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의 생산과 이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류의 생산과 이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조류의 생산과 이용

생활 속의 조류.식품
조류와 산업 원료

의약품과 기능성 식품
양식업으로의 이용

식품 의학으로의 이용

천연사료와 천연비료

조류를 이용한 앞으로의 전망

본문내용

리(Huguneuin, 1974), 잠수함, 우주선 등에서의 고기정화 (Hannan and Patouillet, 1963) 등에 이르기까지 산업전인 활용범위를 넓혀 가고 있다. 특히 양식산업세서의 유용수산동물의 인공 종묘 생산시 먹이새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식물먹이생물의 배양은 자, 치어 사육의 근본적인 과제이며 이런 적합한 먹이생물의 대량배양 및 확보는 천해양식산업에서 불가결한 선결과제인 것이다.
우리 나라의 해양환경에 따라 수산의 요지로 양식업이 국민식량자원의 공급원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생산규모도 계속 증가하여 현재 세계 3대 양식국이 되었다. 우리 나라에서 집약적인 양식산업의 체제는 1960년대 이후 형성되었으며 먹이공급이 필요 없고 관리가 쉬운 해조류의 양식부터 시작되었다고 그 후 천연의 식물먹이생물을 여과 섭식하는 조개류의 양식분야가 발전하게 되었다. 조개류의 양식등 처음에는 자연산 치패를 수거하여 어장에 살포한 후 해양환경에 의존하여 양성하는 방법으로 시작되었으나 최근 산업폐수와 생활폐수의 연안유입, 대규모 간척사업과 매립에 의한 어장의 상실, 연안 양식장의 연작과 밀식등으로 인해 연안양식장 환경이 악화되어 조개류의 생산량이 매년 급속히 감소하고 있다.
한편 우리 나라의 어류양식은 1980년대 중반부터 넙치 종묘생산 기술이 개발된 이후 급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조피볼락, 돔류, 농어, 황점볼락등 어종이 다양화되어 그 생산량도 증가되어 있으나 이들의 야식기술은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높은 양식 생산단가 문제와 고비용의 시세문제 등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어류나 패류의 양식산업이 발전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그 생물의 인위적인 번식조절에 의한 인공종묘생산이 가능하여 양식하려는 종류의 종묘의 수급과 공급이 계획적이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처럼 원활한 인위적인 종묘생산 체계의 확립은 양식 산업의 정착에 가장 중요한 필수조건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 나라의 어패류의 인공종묘생산이 확립된 종들은 그다지 많지 않다. 이러한 원인은 인공종묘생산을 위한 종들의 생태, 생리적인 특성들을 알지 못하여 사육기술이 확립되지 못한 경우와 어패류의 인공 종묘생산시 가장 중요한 초기먹이생물의 개발이 이루어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천해양식의 종묘생산과정에서 먹이생물로 주로 이용되는 식물먹이생물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한 편이며 이들 식물먹이 생물의 대량배양은 종묘생산의 성공여부를 판별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어류의 경우에는 초기자어의 동물먹이생물인 rotifer(Brachionus plicatilis)의 배양을 위한 Nanochloris, Chlorella, Tetraselmis 등과 같은 식물먹이생물의 대량 배양이 필수적이며, 식물먹이생물 자체를 먹이로 섭취하는 조개류, 새우류, 성게류 등의 종묘 대량생산을 위하여 유생사육에 필요한 Pavlova lutheri, Isochrysis galbana, Chetoceros clacitrans, Tetraselmis suecica, Phaeeodactylum trichonutum등과 같은 식물먹이생물의 대량배양기술을 확립해야 한다.
식품 의학으로의 이용
클로렐라는 녹조류의 일종으로 직경이 3-8㎛ 정도인 단세포 구형인 수산식물로 지구상에 최초로 생겨진 단세포 생물 종의 하나이며 서식지에 따라 해수, 기수, 담수산 클로렐라로 나뉜다. 식물성플랑크톤이며 생식은 무성생식에 의하고, 자생포자로 번식하며 엽록체는 대상이다. Rotifer의 먹이로서 중요하다.
클로렐라가 먹이생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중요한 이유로서는 먹이사슬의 최저급 1차 생산자라는 데 있으며 클로렐라 자체가 양질의 단백질, 각종 비타민 및 무기염류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고급생체단백질의 함량만 해도 40%정도나 되며, 생산효과율(광에너지에 대한 생산효과율이 9.1이다.) 또한 식물 중에서 최고로 높다.
클로렐라 발생은 수온 25℃ 전후가 최적이며 10℃, 30℃에서도 발생을 하지만 번식율이 떨어진다. 못이나 웅덩이, 오염된 물에서 번식이 되며 유기물 대신에 약품 배합액에도 청정한 클로렐라를 무기배양할 수 있다.
빛은 직사일광 또느 그에 가까운 채광이면 충분하며 탄소동화작용에 필요한 탄소공급을 위하여 수중에 포기할 필요가 있다.
클로렐라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윤충배양에 쓰이는 것은 해산 클로렐라이다. 클로렐라는 운충의 먹이로 쓰일 뿐만아니라 종묘생산지에 사육수조의 수질보존, 투여한 윤충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6.30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74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