풀이가 이어지는데 순서대로 웃 신령부터 아래로 차근차근 강신시켜 오방대가 모두 내리면 부락민과 풍물이 한데 어울려 마을을 돌려 놉니다.
산넘어 오는 부정, 물건너 오는 부정, 행랑채 개다리 소반에 드는 부정, 놋그릇 쌍촛대에 드는 부정이야....사해바다 노시던 용왕신네 실날같은 대 끝에 풍우같이 내리소서, 무지개로
용왕굿의 진행과정은 굿의 시작인 산신말이굿에서 산신과 용왕신의 대내림굿, 농악과 신내림대가 마을을 돌며 무사태평과 수복강령을 비는 동네, 걸림굿, 용신당에 당도한 신령에게 인간의 부정함을 사하여 달라고 비는 부정굿, 배의 주인신과 유지를 지키는 각시선왕과 애기선왕, 처녀선왕, 동자선왕 등 여러형태의 선왕을 달래는 선왕굿, 굿마당에 동참한 사람들을 신에게 축원하는 축원굿, 넋을 달래는 해원굿, 모셔온 신령을 제자리에 모시고 인간의 액을 꽃배에 실어 바다에 띄우면 서 액맥이 하는 뒷풀이 굿으로 이루어집니다.
가. 부정굿과 대내림굿
제천 제신에게 비손하는 \"인간의 부정함을 사하여 달라\"는 부정풀이가 끝나면 인간들의 길흉화복을 점지하여 주는 신령님을 청배(모셔옴)하여 대나무에 강신시키는 도당풀이가 이어지는데 순서대로 웃 신령부터 아래로 차근차근 강신시켜 오방대가 모두 내리면 부락민과 풍물이 한데 어울려 마을을 돌려 놉니다.
산넘어 오는 부정, 물건너 오는 부정, 행랑채 개다리 소반에 드는 부정, 놋그릇 쌍촛대에 드는 부정이야....사해바다 노시던 용왕신네 실날같은 대 끝에 풍우같이 내리소서, 무지개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