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국어 문장의 종결과 경어법 정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세 국어 문장의 종결과 경어법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정리하기에 앞서

2. 문장의 종결

3. 경어법

4. 마치면서

※ 참고문헌 ※

본문내용

1. 정리하기에 앞서
중세국어 문법론 시험 공부를 위해 중세 국어 의문문과 경어법에 대해 공부를 하면서 이를 정리하여 레포트로 제출하고자 합니다. 중세 국어 문장의 종결은 의문문만이 아니라 평서문, 감탄문, 명령문과 청유문도 정리해 보도록 하고 경어법은 현대 국어와 마찬가지로 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법, 상대 높임법으로 나누어 정리하여 보겠습니다.
2. 문장의 종결
1) 평서문
① 하라체 평서문은 어미 ‘-다’에 의하여 표현된다.
예) 이 道 이젯 사 료 흙티 다. <두시 언해 25, 55>
[이 도를 지금의 사람은 버림을 흙과 같이 한다.]
② ‘-다’ 앞에는 시간 표현의 선어말 어미 ‘--, -더-, -리-’와 믿음과 느낌 표현의 ‘-거-/-어-, -니-, -돗-’ 등의 선어말 어미를 앞세워 여러 가지 평서문을 구성한다.
2) 감탄문
① 감탄문은 대부분 느낌 표현의 선어말 어미에 기대어 형성된다.
② 감탄문의 어말 어미로는 ‘-ㄹ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06.28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66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